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635B1 - 충격흡수 완화장치 - Google Patents

충격흡수 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635B1
KR100246635B1 KR1019970048483A KR19970048483A KR100246635B1 KR 100246635 B1 KR100246635 B1 KR 100246635B1 KR 1019970048483 A KR1019970048483 A KR 1019970048483A KR 19970048483 A KR19970048483 A KR 19970048483A KR 100246635 B1 KR100246635 B1 KR 100246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hock absorbing
bar
shaped member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1896A (ko
Inventor
허광용
Original Assignee
허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광용 filed Critical 허광용
Priority to KR1019970048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635B1/ko
Publication of KR19980041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896A/ko
Priority to DE69832507T priority patent/DE69832507T2/de
Priority to PCT/KR1998/000288 priority patent/WO1999015807A1/en
Priority to AT98944329T priority patent/ATE310915T1/de
Priority to CN98809400A priority patent/CN1108466C/zh
Priority to EP98944329A priority patent/EP1015789B1/en
Priority to JP2000513070A priority patent/JP3663507B2/ja
Priority to US09/509,109 priority patent/US6401887B1/en
Priority to AU91890/98A priority patent/AU741796B2/en
Priority to CA002304780A priority patent/CA2304780C/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03One-shot shock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아들과, 상기 바아들이 교차되고 교차점이 체결된 X형 부재와, 상기 X형 부재의 좌.우측에 있는 상측 바아와 하측 바아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선재와, 상기 X형 부재 양측에 있는 X형 부재 단부가 삽입되고 상하로 길게 연장된 홈이 구비된 가이드판넬들을 포함하여 일측에 있는 상기 가이드 판넬에 충격에 의한 운동에너지가 인가될때 힘의 방향을 구직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동시에 가이드 판넬 사이의 X형 부재에 연결되는 선재가 신장되고 파단될때 까지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충격흡수장치로서, 충돌하는 물체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Description

충격 흡수 완화 장치
본 발명은 충격흡수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동에너지가 인가될 때 힘의 방향을 수직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동시에 선재의 파단 응력을 이용하여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고 관성에 의한 충격을 경감시키도록 변위를 확보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서도 이용할 수가 있으며 예를들어 자동차충격흡수범퍼용, 선박의 선체주위의 범퍼용, 공항의 동체착륙용 비상활주로 및 방호벽, 승강기 하부·피트의 충격흡수용, 특수장비의 보호용범퍼, 대형특장화물차량 범퍼용, 열차의 전.후두부 범퍼, 방호벽·가드레일·도로분리대와 같은 도로교통안전시설용, 도로/선로종단부 방호시설, 화재시 저층 건물에서 긴급하게 점프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낙하보드용, 선박접안항만시설용, 시설물보호용등 외부로 부터의 이탈 방지와 충격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산업과 내진설계등 전 분야에 걸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개념의 충격흡수는 본체의 일부가 압력방향으로 찌그러짐으로써 힘을 흡수하고 그 순간 만큼 충돌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이 충격흡수 방법으로 보편화 되어 있어 자동차 제작회사조차 차량의 새시도 일정한 압력이상을 받으면 찌그러지도록 설계했다.
통상 주위에서 발견할 수 있는 충격흡수완화장치는, 에어백, 가스쇼바, 스프링, 점성이 강한 물질, 스치로풀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중 압력을 받고 외부 표피면(구(求)의 표면)으로 고루 압력을 분산시켜 주는 에어백이 가장 이상적인 충격흡수 완화장치이나 이는 큰 공간을 필요로 하여 협소한 공간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고가인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스쇼바는 실린더내의 가스 수축압력이 증가하는 동안 충격을 흡수하나 충격 방향은 그대로 유지되고, 상기 스프링의 경우는 스프링을 갖고있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힘을 흡수하나 반작용으로 인한 반발력으로 되퉁겨 나가는 문제를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나머지 충격흡수완화장치는 충격에 의한 힘의 방향을 분산하거나 전환 흡수할 수 없어 반작용에 의한 반발력을 제공함으로 운동에너지를 제대로 흡수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완충재의 크기와 대비하여 충분한 변위를 확보할 수 없어 충격물체와 피 충격물체의 손상이 심하고, 부딪치는 물체가 차량인 경우 탑승자가 심하게 상해를 입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반발력, 힘의 방향 전환 및 완충재의 변위확보등을 통해 탑승자의 상해치를 경감시키고, 낮은 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충격에 대한 흡수가 뛰어난 완충장치와 경미한 충격시(1톤기준: 20km/h이하)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충격흡수완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X형 부재로 구비된 충격 흡수완화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및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적층된 충격흡수완화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와 이를 가드레일에 적용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의 제5,6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완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표 1은 인장하중치에 의한 충격량에 따른 필요 선재수량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105,211 : 선재 결착홈 10 : 연결홈
11,101,207 : 바아 20 : 연결봉
33,103,205 : 회전중심축 44,209 : 선재
60 : 병렬 연결홈 70 : 타원 막대형 홈
91 : 원형의 캡 92 : 철선고리
99 : 보조지지대 107 : 병렬연결홈(또는 선재결착홈)
201 : 가드레일 (파이프) 횡축 222 : 충돌물 제지판
A : 물결모양의 굴곡을 가진 형태
B : 기준축인 횡축에 결합된 단위 충격흡수완화장치
D1 : 선재연결부 간의 거리
D2 : 인장력에 의해 선재가 피단되는 임의의 거리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완화장치는, 충격흡수완화장치에 있어서, 바아들과, 상기 바아들이 교차되고 교차점이 체결된 X형 부재와, 상기 X형 부재의 좌.우측에 있는 상측 바아와 하측 바아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선재와, 상기 X형 부재 양측에 있는 X형 부재 단부가 삽입되고 상하로 길게 연장된 홈이 구비된 가이드판넬들을 포함하여 일측에 있는 상기 가이드 판넬에 충격에 의한 운동에너지가 인가될때 타측 가이드판넬 사이에서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고 변위를 확보하는 것을 제1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완화장치는, 바아들과, 상기 바아들이 교차하는 X형부재와, 상기 X형 부재들이 횡방향, 종방향, 축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X형 부재의 좌.우측에 있는 상측 바아와 하측 바아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선재와, 양측에 있는 X형 부재 각각의 단부들이 삽입되고 상하로 길게 연장된 홈들이 구비된 가이드판넬들을 포함하여 일측에 있는 상기 가이드판넬에 충격에 의한 운동에너지가 인가될 때 타측 가이드판넬 사이에서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고 변위를 확보하는 것을 제2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두개의 바아가 "X"형태로 교차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X"형의 좌우측의 상하부를 연결하는 선재를 형성하여 일측 가이드판넬에 충돌시 직선 방향의 힘을 수직 방향으로 전환시키고, 수직 방향에서 인가되는 힘으로 선재가 신장됨과 동시에 선재가 파단(break)되면서 바아에 인가되는 반발력을 최소화하도록 하여 충돌하는 물체의 소성변형을 최소화 하고 관성에 의한 탑승자의 상해치 정도를 크게 경감시킬 수 있는 변위(displacement)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선재가 스프링인 경우 운동에너지가 인가된 이후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한 급격한 반반력을 제공하므로 이를 억제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별도의 단위부재(도시안됨)가 필요하다.
상기 단위 부재는 내압 실린더형이나 잠금 걸쇠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원리로 형성된 충격흡수완화장치를 직렬, 병렬 및 직.병렬로 연결시켜 그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직렬, 병렬 및 직.병렬된 형태로 연결된 충격흡수완화장치를 적층되는 형태로 형성하되, 단위 충격흡수장치를 적층하는 대신에 적층된 높이를 대신할 수 있도록 바아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고 상기 바아를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 도 내지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완화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상기 제 1 도는 본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완화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중심부에서 "X"형으로 서로 교차되는 두개의 바아(11) 일측 끝부분에 구비되는 타원 막대형 홈(70)과, 상기 두개의 바아(11) 타측 끝부분에 구비되는 연결홈(10)과, 상기 두개의 바아 교차부를 체결하는 회전중심축(33)과, 상기 두개의 바아(11)에 형성되는 결착홈(9)과, 상기 두개의 바아 일측 상하측과 타측 상하측의 결착홈(9)에 각각 연결되는 선재(44)와, 상기 결착홈(9)과 회전중심축(33) 사이에 병렬연결홈(6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착홈(9)은 상기 바아(11)에 "ㅇ"으로 홈을 내어 형성하거나, 선재를 기준으로 상기 바아(11)의 바깥쪽에 "∪"와 "∩"자형 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하측 각각 하나의 결착홈(9)에 상기 선재(44)를 연결하되, 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두개 이상의 선재를 연결하거나, 팽창계수가 같거나 굵기가 다른 두개이상의 선재를 연결하되, 각각 그 길이를 다르게 하여 연결한다. (제 1 도)
상기 제 2 도는 상기 제 1 도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완화장치의 작동원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바아(11) 일측과 타측의 양단에 힘을 받게되면 회전중심축(33)을 중심으로 DW1 위치에서 선재(44)가 끊어질 임의의 폭 DW2로 바아(11)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면 첫째마디 선재D1의 접점거리가 D2로 늘어나고, 상기 선재는 차례로 파단되면서 인장하중의 힘을 흡수하고 DW1-DW2 폭 만큼 충돌지연시간을 부여하므로 충격흡수 및 완화효과를 갖는다. 이는 양단에 걸리는 힘의 방향을 직교선상으로 분산하여 바아(11) 마디에 걸려있는 선재(44)에 인장력을 부여하고 파단될때까지의 힘을 흡수하며, 나머지 힘은 DW1의 폭이 0가 될때까지 충돌시간을 연장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충격흡수장치의 장점은 상기 변위(displacement)되는 폭(DW1-DW2)이 전체 폭의 약 82-88%까지 줄어들게 됨으로 변위를 확보할 수 있어 관성에 의한 탑승자의 상해 정도를 크게 경감시킬 수 있어 그 효과가 크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선재(44)는 철선, 와이어, PP선, 섬유질로 형성된 강선 또는 봉 등과 같이 강한 인장력을 갖는 물질로 형성하되, 중앙부에 물결모양의 굴곡이 구비되도록 하여 경미한 충격을 흡수토록 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량을 고려하여 선재의 두께 및 수량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표 1참조).
그리고, 상기 선재(44)는 탄성계수가 큰 스프링이나 고무줄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선재(44)는 바아의 교차점에 상측과 하측에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충돌에너지가 가해질 경우 텐션스트레스(tension-stress)가 미미하게 작용하고 충돌후 압축스트레스(press-stress)가 강하게 작용하여 스프링의 급격한 반발력을 서서히 완화시켜 줄 수 있는 단위부재(도시안됨)와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부재는 일측 또는 양측에 피스톤이 형성된 내압 실린더형으로 구비되어 실린더 일측의 피스톤은 X형 부재의 상측 바아에 연결되고 타측 피스톤은 하측의 바아에 연결시켜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단위부재는 잠금 걸쇠등 다양한 방법으로 스프링에 의한 급격한 반발력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중심축(33,103)은 상기 두개의 바아(11)를 체결하는 볼트, 너트로 형성하거나, 회전중심축(33,103) 주변의 바아(11)를 도포하는 플라스틱이나 철선 고리를 형성하여 전단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면서 충격을 2차흡수한다. 그리고, 상기 바아(11)는 굽힘응력(bending stress)이 큰 금속이나 합성수지, 예를 들면 철이나 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형성하되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회전중심축(103)은 바아와 바아의 교차점으로 스프링 사용시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을 차단하는 단위부재(도시안됨)의 연결부가 되기도 한다.
여기서, 상기 선재 중에서 인장강도 40kg/㎟인 연강선을 예로 들면, 지름 2mm의 연강선은 개당 인장력이 약 125kg/㎟이므로 10톤의 충격은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70~90 가닥 정도의 선으로 충격을 흡수 소화 할 수 있다. (제 2 도)
상기 제 3 도는 상기 제 1 도에 도시된 단위 충격흡수완화장치를 3개 연결한 것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하나의 바아(11) 일측에 형성된 타원 막대형 홈(70)과 다른 하나의 바아(11) 타측에 형성된 연결홈(10)을 볼트, 너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연결하여 바아(11)를 직렬 연결한 것을 도시한다.
이때, 상기 바아를 2개이상 직렬형태로 구성할 때, 타원 막대형 홈(70)은 연결홈(10)과 결합하여 결합시의 상기 타원 막대형 홈(70)을 제공하는 단위 충격흡수완화장치보다 연결홈(10)을 제공하는 단위 충격흡수완화장치의 접회전 각도를 크게 할 수 있어 선재(44)가 파단되는 시간차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단위 충격흡수완화장치가 연결될수록 더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홈(10) 또는 타원 막대형 홈(70)과 병렬연결홈(60)을 이용하여 병렬 연결함으로써 병렬 연결된 충격흡수완화장치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 3 도)
상기 제 4 도는 상기 제 3 도에 형성된 충격흡수완화장치를 이용하여 직,병렬로 연결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병렬연결홈(60), 연결홈(10) 및 타원 막대형 홈(70)에 연결봉(20)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충격을 동시에 다단계별로 흡수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직렬이나 직,병렬로 충격흡수완화장치를 연결하는 경우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회전중심축(33)을 봉으로 형성하고 앞부분과 뒷부분의 단위 충격흡수완화장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선재는 상기 바아(11) 선재결착홈과 같은 용도로 상기 충격흡수완화장치 상측의 연결봉(20)과 하측의 연결봉(20)에 연결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제 4 도)
상기 제 5 도는 상기 제 1 도의 형상으로 형성된 단위 충격흡수완화장치에 보조지지대(99)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 5 도)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바아의 형태를 "X"가 아닌 "◇"형으로 형성하거나, "×" 및 "×"형태로 회전중심축이 구비되는 바아를 형성한 다음, 선재를 일측 상,하변과 타측 상,하변에 연결된 구조로 형성하여 충격흡수완화장치를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완화장치를 직,병렬로 연결하는 경우는 상기 "◇"의 꼭지점을 이용하여 실시한다.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완화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상기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병렬로 연결된 충격흡수완화장치를 다수 적층하여 형성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도록 중앙부 2개 바아의 길이를 가장 길게 형성하고 이하 좌,우 상하측 바아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길이를 다르게 격자 체결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바하(101)는 일측의 보조지지대(도시안됨)에서 타측의 보조지지대(도시안됨)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길게 형성되고, 상기 두개의 바아가 교차하는 부분에 각각 회전중심축(103)이 구비되고, 상기 바아(101)의 상기 회전중심축(103)과 회전중심축(103) 사이에는 선재결착홈(105,107) 및 병렬연결홈(107)이 구비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상기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직병렬로 연결된 충격흡수완화장치의 다수를 적층하는 경우 역시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나의 바아에 다수의 회전중심축(103)이 구비되도록 길게 형성된 바아와 각기 회전중심축에 맞는 길이의 바아가 구비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6 도와 같이 적층된 충격흡수완화장치는 지지대가 없거나 일정높이 이하인 경우 일측에 빗변을 갖는 비대칭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완화장치를 가드레일에 적용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A부분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충격량을 흡수.완화시켜줄 수 있는 제6실시예를 도시한다.
먼저, 기존 가드레일횡축(201)에 회전중심축(205)과, 상기 회전중심축에 중앙부가 체결된 바아와, 상기 가드레일(201)의 내측 충돌물제지판(222)에서 가해지는 힘의 전달방향과 반대측인 가드레일(201)의 바깥 측에 선재(209)가 구비되되, 상기 바아(207)와 가드레일(201)에 구비된 선재결착홈(211)간을 연결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중심축(205) 체결부는 전체 모멘트의 굽힘응력 범위내에서 각각 임의 간격으로 설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드레일판(파이프)횡축(203)에 바아 중앙부와 회전중심축(205)이 체결되도록 다수 적층되도록 형성하여 충격흡수완화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참고로, 기존의 가드레일은 충돌하는 물체의 방향을 진행방향으로 복원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은 제동효과를 갖고 있어 내리막길의 브레이크가 파열된 차량의 예견된 대형사고의 위험으로부터 가벼운 충격, 즉 선재가 파단되는 인장응력을 단계적으로 제공하면서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면서 효과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가드레일 형상의 구조물을 비행장의 비상활주로 바닥에 적용하여 동체착륙시 비행기가 미끄러지는 제동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다. 이때, 구조는 상기 제 7 도의 선재가 구비된 부분이 땅속에 묻히고 충돌물제지판이 지상으로 돌출된 형태가 된다.
제 8 도 및 제 9 도는 본 발명의 제5,6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완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제 8 도는 상기 제 5 도와 같이 형성된 충격흡수완화장치의 회전중심축(33) 부분에 전단력을 받을 수 있는 원형의 캡(91)이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원형의 캡(91)은 플라스틱이나 PVC 물질과 같이 전단력을 받을 수 있는 물질로 대신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9 도는 상기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완화장치에 구비된 원형의 캡 대신 철선고리(92)가 사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원형의 캡(91)과 철선고리(92)는 동시에 사용 가능하며, 상기 선재(44)가 제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한다고 할 때 제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8 도와 제 9 도에 도시된 제5,6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2,3,4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완화장치는, 구조물의 특성상 극히 협소한 공간에서도 이용할 수 있어, 자동차충격흡수범퍼용, 선박의 선체주위 범퍼용, 공항의 동체착륙용 비상활주로 및 방호벽, 승강기 하부·피트의 충격흡수용, 대형특장화물차량범퍼용, 열차의 전.후두부 범퍼, 특수장비의 보호용범퍼, 방호벽·가드레일·분리대와 같은 도로교통안전시설용, 도로/선로종단부 방호시설, 화재시 저층 건물에서 긴급하게 점프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낙하보드용, 선박접안 항만시설용, 시설물보호용 등과 같이 외부로 부터의 이탈 방지와 충격량을 경감시키고자 하는 산업과 내진설계등 전 분야에 걸쳐 고루 응용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원의 기술 이용시 향후 자동차 차체의 설계 개념을 달리하고 사용 방법에 따라 철강재도 충격흡수완화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는 신 개념을 보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완화장치는, 순간 충격시 충격에 의한 힘의 방향의 일부를 수직된 방향으로 전환시켜 충격량을 다단계로 흡수소멸하고 회전중심축을 기준 평행상태로 두개의 바아가 교접될 거리만큼 변위를 확보할 수 있어 최종 충돌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피대상물 및 대상물의 변형 방지와 대상물에 존재하는 탑승자의 상해치를 크게 경감시키고 물적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kpo00002

Claims (22)

  1. 충격흡수완화장치에 있어서, 바아들과, 상기 바아들이 교차되고 교차점이 체결된 X형 부재와, 상기 X형 부재의 좌.우측에 있는 상측 바아와 하측 바아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선재와, 상기 X형 부재 양측에 있는 X형 부재 단부가 삽입되고 상하로 길게 연장된 홈이 구비된 가이드판넬들을 포함하여 일측에 있는 상기 가이드 판넬에 충격에 의한 운동에너지가 인가될때 타측 가이드판넬 사이에서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고 변위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바아는 "◇"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형 부재는 상기 교차점을 중심으로 대칭 또는 비대칭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는 금속이나 합성수지와 같이 굽힘 응력이 큰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는 직선 또는 비 직선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중심축은 상기 두개의 바아로 구획되는 4개의 영역중 일측과 타측이 이루는 영역을 감싸는 플라스틱이나 PVC 물질이나 철선고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철선, 와이어, PP선, 섬유질로 형성된 강선 또는 봉 등과 같이 강한 인장력을 갖는 물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완화장치가 2개이상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체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바아의 구멍, 홈 또는 돌출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X형 부재의 좌.우측에 있는 상측 바아와 하측 바아에 연결되는 단위 선재가 각각 길이, 재료, 굵기 및 팽창계수가 다른 선재 중에서 하나 이상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스프링, 고무줄 등과 같이 복원력을 갖는 물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12. 충격흡수완화장치에 있어서, 바아들과, 상기 바아들이 교차하는 X형부재와, 상기 X형 부재들이 횡방향, 종방향, 축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X형 부재의 좌.우측에 있는 상측 바아와 하측 바아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선재와, 양측에 있는 X형 부재 각각의 단부들이 삽입되고 상하로 길게 연장된 홈들이 구비된 가이드판넬들을 포함하여 일측에 있는 상기 가이드판넬에 충격에 의한 운동에너지가 인가될 때 타측 가이드판넬 사이에서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고 변위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X형 부재와 이웃한 X형 부재에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아는 길게 연장되어지는 하나의 바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X형 부재들을 횡방향, 종방향, 축방향으로 반복적 형상을 구비하기 위해 상기 X형 부재의 교차점에 구비된 구멍과 상기 X형 부재의 단부에 구비된 구멍에 길게 연장된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를 종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철선, 와이어, PP선, 섬유질로 형성된 강선 또는 봉 등과 같이 강한 인장력을 갖는 물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바아의 구멍, 홈 또는 돌출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X형부재의 좌우측에 있는 상측바아와 하측바아에 연결되는 단위선재가 각각 길이, 재료, 굵기 및 팽창계수가 다른 선재중에서 하나 이상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는 금속이나 합성수지와 같이 굽힘응력이 큰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스프링, 고무줄 등과 같이 복원력을 갖는 물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충돌시 텐션 스트레스가 약하게 작용하고 충돌후 압축 스트레스가 강하게 작용하여 복원력에 의한 반발력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단위부재와 함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부재는 양측 또는 일측에 왕복할 수 있는 피스톤이 형성된 내압 실린더형으로 일측의 피스톤은 X형 부재의 상측 바아에 연결되고 타측 피스톤은 하측 바아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부재는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을 차단하는 잠금 걸쇠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완화장치.
KR1019970048483A 1997-09-24 1997-09-24 충격흡수 완화장치 KR100246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483A KR100246635B1 (ko) 1997-09-24 1997-09-24 충격흡수 완화장치
CN98809400A CN1108466C (zh) 1997-09-24 1998-09-21 冲击吸收装置
PCT/KR1998/000288 WO1999015807A1 (en) 1997-09-24 1998-09-21 Shock absorber
AT98944329T ATE310915T1 (de) 1997-09-24 1998-09-21 Stossdämpfer
DE69832507T DE69832507T2 (de) 1997-09-24 1998-09-21 Stossdämpfer
EP98944329A EP1015789B1 (en) 1997-09-24 1998-09-21 Shock absorber
JP2000513070A JP3663507B2 (ja) 1997-09-24 1998-09-21 衝撃吸収装置
US09/509,109 US6401887B1 (en) 1997-09-24 1998-09-21 Shock absorber
AU91890/98A AU741796B2 (en) 1997-09-24 1998-09-21 Shock absorber
CA002304780A CA2304780C (en) 1997-09-24 1998-09-21 Shock absor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483A KR100246635B1 (ko) 1997-09-24 1997-09-24 충격흡수 완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896A KR19980041896A (ko) 1998-08-17
KR100246635B1 true KR100246635B1 (ko) 2000-04-01

Family

ID=3671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483A KR100246635B1 (ko) 1997-09-24 1997-09-24 충격흡수 완화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401887B1 (ko)
EP (1) EP1015789B1 (ko)
JP (1) JP3663507B2 (ko)
KR (1) KR100246635B1 (ko)
CN (1) CN1108466C (ko)
AT (1) ATE310915T1 (ko)
AU (1) AU741796B2 (ko)
CA (1) CA2304780C (ko)
DE (1) DE69832507T2 (ko)
WO (1) WO19990158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763B1 (ko) * 2006-05-19 2013-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듀얼 매스 플라이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9766B2 (ja) * 2004-08-31 2013-04-24 玳▲行▼ 陳 衝撃吸収装置
US7314125B2 (en) * 2004-09-27 2008-01-01 Nike, Inc. Impact attenuating and spring elements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elements
US7730635B2 (en) * 2004-09-27 2010-06-08 Nike, Inc. Impact-attenuation members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members
US7757410B2 (en) 2006-06-05 2010-07-20 Nike, Inc. Impact-attenuation members with lateral and shear force stability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members
US7780224B2 (en) * 2007-06-08 2010-08-24 Vanguard National Trailer Corporation Crash attenuating underride guard
US8494106B2 (en) * 2007-11-15 2013-07-23 Global Nuclear Fuel—Americas, LLC Shipping container for shipping channeled fuel bundles
WO2011117231A1 (en) 2010-03-26 2011-09-29 Solvay Sa Method of treating waste gases
WO2013028150A2 (en) * 2010-08-11 2013-02-2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rticulating protective system for resisting mechanical loads
KR101150938B1 (ko) * 2010-08-11 2012-05-29 신도산업 주식회사 충격흡수장치
ITNA20100065A1 (it) * 2010-12-30 2012-07-01 Marzio Grasso Assorbitore universale di energia dâ¬"impatto per veicoli ferroviari
US8733744B2 (en) 2011-08-11 2014-05-27 Miner Elastomer Products Corporation Multipiece cushioning assembly for a telescoping shock absorbing assembly
US9821178B2 (en) 2013-02-08 2017-11-21 D B Industries, Llc Bracket assembly
CN109476219B (zh) * 2016-07-28 2022-05-10 日本制铁株式会社 冲击吸收构件
CN107283171B (zh) * 2017-07-07 2019-04-12 陕西科技大学 一种柔性减振机床基座及其减振方法
CN108001840B (zh) * 2017-11-29 2019-07-09 深圳恒仁星科技有限公司 一种物流运输防磕碰装置
CN109751222A (zh) * 2019-01-15 2019-05-14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车电动真空泵的减震装置
WO2020242381A1 (en) * 2019-05-28 2020-12-03 AMARASINGHE, Diwin Energy absorption unit for preventing shock injury
CN111765192B (zh) * 2020-07-06 2022-09-13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减震机构及具有其的舵轮装置
CN112227118B (zh) * 2020-10-27 2023-04-28 长安大学 一种智能自适应减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9218A (en) * 1971-04-26 1974-06-25 C Liu Energy absorbing safety bumper
US3972390A (en) * 1975-03-05 1976-08-03 Programmed & Remote Systems Corporation Energy absorbing device
FR2624233B1 (fr) * 1987-12-03 1993-10-22 Commerce Internal Echanges Techn Perfectionnement aux dispositifs antivibratoires/antichocs
US5403113A (en) * 1992-08-12 1995-04-04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Shear loading energy absorbing device
US5248129A (en) * 1992-08-12 1993-09-28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Energy absorbing roadside crash barrier
US5464177A (en) * 1993-12-29 1995-11-07 The B.F. Goodrich Company Energy absorbing impact barrier
JP3234105B2 (ja) * 1994-06-30 2001-12-04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減調機構
US5642792A (en) * 1996-03-12 1997-07-01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Highway crash cushion
US6203079B1 (en) * 1997-11-24 2001-03-20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Damped crash attenu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763B1 (ko) * 2006-05-19 2013-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듀얼 매스 플라이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41796B2 (en) 2001-12-13
CN1271409A (zh) 2000-10-25
US6401887B1 (en) 2002-06-11
JP2001517761A (ja) 2001-10-09
EP1015789A1 (en) 2000-07-05
CA2304780A1 (en) 1999-04-01
DE69832507T2 (de) 2006-08-10
CN1108466C (zh) 2003-05-14
CA2304780C (en) 2004-06-01
JP3663507B2 (ja) 2005-06-22
KR19980041896A (ko) 1998-08-17
AU9189098A (en) 1999-04-12
WO1999015807A1 (en) 1999-04-01
DE69832507D1 (de) 2005-12-29
EP1015789B1 (en) 2005-11-23
ATE310915T1 (de) 200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6635B1 (ko) 충격흡수 완화장치
US5851005A (en) Energy absorption apparatus
CN107090790B (zh) 一种柔性蜂窝结构防撞装置
KR100765954B1 (ko)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
EP1221508A2 (en) Vehicle impact attenuator
CA2432613C (en) Impact energy absorption device
CN209836870U (zh) 公路用安全防撞护栏
CN106828381A (zh) 一种基于多稳态单胞结构的多级安全防撞梁总成
KR20170085800A (ko) 차량 충돌 충격 흡수장치
CN110004852B (zh) 一种具有减震耗能作用的装配式道路隔离墩结构
US4118014A (en) Vehicular impact absorption system
KR100962094B1 (ko) 차량충돌 복원형 마찰패드 충격흡수완화 장치
KR101778299B1 (ko) 희생부재를 구비한 교량의 방호울타리 연결장치
CN111719469A (zh) 一种公路中央防撞隔离护栏装置
CN110395316A (zh) 一种拱形汽车防撞组合梁
CN213448055U (zh) 适用于中小跨径梁桥的可替换式防落梁耗能减震装置
KR100676457B1 (ko)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
CN207828843U (zh) 一种高速公路急转弯安全加强护栏
KR100516808B1 (ko) 충격 흡수 완화 시스템
CN212426889U (zh) 一种公路中央防撞隔离护栏装置
CN217203777U (zh) 一种波形梁护栏
KR20060072726A (ko) 방호 울타리의 충격완화장치
CN209975419U (zh) 一种装配式道路专用防撞栏
CN108086204A (zh) 一种高速公路急转弯安全加强护栏
CN210177419U (zh) 一种带波浪状防护横梁的公路防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