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120B1 -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120B1
KR100451120B1 KR10-2002-0009343A KR20020009343A KR100451120B1 KR 100451120 B1 KR100451120 B1 KR 100451120B1 KR 20020009343 A KR20020009343 A KR 20020009343A KR 100451120 B1 KR100451120 B1 KR 100451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concrete
bolt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9529A (ko
Inventor
신현근
Original Assignee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2-0009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120B1/ko
Publication of KR20030069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18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콘크리트수조(100)를 형성하고 있는 벽(110)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배관파이프(310)의 플랜지(311)가 폴리에틸렌시트(200)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폴리에틸렌시트(200)의 타측면에는 아답타플랜지(400)가 설치되며, 상기 아답타플랜지(400)와 플랜지(311)가 볼트(500)에 의해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볼트(500)의 나사산이 체결되는 나선부가 플랜지(311)의 체결공(311a)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311a)과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관통공(410)이 아답타플랜지(400)에 형성하여, 콘크리트수조(100)의 배관부(300) 주위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플랜지(311)와 아답타플랜지(400)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도 볼트(500)가 체결되는 별도의 너트를 플랜지(311)의 타측면에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배관파이프(310)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부(300)의 주위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콘크리트수조(100)의 외부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아답타플랜지(400)와 플랜지(311)를 결합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Piping system of concrete water storage tank}
본 발명은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수조의 내측 벽면에 방수 기능을 갖도록 배관파이프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조(貯水曹)는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여 주거용 아파트 및 업무용 빌딩등과 같이 생활용수의 사용이 많은 건축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저수조는 스테인리스패널수조, SMC수조, FRP수조, PDF수조, 콘크리트수조 등과 같이 사용되는 재질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 된다.
이러한 저수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수조의 경우에는 내부에 담겨있는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완료한 후 내벽에 방수액을 2회이상 도포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수작업은 사방이 밀폐된 콘크리트저수조의 내부에서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작업자가 냄새등에 의해 작업을 수행시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방수액이 도포되어 형성된 방수층이 일정 기간이 경과하여 손상이 발생하면, 상기 손상된 방수층의 위에 에폭시 페인트를 도장하여 방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수질이 보호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에폭시 페인트는 휘발성이 강한 수지로 조성되어 있어 그 유해성분으로 인해 작업중 호흡곤란을 유발시키고, 심한 경우에는 질식사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에폭시 페인트는 도막 부착력의 한계 때문에 단 기간 내에 내벽의 표면으로부터 이탈하는 박리현상이 발생하여 수질을 오염시키게 되는 결함이있어 2~3년에 한번씩 재 도장작업을 하여야 하는 비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에폭시 페인트는 인체에 아주 유해한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A가 함유되어 있어, 이러한 유해물질이 저수조에 담겨있는 물에 함유된 상태로 공급되어 인체에 소량이라도 축적되는 경우에는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같이 콘크리트수조(100)의 내측 벽면에 폴리에틸렌시트(Polyethylene Sheet)(200)를 고정되게 설치하여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콘크리트수조(100)를 형성하고 있는 벽(110)과 폴리에틸렌시트(200)를 관통하도록 배관파이프(310)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배관파이프(310)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부(300) 주위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콘크리트수조(100)의 외부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어 수질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콘크리트수조(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배관파이프(3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실링재(320)를 설치하고, 상기 실링재(320)의 외측면에는 폴리에틸렌시트(200)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 폴리에틸렌판넬(330)을 밴드(340)를 이용해 감싸도록 설치하며, 상기, 밴드(340)에 의해 실링재(320)의 외측면을 감싸고 있는 폴리에틸렌판넬(330)을 폴리에틸렌시트(200)에 열융착시켜 배관부(300) 주위가 방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도 상기 배관파이프(310)의 외측면을 실링재(320)가 감싸도록밴드(340)를 이용해 폴리에틸렌판넬(330)을 설치하여야 함은 물론, 상기 실링재(320)를 감싸고 있는 폴리에틸렌판넬(330)의 단부를 폴리에틸렌시트(200)에 열융착시켜야 함으로서, 콘크리트수조(100)에 배관부(300)를 설치시, 작업성이 증가하여 작업성을 저하시키게 됨은 물론, 상기 배관파이프(310)와 폴리에틸렌판넬(330)간에 틈새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대로 방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 배관파이프(310)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부(300) 주위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콘크리트수조(100)의 외부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어 수질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부 주위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콘크리트수조의 외부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아답타플랜지와 플랜지를 볼트를 이용해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배관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배관파이프용 플랜지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콘크리트수조 110 : 벽
200 : 폴리에틸렌시트 300 : 배관부
310 : 배관파이프 311 : 플랜지
311a: 체결공 400 : 아답타플랜지
410 : 관통공 500 : 볼트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수조(100)를 형성하고 있는 벽(110)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배관파이프(310)의 플랜지(311)가 폴리에틸렌시트(200)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폴리에틸렌시트(200)의 타측면에는 아답타플랜지(400)가 설치되며, 상기 아답타플랜지(400)와 플랜지(311)가 볼트(500)에 의해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볼트(500)의 나사산이 체결되는 나선부가 플랜지(311)의 체결공(311a)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311a)과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관통공(410)이 아답타플랜지(400)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따라서, 본 발명인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는 콘크리트수조(100)의 벽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배관파이프(310)의 플랜지(311)와 아답타플랜지(400) 사이에 폴리에틸렌시트(200)를 위치시킨 후 볼트(500) 체결시 상기 볼트(500)가 플랜지(311)의 체결공(311a)에 직접 체결이 이루어지면서 플랜지(311)와 아답타플랜지(400)가 배수부의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결합된다.그러므로 배수부의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볼트(500)를 이용해 아답타플랜지(400)와 플랜지(311)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도 별도의 너트를 플랜지의 타측면에 위치시키지 않아도 됨은 물론, 상기 콘크리트수조(100)의 벽(11)에 너트 및 볼트 머리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형성시키지 않아도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도 도 2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수조(100)를 형성하고 있는 벽(110)을 관통하며 배관파이프(310)가 설치되고, 상기 배관파이프(310)가 설치되어 있는 벽(110)의 내측면에는 폴리에틸렌시트(200)가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틸렌시트(200)에 일측면이 접하는 플랜지(311)가 벽(110)을 관통하는 배관파이프(310)의 단부에 용착되고, 상기 폴리에틸렌시트(200)의 타측면에는 아답타플랜지(400)가 플랜지(311)에 체결되는 볼트(500)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플랜지(311)에는 볼트(500)가 체결되는 체결공(311a)이 나선부를 가지며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311a)과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관통공(410)이 아답타플랜지(400)에 형성됨을 밝혀 둔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콘크리트수조(100)에 배관부(300)를 설치시, 콘크리트수조(100)의 벽(110)과 폴리에틸렌시트(20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배관파이프(310)의 단부에 체결공(311a)이 형성된 플랜지(311)를 용착시키고, 상기 배관파이프(310)가 설치되어 있는 벽의 내측면에는 플랜지(311)에 일측면이 접하도록 폴리에텔린시트(200)를 설치하며, 상기 플랜지(311)에 일측면이 접하도록 벽(11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폴리에틸렌시트(311)의 타측면에는 플랜지(311)의 체결공(311a)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아답타플랜지(400)에 형성된 관통공(410)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500)를 삽입시켜 플랜지(311)의 체결공(311a)에 체결을 시켜 주는 것에 의해 배관파이프(310)의 플랜지(311)와 아답타플랜지(400) 사이에 폴리에틸렌시트(200)가 설치되어 배관부(300)의 방수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상기 콘크리트수조(100)에 담겨져 있는 물이 배관파이프(310)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부(300)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수조(100)에 배관부(300)를 형성시, 벽(110)을 관통하며 설치된 배관파이프(310)의 플랜지(311)와 아답타플랜지(400) 사이에 폴리에틸렌시트(200)를 위치시킨 후 볼트(500) 체결하는 하는 것에 의해 배관부(300)의 방수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상기 배관파이프(310)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부(300) 주위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콘크리트수조(100)의 외부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시트에 일측면이 접하는 플랜지가 벽을 관통하는 배관파이프의 단부에 용착되고, 상기 폴리에틸렌시트의 타측면에는 아답타플랜지가 플랜지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어, 배관부의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상기 배관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부 주위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콘크리트수조의 외부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콘크리트수조(100)를 형성하고 있는 벽(110)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배관파이프(310)의 플랜지(311)가 폴리에틸렌시트(200)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폴리에틸렌시트(200)의 타측면에는 아답타플랜지(400)가 설치되며, 상기 아답타플랜지(400)와 플랜지(311)가 볼트(500)에 의해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볼트(500)의 나사산이 체결되는 나선부가 플랜지(311)의 체결공(311a)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311a)과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관통공(410)이 아답타플랜지(400)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2. 삭제
KR10-2002-0009343A 2002-02-21 2002-02-21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KR100451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343A KR100451120B1 (ko) 2002-02-21 2002-02-21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343A KR100451120B1 (ko) 2002-02-21 2002-02-21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169U Division KR200274401Y1 (ko) 2002-02-21 2002-02-21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529A KR20030069529A (ko) 2003-08-27
KR100451120B1 true KR100451120B1 (ko) 2004-10-14

Family

ID=32222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343A KR100451120B1 (ko) 2002-02-21 2002-02-21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195B1 (ko) * 2014-07-29 2015-02-26 청록엔지니어링(주) 콘크리트 수조용 플랜지
CN109629892B (zh) * 2018-12-21 2023-12-12 北京中安金圣科技有限公司 储热水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9712U (ko) * 1977-03-23 1978-10-14
JPS53121213A (en) * 1977-03-30 1978-10-23 Tsutsunaka Shiito Bousui Kk Method of waterrproofing peripheral portions of water feed and discharge ports in waterrstoring structure
JPH01161492U (ko) * 1988-04-28 1989-11-09
JP2000142882A (ja) * 1998-10-30 2000-05-23 Kyokuto Kaihatsu Kogyo Co Ltd 作業車における水タン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9712U (ko) * 1977-03-23 1978-10-14
JPS53121213A (en) * 1977-03-30 1978-10-23 Tsutsunaka Shiito Bousui Kk Method of waterrproofing peripheral portions of water feed and discharge ports in waterrstoring structure
JPH01161492U (ko) * 1988-04-28 1989-11-09
JP2000142882A (ja) * 1998-10-30 2000-05-23 Kyokuto Kaihatsu Kogyo Co Ltd 作業車における水タン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529A (ko) 200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8286B2 (en) Storage tank orifice flexible center mount fitting
KR100451120B1 (ko)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US59416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a flange
KR200274401Y1 (ko)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KR100451121B1 (ko)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KR200262358Y1 (ko) 콘크리트수조의 배관부
KR200262359Y1 (ko) 콘크리트수조의 배관파이프 설치구조
KR100432478B1 (ko) 콘크리트수조의 배관파이프 설치구조
CN210461971U (zh) 一种穿墙管件的防水密封处理结构
KR200296795Y1 (ko) 콘크리트수조의 배관파이프 설치구조
KR101563108B1 (ko) 수도관 누수보수용 부단수 보수관의 구조
JP3826219B2 (ja) コンクリート製貯槽とその施工法
KR20080083792A (ko) 실링성이 우수한 칼라시트 결속용 패킹장치
JP3665974B2 (ja) 老朽開水路の補修方法
KR100394185B1 (ko) 콘크리트수조의 폴리에틸렌시트 설치구조
JP3752321B2 (ja) 流体の分岐方法
KR100842412B1 (ko)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과 보수방법
JP2003336787A (ja) 保護カバー及びこの使用方法
KR200266755Y1 (ko) 콘크리트수조의 방수구조
KR101460101B1 (ko) 콘크리트 수조를 관통하는 배수관의 방수공법
JPH0452308Y2 (ko)
KR200262357Y1 (ko) 콘크리트수조의 폴리에틸렌시트 설치구조
JP5105219B2 (ja) コンクリート製貯槽
CN219221524U (zh) 一种易连接的耐蚀性强排水管
KR200419728Y1 (ko)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