KR200262358Y1 -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358Y1
KR200262358Y1 KR2020010034138U KR20010034138U KR200262358Y1 KR 200262358 Y1 KR200262358 Y1 KR 200262358Y1 KR 2020010034138 U KR2020010034138 U KR 2020010034138U KR 20010034138 U KR20010034138 U KR 20010034138U KR 200262358 Y1 KR200262358 Y1 KR 200262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crete
polyethylene sheet
tank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근
Original Assignee
신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근 filed Critical 신현근
Priority to KR2020010034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3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358Y1/ko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에 관한 것으로서,콘크리트수조(100)를 형성하고 있는 벽(110)과 폴리에틸렌시트(200)를 관통하도록 배관파이프(310)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수조(100)의 벽(110) 내측면에 안착홈(111)이 내삽지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11)에 삽입되는 플랜지부(311)가 배관파이프(310)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파이프(310)의 플랜지부(311)에는 폴리에틸렌시트(200)에 일측면이 접하며 설치되는 아답타플랜지(400)를 볼트(500) 체결시켜, 배관부(300)의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상기 배관파이프(310)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부(300) 주위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콘크리트수조(100)의 외부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Piping for a concrete a water tank}
본 고안은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수조의 내측 벽면에 방수 기능을 갖도록 배관파이프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조(貯水曹)는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여 주거용 아파트 및 업무용 빌딩등과 같이 생활용수의 사용이 많은 건축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저수조는 스테인리스패널수조, SMC수조, FRP수조, PDF수조, 콘크리트수조 등과 같이 사용되는 재질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 된다.
이러한 저수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수조의 경우에는 내부에 담겨있는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완료한 후 내벽에 방수액을 2회이상 도포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수작업은 사방이 밀폐된 콘크리트저수조의 내부에서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작업자가 냄새등에 의해 작업을 수행시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방수액이 도포되어 형성된 방수층이 일정 기간이 경과하여 손상이 발생하면, 상기 손상된 방수층의 위에 에폭시 페인트를 도장하여 방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수질이 보호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에폭시 페인트는 휘발성이 강한 수지로 조성되어 있어 그 유해성분으로 인해 작업중 호흡곤란을 유발시키고, 심한 경우에는 질식사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에폭시 페인트는 도막 부착력의 한계 때문에 단 기간 내에 내벽의 표면으로부터 이탈하는 박리현상이 발생하여 수질을 오염시키게 되는 결함이 있어 2~3년에 한번씩 재 도장작업을 하여야 하는 비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에폭시 페인트는 인체에 아주 유해한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A가 함유되어 있어, 이러한 유해물질이 저수조에 담겨있는 물에 함유된 상태로 공급되어 인체에 소량이라도 축적되는 경우에는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같이 콘크리트수조(100)의 내측 벽면에 폴리에틸렌시트(Polyethylene Sheet)(200)를 고정되게 설치하여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콘크리트수조(100)를 형성하고 있는 벽(110)과 폴리에틸렌시트(200)를 관통하도록 배관파이프(310)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배관파이프(310)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부(300) 주위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콘크리트수조(100)의 외부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어 수질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콘크리트수조(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배관파이프(3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실링재(320)를 설치하고, 상기 실링재(320)의 외측면에는 폴리에틸렌시트(200)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 폴리에틸렌판넬(330)을 밴드(340)를 이용해 감싸도록 설치하며, 상기, 밴드(340)에 의해 실링재(320)의 외측면을 감싸고 있는 폴리에틸렌판넬(330)을 폴리에틸렌시트(200)에 열융착시켜 배관부(300) 주위가 방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도 상기 배관파이프(310)의 외측면을 실링재(320)가 감싸도록 밴드(340)를 이용해 폴리에틸렌판넬(330)을 설치하여야 함은 물론, 상기실링재(320)를 감싸고 있는 폴리에틸렌판넬(330)의 단부를 폴리에틸렌시트(200)에 열융착시켜야 함으로서, 콘크리트수조(100)에 배관부(300)를 설치시, 작업성이 증가하여 작업성을 저하시키게 됨은 물론, 상기 배관파이프(310)와 폴리에틸렌판넬(330)간에 틈새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대로 방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 배관파이프(310)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부(300) 주위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콘크리트수조(100)의 외부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어 수질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콘크리트수조의 벽 내측면에 안착홈을 내삽지게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플랜지부를 배관파이프의 일측단부에 형성하며, 상기 배관파이프의 플랜지부에는 폴리에틸렌시트에 일측면이 접하며 설치되는 아답타플랜지를 볼트 체결시켜, 배관부의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상기 배관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부 주위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콘크리트수조의 외부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콘크리트수조 110 : 벽
200 : 폴리에틸렌시트 300 : 배관부
310 : 배관파이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도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수조(100)를 형성하고 있는 벽(110)과 폴리에틸렌시트(200)를 관통하도록 배관파이프(310)가 설치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고안은 상기 콘크리트수조(100)의 벽(110) 내측면에 안착홈(111)이 내삽지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11)에 삽입되는 플랜지부(311)가 배관파이프(310)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파이프(310)의 플랜지부(311)에는 폴리에틸렌시트(200)에 일측면이 접하며 설치되는 아답타플랜지(400)가 볼트(500) 체결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배관파이프(310)의 플랜지부(311)에는 아답타플랜지(400)와 폴리에틸렌시트(200)를 관통하는 볼트(500)가 체결되도록 하는 너트(600)를 용착시켜, 상기 아답타플랜지(400)가 폴리에틸렌시트(200)를 압착시키면서 배관파이프(310)의 플랜지부(311)에 결합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 하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콘크리트수조(100)에 배관부(300)를 설치시, 콘크리트수조(100)의 벽(110)과 폴리에틸렌시트(20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배관파이프(310)의 플랜지부(311)를 안착홈(111)에 위치시키고,
상기 안착홈(111)에 삽입이 이루어진 플랜지부(311)에는 일측면이 폴리에틸렌시트(200)와 접하고 있는 아답타플랜지(400)를 볼트(500)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배관파이프(310)의 플랜지부()와 아답타플랜지(400) 사이에 폴리에틸렌시트(200) 설치되어 배관부(300)의 방수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상기 콘크리트수조(100)에 담겨져 있는 물이 배관파이프(310)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부(300)를 통해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콘크리트수조(100)에 배관부(300)가 형성되도록 벽(110)을 관통하게 배관파이프(310)를 설치한 후 연결파이프(320)의 플랜지부(321)를 폴리에틸렌시트(200)와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아답타플랜지(400)를 볼트(500)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배관부(300)의 방수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상기 배관파이프(310)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부(300) 주위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콘크리트수조(100)의 외부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수조의 벽 내측면에 안착홈을 내삽지게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플랜지부를 배관파이프의 일측단부에 형성하며, 상기 배관파이프의 플랜지부에는 폴리에틸렌시트에 일측면이 접하며 설치되는 아답타플랜지를 볼트 체결시켜, 배관부의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상기 배관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부 주위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콘크리트수조의 외부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콘크리트수조(100)를 형성하고 있는 벽(110)과 폴리에틸렌시트(200)를 관통하도록 배관파이프(310)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수조(100)의 벽(110) 내측면에 안착홈(111)이 내삽지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11)에 삽입되는 플랜지부(311)가 배관파이프(310)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파이프(310)의 플랜지부(311)에는 폴리에틸렌시트(200)에 일측면이 접하며 설치되는 아답타플랜지(400)가 볼트(500)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파이프(310)의 플랜지부(311)에는 아답타플랜지(400)와 폴리에틸렌시트(200)를 관통하는 볼트(500)가 체결되도록 하는 너트(600)가 용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KR2020010034138U 2001-11-07 2001-11-07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KR200262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138U KR200262358Y1 (ko) 2001-11-07 2001-11-07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138U KR200262358Y1 (ko) 2001-11-07 2001-11-07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241A Division KR100451121B1 (ko) 2001-11-07 2001-11-07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358Y1 true KR200262358Y1 (ko) 2002-03-18

Family

ID=73111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138U KR200262358Y1 (ko) 2001-11-07 2001-11-07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3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031B1 (ko) 관연결부의 누설방지 및 보호장치와 관연결부의 누설방지방법
KR102054235B1 (ko) 면패치를 이용한 배관 누수 보수 방법
KR200262358Y1 (ko)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KR100451121B1 (ko)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KR100451120B1 (ko)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KR200274401Y1 (ko)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KR200262359Y1 (ko) 콘크리트수조의 배관파이프 설치구조
KR100432478B1 (ko) 콘크리트수조의 배관파이프 설치구조
KR200296795Y1 (ko) 콘크리트수조의 배관파이프 설치구조
KR101563108B1 (ko) 수도관 누수보수용 부단수 보수관의 구조
JP5260263B2 (ja) フランジ接合構造
CN210461971U (zh) 一种穿墙管件的防水密封处理结构
JP3752321B2 (ja) 流体の分岐方法
KR200266755Y1 (ko) 콘크리트수조의 방수구조
JP2005114108A (ja) 充填材を用いた補修方法
JP2010101354A (ja) 配管の漏洩箇所の修理具及び修理方法
US814640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ndicating seal leakage
US4470606A (en) Universal fluid-sealing joint for outlet pipe from fluid-containing housing
KR101460101B1 (ko) 콘크리트 수조를 관통하는 배수관의 방수공법
FI86321C (fi) Anordning foer att foerhindra laeckande vatten fraon att stroemma ut via monterings- och skyddsroer.
KR100394185B1 (ko) 콘크리트수조의 폴리에틸렌시트 설치구조
CN217442709U (zh) 一种带护套型温度变送器
JP5105219B2 (ja) コンクリート製貯槽
GB2100369A (en) Universal fluid-sealing joint
JPH11190491A (ja) 防食シートを貫通する配管周りの防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