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157Y1 -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메모장 - Google Patents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메모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157Y1
KR200202157Y1 KR2020000012921U KR20000012921U KR200202157Y1 KR 200202157 Y1 KR200202157 Y1 KR 200202157Y1 KR 2020000012921 U KR2020000012921 U KR 2020000012921U KR 20000012921 U KR20000012921 U KR 20000012921U KR 200202157 Y1 KR200202157 Y1 KR 2002021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epad
writing instrument
storage unit
wri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철
Original Assignee
구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철 filed Critical 구본철
Priority to KR2020000012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1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1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1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메모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장 표지의 하단에 접착부로 부착되어 필기구를 수납하는 연질의 수납부를 형성하고, 연질의 수납부 일측 끝단에 필기구의 머리부분이 메모장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절취부를 형성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메모장은 포켓 형성을 위한 별도의 제조 공정이 필요할 뿐 아니라 포켓이 메모장의 외부로 돌출될 경우에는 필기구의 분실 가능성이 있고, 외관을 해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포켓이 표지의 내부면에 형성될 경우에는 메모장을 접었을 경우에는 볼펜의 두께로 인하여 메모장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고안의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메모장은 필기구의 수납이 가능토록 하여 외관이 미려하게 됨은 물론 저렴한 가격의 메모장을 제공하게 되고 일반 가정이나 회사에서 통화중 메모해야 할 상황에 간편하게 메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필기구가 분실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메모장의 끝단에 필기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부를 형성하였고, 상점이나 기업에서 홍보를 위해 판촉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메모장 {Memo note with a custody part of writing mean}
본 고안은 메모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장 표지에 필기구를 수납하는 연질의 수납부를 형성하고, 연질의 수납부 일측 끝단에 필기구의 머리부분이 메모장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절취부를 형성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메모지에 수납된 필기구로 메모지에 편리하게 메모할 수 있는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메모장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메모장의 구성 방식은 표지 양측에 내면지로 지철된 메모지가 끼여져 고정토록 된 것으로, 이러한 메모장에 필기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의 내측 일측면 또는 외측 일측면이나 중앙에 포켓 형식으로 된 필기구 수납부(5)를 별도로 형성하여 필기구가 수납토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메모장은 포켓 형성을 위한 별도의 제조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원가의 상승은 물론, 포켓이 표지의 내측 일측면에 형성될 경우에는 메모장을 접었을 경우에 메모장 사이의 간격이 볼펜의 굵기만큼 벌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지철된 메모장의 뜯어짐이 발생되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포켓이 메모장의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경우에는 외부와의 접촉에 의한 필기구의 분실 가능성이 있고, 표지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됨으로 요구하는 메모장으로서의 값어치가 하락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메모장을 필기구가 수납되도록 형성하고, 필기구의 머리부분이 메모장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메모지에 수납된 필기구로 메모지에 편리하게 메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 메모장의 분리사시도.
도 2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도 3 은 종래의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수첩표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모장 2 : 표지
3 : 접착부 5 : 수납부
6 : 필기구 7 : 절취부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도록 하였고 각각 대칭되는 부분에 대한 부호는 생략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메모장(1)에 필기구(6)를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에 있어서, 메모장 표지(2)의 하단에 접착부(3)로 부착되어 필기구(6)를 수납하는 연질의 수납부(5)를 형성하고, 연질의 수납부(5) 일측 끝단에 필기구(6)의 머리부분이 메모장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절취부(7)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메모장(1)을 사용하게 되면, 메모장(1)의 메모장 표지(2) 하단에 접착부(3)로 부착되어 필기구(6)를 수납하는 연질의 수납부(5)에 수납되어 있는 필기구(6)를 사용하여 내측의 메모지에 편리하게 메모를 할 수 있게 되며, 메모를 완료하게 되면, 필기구(6)를 상기 수납부(5)에 꽂아 수납하게 되는데 이때 수납부(5) 일측 끝단에 절취부(7)가 형성되어 있어서 필기구(6)의 머리부분이 메모장(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외관이 미려하게 되고, 저렴한 가격으로도 메모해야 할 상황에서 간편하게 메모할 수 있는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메모장을 제작할 수 있으며, 필기구가 수납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메모장(1)의 상단에 연질의 수납부(5)를 형성하고 일측 끝단에 절취부(7)를 형성한 것이다.
필기구(6)의 머리부분이 메모장(1)의 외측으로 돌출될 경우에 필기구(6)의 분실 가능성과 외관을 해치게 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절취부(7)를 형성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장 표지(2)의 하단에 접착부(3)로 부착되어 필기구(6)를 수납하는 수납부(5)를 형성하는 간단한 공정으로도 필기구의 수납이 가능토록 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수납된 필기구(6)에 의하여 메모장이 벌어지거나 돌출 면이 형성되어지지 않고, 필기구의 분실 가능성과 외관을 해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휴대가 한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절취부(7)를 형성함으로서 필기구의 머리부분이 메모장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됨에따라 외관이 미려해지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필기구가 분실되지 않게되며, 휴대시의 흔들림에 의해서도 이탈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메모장(1)에 필기구(6)를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에 있어서,
    메모장 표지(2)의 하단에 접착부(3)로 부착되어 필기구(6)를 수납하는 연질의 수납부(5)를 형성하고, 연질의 수납부(5) 일측 끝단에 필기구(6)의 머리부분이 메모장(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절취부(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메모장.
KR2020000012921U 2000-05-06 2000-05-06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메모장 KR2002021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921U KR200202157Y1 (ko) 2000-05-06 2000-05-06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메모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921U KR200202157Y1 (ko) 2000-05-06 2000-05-06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메모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157Y1 true KR200202157Y1 (ko) 2000-11-15

Family

ID=1965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921U KR200202157Y1 (ko) 2000-05-06 2000-05-06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메모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1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889Y1 (ko) * 2009-12-10 2010-08-17 정은득 수납기능을 가지는 펜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889Y1 (ko) * 2009-12-10 2010-08-17 정은득 수납기능을 가지는 펜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2157Y1 (ko)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메모장
KR100850291B1 (ko) 노트
KR200172111Y1 (ko)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수첩
JPH0755100Y2 (ja) 手帳カバー
KR100944452B1 (ko) 필기구 홀더 및 필기구 홀더가 구비된 서적
KR200283526Y1 (ko) 다기능 서류 보관용 화일
KR200340583Y1 (ko) 필기구가 수납되는 수첩
KR200280870Y1 (ko) 노트의 필기구 고정홀더
KR200258688Y1 (ko) 메모지케이스.
KR200404516Y1 (ko) 다용도 휴대용 화장지 지갑
KR200217705Y1 (ko) 필통이 부설된 노트
KR100399407B1 (ko) 전자수첩기능을 갖는 메모수첩
KR200328873Y1 (ko) 포켓이 형성된 노트
KR200241349Y1 (ko) 메모장
KR960001797Y1 (ko) 메모함이 부설된 필통
KR200270639Y1 (ko) 필통
KR200264751Y1 (ko) 원터치 개방형 필통
KR100468058B1 (ko) 흡착 수단이 구비된 필기구
KR200380419Y1 (ko) 휴대용 수첩
TWI254674B (en) File structure in cover form
KR200226517Y1 (ko) 전자수첩기능을 갖는 메모수첩
KR200232874Y1 (ko) 메모케이스
JP3065984U (ja) 書類ホルダ―
KR200208911Y1 (ko) 필통
KR200240436Y1 (ko) 필통이 부설된 서류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