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426Y1 - 소품 수납용 수첩 - Google Patents

소품 수납용 수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426Y1
KR200261426Y1 KR2020010032399U KR20010032399U KR200261426Y1 KR 200261426 Y1 KR200261426 Y1 KR 200261426Y1 KR 2020010032399 U KR2020010032399 U KR 2020010032399U KR 20010032399 U KR20010032399 U KR 20010032399U KR 200261426 Y1 KR200261426 Y1 KR 200261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notebook
storage
accessor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3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김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태 filed Critical 김진태
Priority to KR20200100323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4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426Y1/ko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품 수납용 수첩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측에 다수의 메모용 시트가 적층되어 그 일측이 접착되어 있고 상기 시트의 외측 전면 및 배면에 걸쳐 상기 시트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덧씌워져 있는 수첩본체와, 상기 커버의 일측에 필기구 등의 소품을 개재하여 보관하기 위한 밀폐형의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 수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소품 수납용 수첩에 의하면, 수첩에 필기구 등을 일체로 수납할 수 있는 수납체를 구비함으로써 그 제품의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Description

소품 수납용 수첩{Pocket diary for receiving small tools}
본 고안은 필기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수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의 시스템 다이어리 등과 같은 수첩에 필기구 등의 소품을 일체로 지참할 수 있는 개폐 고정이 가능한 수납체를 구비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게 한 소품 수납용 수첩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현대인들은 사회 생활을 영위하면서 많은 정보들을 접하게 되고, 이러한 수많은 정보의 혼재 속에서 어느 시각 어느 장소에서든 사람들은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 지식들을 그때그때 수첩에 메모하거나 또는 전자수첩, 노트북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들을 이용하여 기록 및 저장하게 된다.
물질 문명이 고도로 발전하고 있는 요즘, 앞서 언급한 다양한 기록 매체들이 널리 보급 및 사용되고 추세에 있으나, 아직까지는 수첩 및 필기구를 이용한 전통적인 기록 방식이 오히려 간편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은 것도 현실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비춰볼 때, 대부분의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소위 말하는 시스템 다이어리라는 것을 사용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상기의 시스템 다이어리는 다기능성 수첩으로서, 오늘날까지도 유수의 제조업체들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제품들을 개발, 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수첩들은 필기구나 소형 휴대품 등을 보관하거나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수첩의 시트 사이에 필기구나 기타 물품들을 끼워서 보관하거나 또는 상기 필기구 등을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첩에 필기구 등을 일체로 수납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휴대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소품 수납용 수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소품 수납용 수첩은, 내측에 다수의 메모용 시트가 적층되어 그 일측이 접착되어 있고 상기 시트의 외측 전면 및 배면에 걸쳐 상기 시트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덧씌워져 있는 수첩본체와, 상기 커버의 일측에 필기구 등의 소품을 개재하여 보관하기 위한 밀폐형의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 수납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체는, 상기 배면커버의 단부 일측이 상기 전면커버에 비해 소정 폭 만큼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커버확장부의 내측 표면상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커버확장부에 인접하는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면이 밀폐되어 내측으로 소정 용적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본체와, 상기 수납본체의 일측면 하단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 폭으로 절곡되어 그 절곡된 면이 상기 커버확장부의 내측 표면상에 융착됨으로써 상기 수납본체의 개폐시 힌지점이 되는 융착부와, 상기 수납본체의 타측면 하단부에 상기 융착부와 대응되도록 외향 절곡된 플랜지부와, 상기 커버확장부의 내측 표면상에서 절곡된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플랜지부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수납본체 고정후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납본체는 그 외부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의 소품 개재 여부를 육안 판별할 수 있도록 투명성 합성수지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납체는, 상기 배면커버의 내측 표면에 대하여 그 상부에 적층된 상기 시트 및 전면커버를 균일 폭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 시트 및 전면커버에 형성된 관통공 내에 상기 수납체가 배치되어 상기 배면커버의 내측 표면상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배면커버의 내측 표면에 인접하는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면이 밀폐되어 내측으로 소정 용적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본체와, 상기 수납본체의 하단부 둘레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서 결합될 수 있는 요홈을 가지며 상기 수첩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부에서 상기 배면커버의 내측 표면상에 돌출된 수납본체 고정레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본체는 그 상부면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착탈시킬 수 있는 파지홈이 형성되며, 외부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의 소품 개재 여부를 육안 판별할 수 있도록 투명성 합성수지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품 수납용 수첩의 외부 구조 및 이에 적용된 수납체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소품 수납용 수첩의 수납체 내에 필기구 등을 수납한 후 밀폐시킨 상태를 도시한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소품 수납용 수첩의 수납체를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한 Ⅱ-Ⅱ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품 수납용 수첩의 구조를 도 3 및 도 4의 작동 상태와 대비하여 나타낸 Ⅱ-Ⅱ선 단면도로서, 이에 적용된 수납체의 개폐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필기구 100, 200 ; 수첩본체
110, 210 ; 전면커버 120, 220 ; 배면커버
121 ; 커버확장부 130, 230 ; 시트
140, 240 ; 수납체 141, 241 ; 수납본체
142 ; 융착부 143 ; 플랜지부
144, 244 ; 수납공간 145 ; 수납본체 고정후크
221 ; 관통공 242 ; 파지홈
243 ; 걸림돌기 245 ; 수납본체 고정레일
246 ; 요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품 수납용 수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품 수납용 수첩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 수첩의 외부 구조 및 이에 적용된 수납체(14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기 수납체(140) 내에 필기구(1) 등을 수납한 후 밀폐시킨 상태를 도시한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상기 수납체(14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Ⅱ-Ⅱ선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소품 수납용 수첩은, 통상적인 구조의 수첩본체(100)와, 상기 수첩본체(100)의 배면커버(120) 일측 표면상에 결합되는 수납체(1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첩본체(100)는, 내측에 다수의 메모용 시트(130)가 적층되어 그 일측이 접착되어 있고 상기 시트(130)의 외측 전면 및 배면에 걸쳐 상기 시트(130)를 보호하기 위한 전면커버(110) 및 배면커버(120)가 덧씌워진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배면커버(120)는 그 단부 일측이 상기 전면커버(110)에 비해 소정 폭 만큼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커버확장부(121)를 가지며, 그 내측 표면상에 상기 수납체(140)가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커버확장부(121)에는 상기 수납본체(141)의 일측을 걸어 밀폐시킬 수 있는 다수의 수납본체 고정후크(145)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커버확장부(121)의 일부를 원호형상으로 절개한 후 그 절개된 부위를 상부로 꺾어 올림으로써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수납본체 고정후크(145)는 위에서언급한 구조 이외에도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일례로서 상기 커버확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 자 형상으로 길게 절개한 후 그 절개된 부위를 상부로 꺾어 올린 단일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납체(140)는, 상기 배면커버(120)의 일측에 필기구(1) 등의 소품을 개재하여 보관하기 위한 밀폐형의 수납공간(144)이 마련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직육면체의 형상을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체(140)는, 상기 커버확장부(121)에 인접하는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면이 밀폐되어 내측으로 소정 용적의 수납공간(144)을 형성하는 수납본체(141)와, 상기 수납본체(141)의 일측면 하단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 폭으로 절곡되어 그 절곡된 면이 상기 커버확장부(121)의 내측 표면상에 융착됨으로써 상기 수납본체(141)의 개폐시 힌지점이 되는 융착부(142)와, 상기 수납본체(141)의 타측면 하단부에 상기 융착부(142)와 대응되도록 외향 절곡된 플랜지부(143)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141)의 개폐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수납본체(141)의 내부에 수납된 필기구(1)를 꺼내거나 그 내부로 필기구(1)를 수납하기 위한 개방시에는 도 3에서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젖히면 되고, 그러면 상기 수납본체(141)는 융착부(142)를 힌지점으로 하여 그 대응 측벽쪽의 플랜지부(143)가 상기 수납본체 고정후크(145)로부터 벗어나게 되면서 수납공간(144)을 개방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상기 수납본체(141)의 내부에필기구(1)를 수납한 후 밀폐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수납본체(141)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플랜지부(143)가 상기 수납본체 고정후크(145)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수납본체(141)와 배면커버(120)는 상호 접촉에 의한 마찰시 신축성이 있어야 하므로 어느 정도 탄성을 유지하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납본체(141)가 투시되어 그 외부에서 상기 수납공간(144)내의 소품 개재 여부를 육안 판별할 수 있도록 투명성 합성수지로 제작하면 더욱 좋다.
한편, 도 4는 상기 실시예와는 다른 소품수납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선행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및 도 4의 작동 상태와 대비하여 나타낸 Ⅱ-Ⅱ선 단면도로 제시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 적용된 수납체(240)의 개폐 상태를 단면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품 수납용 수첩은, 통상적인 구조의 수첩본체(200)와, 상기 수첩본체(200)의 배면커버(220) 일측 표면상에 결합되는 수납체(2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첩본체(200)는, 내측에 다수의 메모용 시트(230)가 적층되어 그 일측이 접착되어 있고 상기 시트(230)의 외측 전면 및 배면에 걸쳐 상기 시트(230)를 보호하기 위한 전면커버(210) 및 배면커버(220)가 덧씌워진 구조를 이루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240)는, 상기 배면커버(220)의 내측 표면에 대하여 그 상부에 적층된 상기 시트(230) 및 전면커버(210)를 균일 폭으로 관통하는 관통공(221)이 형성되고, 상기 각 시트(230) 및 전면커버(210)에 형성된 관통공(221) 내에 상기 수납체(240)가 배치되어 상기 배면커버(220)의 내측 표면상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이다.
상기 수납체(240)는, 상기 배면커버(220)로부터 분리 가능한 수납본체(241)와, 상기 수납본체(241)를 상기 배면커버(22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면커버(220)의 내측 표면상에 돌출 형성된 수납본체 고정레일(24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납본체(241)는 상기 배면커버(220)의 내측 표면에 인접하는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면이 밀폐되어 내측으로 소정 용적의 수납공간(244)을 형성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수납본체(241)의 하단부 둘레에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43)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본체(241)의 상부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착탈시킬 수 있는 파지홈(2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납본체 고정레일(245)은 상기 걸림돌기(243)가 걸려서 결합될 수 있는 요홈(246)을 가지며 상기 수첩본체(200)에 형성된 관통공(221)의 내부에서 상기 배면커버(220)의 내측 표면상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241)의 개폐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수납본체(241)의 내부에 수납된 필기구(1)를 꺼내거나 그 내부로 필기구(1)를 수납하기 위한 개방시에는 도 4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홈(242)을 잡고 상기 수납본체(241)를 위로 들어 올리면 되고, 그러면 상기 수납본체(241)의 걸림돌기(243)는 상기 수납본체 고정레일(245)의 요홈(246)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서 수납공간(244)을 개방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상기수납본체(241)의 내부에 필기구(1)를 수납한 후 밀폐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에서 은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홈(242)을 잡고 상기 수납본체(241)를 아래로 가압하면 되고, 그러면 상기 수납본체(241)의 걸림돌기(243)는 상기 수납본체 고정레일(245)의 요홈(246)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수납본체(241)와 배면커버(220)는 상호 접촉에 의한 마찰시 신축성이 있어야 하므로 어느 정도 탄성을 유지하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납본체(241)가 투시되어 그 외부에서 상기 수납공간(244)내의 소품 개재 여부를 육안 판별할 수 있도록 투명성 합성수지로 제작하면 더욱 좋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소품 수납용 수첩에 의하면, 수첩에 필기구 등을 일체로 수납할 수 있는 수납체를 구비함으로써 그 제품의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내측에 다수의 메모용 시트가 적층되어 그 일측이 접착되어 있고 상기 시트의 외측 전면 및 배면에 걸쳐 상기 시트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덧씌워져 있는 수첩본체; 및
    상기 커버의 일측에 필기구 등의 소품을 개재하여 보관하기 위한 밀폐형의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 수납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품 수납용 수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는, 상기 배면커버의 단부 일측이 상기 전면커버에 비해 소정 폭 만큼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커버확장부의 내측 표면상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품 수납용 수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는,
    상기 커버확장부에 인접하는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면이 밀폐되어 내측으로 소정 용적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본체;
    상기 수납본체의 일측면 하단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 폭으로 절곡되어 그 절곡된 면이 상기 커버확장부의 내측 표면상에 융착됨으로써 상기 수납본체의개폐시 힌지점이 되는 융착부;
    상기 수납본체의 타측면 하단부에 상기 융착부와 대응되도록 외향 절곡된 플랜지부; 및
    상기 커버확장부의 내측 표면상에서 절곡된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플랜지부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수납본체 고정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품 수납용 수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는 그 외부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의 소품 개재 여부를 육안 판별할 수 있도록 투명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품 수납용 수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는, 상기 배면커버의 내측 표면에 대하여 그 상부에 적층된 상기 시트 및 전면커버를 균일 폭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 시트 및 전면커버에 형성된 관통공 내에 상기 수납체가 배치되어 상기 배면커버의 내측 표면상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품 수납용 수첩.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는,
    상기 배면커버의 내측 표면에 인접하는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면이 밀폐되어 내측으로 소정 용적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본체;
    상기 수납본체의 하단부 둘레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서 결합될 수 있는 요홈을 가지며 상기 수첩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부에서 상기 배면커버의 내측 표면상에 돌출된 수납본체 고정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품 수납용 수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는 그 상부면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착탈시킬 수 있는 파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품 수납용 수첩.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는 그 외부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의 소품 개재 여부를 육안 판별할 수 있도록 투명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품 수납용 수첩.
KR2020010032399U 2001-10-23 2001-10-23 소품 수납용 수첩 KR200261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399U KR200261426Y1 (ko) 2001-10-23 2001-10-23 소품 수납용 수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399U KR200261426Y1 (ko) 2001-10-23 2001-10-23 소품 수납용 수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426Y1 true KR200261426Y1 (ko) 2002-01-23

Family

ID=7311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399U KR200261426Y1 (ko) 2001-10-23 2001-10-23 소품 수납용 수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4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19A (ja) 弁当箱
KR200261426Y1 (ko) 소품 수납용 수첩
KR200253674Y1 (ko) 페이스 파우더 휴대용 콤팩트
JP4216619B2 (ja) コンパクト容器用保護シート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コンパクト容器
KR200301159Y1 (ko) 담배갑 보호케이스
JPH0998829A (ja) 化粧料容器
US5642807A (en) Article employing modified musical recording tape cartridge storage case for storing small loose items
JPH10192043A (ja) 化粧料容器
JP2001319198A (ja) 半導体メモリカード収納ケース
KR200267128Y1 (ko) 소화기 점검표 수납함
KR20010000482U (ko) 화장솔 수납용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케이스
JP2012115438A (ja) 化粧料容器
KR200310364Y1 (ko) 필통
KR200240436Y1 (ko) 필통이 부설된 서류케이스
KR200324188Y1 (ko) 필통
JP4045532B2 (ja) シート状物収納容器
KR200265281Y1 (ko) 두 장의 시디가 수납 가능한 초박형 시디 보관케이스
JPH10262861A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用カバーケース
JPH0847418A (ja) レフィル容器
KR200202157Y1 (ko)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메모장
JP2001294070A (ja) 物品の保持装置
JP3154279U (ja) ケースに一体化した携帯用印鑑
JP3134048U (ja) メモリーカードケース
JPH0928450A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0208911Y1 (ko) 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