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275Y1 -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275Y1
KR200262275Y1 KR2020010031902U KR20010031902U KR200262275Y1 KR 200262275 Y1 KR200262275 Y1 KR 200262275Y1 KR 2020010031902 U KR2020010031902 U KR 2020010031902U KR 20010031902 U KR20010031902 U KR 20010031902U KR 200262275 Y1 KR200262275 Y1 KR 2002622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impact
shock
quench
quench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상
Original Assignee
조승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상 filed Critical 조승상
Priority to KR2020010031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2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2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275Y1/ko

Link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충격소멸관으로 구성된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소멸관은 관형상으로서 일정 이상의 충격을 받으면 절단되도록 칼로 베인 듯이 음각된 절단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충격을 받은 물체가 충격에 의해 부숴져버리면, 충돌체의 운동량의 전부 또는 일부가 소멸됨으로써 충돌체의 운동량이 충격을 받은 물체와 접하고 있는 다른 물체로 전이되는 것을 봉쇄 혹은 감쇄하는 원리를 응용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는 일정 이상의 충격을 받으면 절단되는 절단선이 음각된 충격소멸관을 통하여 충격시에 발생한 충격력을 수차에 걸쳐 순차적으로 분산하여 흡수함으로써 충돌사고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고자 하는 장치이다.

Description

충격흡수장치{APPARATUS FOR ABSORBING SHOCK POWER}
본 고안은 자동차충돌사고 등에 있어서,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력을 여러차례에 걸쳐 흡수하고 소멸시킴으로써, 자동차에 승차하고 있는 인명을 보호하는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충격흡수장치는 충격시에 발생하는 큰 충격력을 적절히 제어하지 못함으로써 자동차 등에 승차한 인명을 보호하는데 부족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충격력을 수회에 걸쳐 나누어 흡수함으로써, 한꺼번에 큰 충격력이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장치로는 특허출원(출원번호:1996-077055)된 차량의 프론트프레임충격흡수장치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충격흡수재의 재질이 정해진 경우 제1차충격, 제2차충격, 제3차충격시의 충격력을 조절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관형상의 충격소멸관을 적층하고 충격소멸관에 절단선을 음각함으로써, 동일한 재질에 대해 일정 이상의 운동량을 가진 물체가 충돌하면 상기 다수의 충격소멸관이 순차적으로 충격소멸관에 음각된 절단선을 따라 절단됨으로써 충격력이 수차례에 걸쳐 분산·소멸되어 충격력의 전달을 극소화시키는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일실시예의 개략적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또 다른 일시예의 개략적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10-2: 제1충격소멸관 120, 120-2: 제2충격소멸관
130, 130-2: 제3충격소멸관
210, 210-2: 제1절단선 220, 220-2: 제2절단선
230, 230-2: 제3절단선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충격소멸관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소멸관은 관형상으로서 충격을 받으면 절단되도록 음각된 절단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층부의 충격소멸관과 하층부의 충격소멸관은 서로 접촉하며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1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소멸관은 원통관으로서, 관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평행절단선을 포함하고, 상기 상층부의 충격소멸관과 하층부의 충격소멸관은 서로 교차하며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1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소멸관은 원통형의 고리관으로서, 관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평행절단선을 포함하고, 상기 상층부의 충격소멸관과 하층부의 충격소멸관은 서로 교차하며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개략적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는 제1충격소멸관(110)을 갖는다. 제1충격소멸관(110)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구분되고 그 형상은 원통형이다.
도1을 참조하면, 제1충격소멸관(110)에는 일정량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절단되도록 음각된 제1절단선(210)이 형성된다. 제1절단선(210)은 제1충격소멸관(110)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음각된다.
도1을 참조하면, 제1충격소멸관(110)의 하부에는 제2충격소멸관(120)이 직교하며 연결되고, 제2충격소멸관의 하부에는 제3충격소멸관(130)이 직교하며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제2충격소멸관(120), 제3충격소멸관(130) 각각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충격소멸관으로 구분되고 그 형상은 원통형이다.
도1을 참조하면, 제2충격소멸관(120)에 음각되는 제2절단선(220)은 제2충격소멸관(120)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음각되고, 제3충격소멸관(130)에 음각되는 제3절단선(230)은 제3충격소멸관(130)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음각된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을 갖는 충격흡수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충돌물체가 본 고안인 충격흡수장치와 충돌하면, 먼저 제1충격소멸관(110)이 제1충격소멸관(110)에 음각된 제1절단선(210)을 따라 산산히 부서짐으로써 충격운동량의 일부를 감쇄시키게 된다.
이때, 제1충격소멸관(110)에 의한 충격운동량의 감쇄는 제1충격소멸관(110)의 재질 및 제1충격소멸관(110)에 음각된 제1절단선(210)의 음각깊이 및 음각형상에 의존한다. 즉, 제1충격소멸관(110)이 흡수할 수 있는 충격력은 제1충격소멸관(110)의 재질이 연하고 제1절단선(210)의 음각깊이가 깊을수록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충격소멸관(110)의 재질과 제1절단선(210)의 음각깊이 및 음각형상을 조절하여 제1충격소멸관(110)과의 제1차충돌에 의한 제1차충격력 감쇄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1충격소멸관(110)를 통해 감쇄된 운동량을 갖는 충돌물체가 제2충격소멸관(120)에 충돌하면, 제1충격소멸관(110)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충격소멸관(120)이 제2절단선(220)을 따라 절단됨으로써 충돌물체의 잔여 운동량의 일부를 감쇄시킨다.
유사한 방식으로 3차에 걸친 충돌에 의해 운동량을 순차적으로 분산하여 감쇄시켜 소멸시킴으로써 한꺼번에 큰 충격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아니다.
상기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충격소멸관(110)과 제2충격소멸관(120) 및 제3충격 소멸관(130)은 원통형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제1충격소멸관(110)과 제2충격소멸관(120) 및 제3충격소멸관(130) 중의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은 사각통형이거나 기타의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충격소멸관이 서로 동일한 형상일 필요는 없다.
상기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절단선(210)과 제2절단선(220) 및 제3절단선(230)은 관의 중심선과 평행한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제1절단선(210)과 제2절단선(220) 및 제3절단선(230) 중의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은 관의 중심선과 일정한 각도를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절단선이 서로 동일한 형상일 필요는 없다.
상기의 일실시예에서는 충격흡수장치는 3층으로 적재된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충격흡수장치는 2층으로 적재되거나, 4층 또는 4층 이상으로 적재될 수 도 있다.
상기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충격소멸관(110)의 하부에는 제2충격소멸관(120)이 직교하며 연결되고, 제2충격소멸관(120)의 하부에는 제3충격소멸관(130)이 직교하며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제1충격소멸관(110)과 제2충격소멸관(120)이 이루는 각도와 제2충격소멸관(120)과 제3충격소멸관(130)이 이루는 각도는 기타의 각도일 수 있다.
실시예2
도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개략적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는 제1충격소멸관(110-2)을 갖는다. 제1충격소멸관(110-2)는 원통형의 고리관이다.
도2를 참조하면, 제1충격소멸관(110-2)에는 일정량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절단되도록 음각된 제1절단선(210-2)이 형성된다. 제1절단선(210-2)은 제1충격소멸관(110-2)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음각된다.
도2를 참조하면, 제1충격소멸관(110-2)의 하부에는 제2충격소멸관(120-2), 제3충격소멸관(130-2)이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제2충격소멸관(120-2), 제3충격소멸관(130-2) 각각은 원형의 고리관이다.
도2를 참조하면, 제2충격소멸관(120-2)에 음각되는 제2절단선(220-2)은 제2충격소멸관(120-2)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음각되고, 제3충격소멸관(130-2)에 음각되는 제3절단선(230-2)은 제3충격소멸관(130-2)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음각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충격흡수장치의 작동은 실시예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을 상기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충격소멸관(110-2)과 제2충격소멸관(120-2) 및 제3충격소멸관(130-2)은 원통형 고리관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제1충격소멸관(110-2)과 제2충격소멸관(120-2) 및 제3충격소멸관(130-2) 중의 어느하나 또는 하나 이상은 사각통형 고리관이거나 기타의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충격소멸관이 서로 동일한 형상일 필요는 없다.
상기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절단선(210-2)과 제2절단선(220-2) 및 제3절단선(230-2)은 관의 중심선과 평행한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제1절단선(210)과 제2절단선(220) 및 제3절단선(230) 중의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은 관의 중심선과 일정한 각도를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절단선이 서로 동일한 형상일 필요는 없다.
상기의 일실시예에서는 충격흡수장치는 3층으로 적재된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충격흡수장치는 2층으로 적재되거나, 4층 또는 4층 이상으로 적재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충격소멸관에 음각된 절단선이 절단됨으로 인하여 충돌체의 운동량을 여러차례에 걸쳐 분산·소멸시킴으로써,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충돌시의 인명피해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둘 이상의 충격소멸관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소멸관은 관형상으로서 충격을 받으면 절단되도록 음각된 절단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층부의 충격소멸관과 하층부의 충격소멸관은 서로 접촉하며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소멸관은 원통관으로서, 관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평행절단선을 포함하고,
    상기 상층부의 충격소멸관과 하층부의 충격소멸관은 서로 교차하며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소멸관은 원통형의 고리관으로서, 관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평행절단선을 포함하고,
    상기 상층부의 충격소멸관과 하층부의 충격소멸관은 서로 접촉하며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장치.
KR2020010031902U 2001-10-18 2001-10-18 충격흡수장치 KR2002622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902U KR200262275Y1 (ko) 2001-10-18 2001-10-18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902U KR200262275Y1 (ko) 2001-10-18 2001-10-18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275Y1 true KR200262275Y1 (ko) 2002-03-18

Family

ID=7306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902U KR200262275Y1 (ko) 2001-10-18 2001-10-18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27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141B1 (ko) * 2016-08-10 2018-12-11 국방과학연구소 충격진동 저감을 위한 음향메타물질 복합재료 구조체
KR102124562B1 (ko) * 2019-01-23 2020-06-18 국방과학연구소 국부공진 특성을 조절하여 충격진동 저감된 음향메타물질 구조체 및 그 형성 방법
KR20200072305A (ko) * 2018-12-12 2020-06-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흡음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16858A (ko) * 2019-08-05 2021-02-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흡음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141B1 (ko) * 2016-08-10 2018-12-11 국방과학연구소 충격진동 저감을 위한 음향메타물질 복합재료 구조체
KR20200072305A (ko) * 2018-12-12 2020-06-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흡음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200473B1 (ko) 2018-12-12 2021-01-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흡음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124562B1 (ko) * 2019-01-23 2020-06-18 국방과학연구소 국부공진 특성을 조절하여 충격진동 저감된 음향메타물질 구조체 및 그 형성 방법
KR20210016858A (ko) * 2019-08-05 2021-02-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흡음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11748B1 (ko) 2019-08-05 2021-10-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흡음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7657A (en) Vehicle mounted crash attenuation system
KR200262275Y1 (ko) 충격흡수장치
CN104925080B (zh) 单轨动车的止挡梁及其防爬吸能装置
JP2002178953A (ja) 歩行者の保護機能を有する自動車のフェンダーパネルの衝撃吸収構造
KR100246635B1 (ko) 충격흡수 완화장치
CN207646655U (zh) 一种用于桥墩的多层缓冲防撞装置
JP5151848B2 (ja) 衝撃吸収構造および車両
KR200258909Y1 (ko) 충격흡수장치
JPH0331943B2 (ko)
JP2020019308A (ja) 車体のフレーム構造
WO2018126598A1 (zh) 正四边形结构的电磁脉冲防护装置
WO2018126599A1 (zh) 椭圆形结构的电磁脉冲防护隐身斗篷
CN208558974U (zh) 一种抗震龟形救援车
CN207579546U (zh) 一种汽车侧门防撞保护装置
WO2018126600A1 (zh) 球形结构的电磁脉冲防护隐身斗篷
KR101487503B1 (ko) 슬래밍 충격완화 구조의 해양구조물
WO2020186292A1 (en) Energy absorbing bollard – impact absorber
CN207280295U (zh) 一种防弹衣
CN110965469A (zh) 一种道路隔音护栏
JP2001248673A (ja) 衝撃吸収マット
CN105509568B (zh) 一种车用防雷板结构及汽车
CN111155420B (zh) 一种基于折纸结构的桥墩防撞吸能装置
CN213144495U (zh) 一种多孔钢吸能结构控制器及采动围岩支护装置
GB2351509A (en) Blast suppression panel
CN208520268U (zh) 一种车辆多层级爆炸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