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695Y1 - 콘크리트 균열보수용 이액형 주입기의 토출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균열보수용 이액형 주입기의 토출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695Y1
KR200260695Y1 KR2020010032744U KR20010032744U KR200260695Y1 KR 200260695 Y1 KR200260695 Y1 KR 200260695Y1 KR 2020010032744 U KR2020010032744 U KR 2020010032744U KR 20010032744 U KR20010032744 U KR 20010032744U KR 200260695 Y1 KR200260695 Y1 KR 200260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ylinders
chemical liquid
flow
discharg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열
Original Assignee
유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창열 filed Critical 유창열
Priority to KR2020010032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6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695Y1/ko

Link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전동력에 의한 펌프 작용에 의하여 약액을 주입시키는 이액형 주입기에서 그 약액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다. 모터(3)의 회전축에 편심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바꾸는 슬라이더(7)를 설치하고, 그 양단에는 피스톤을 관절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피스톤은 약액통에서 내려오는 약액을 각각 교호로 펌핑하는 한 쌍의 실린더(10a,10b)에 결합되고, 한 쌍의 실린더(10a,10b)에는 약액을 혼합하여 토출하는 주입건을 구비한 이액형 주입기에 있어서, 실린더(10a,10b)는 피스톤과의 상대 거리를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유동브래킷(11a,11b)에 설치하여 피스톤의 위치 변화에 따른 약액의 토출량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균열보수용 이액형 주입기의 토출량 조절장치{DISCHARGE ADJUSTER OF DUAL-LIQUID TYPE INJECTOR FOR REPAIRING CONCRETE CRACK}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전동력에 의한 펌프 작용에 의하여 약액을 주입시키는 이액형 주입기에서 그 약액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및 교각은 콘크리트 또는 석조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조물은 시공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 균열틈새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한 틈새에 빗물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게 되면 빗물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구조물 내부로 더욱침투되어 온도변화 또는 압력차이에 따른 부피 팽창으로 틈새를 더욱 확장시키거나 내부의 기초 구조물인 철근 등을 부식시키게 되어 심한 경우 구조물의 붕괴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균열 틈새를 보수하기 위해 보수액을 주입하게 되는데, 상기 보수액은 균열 틈새의 공극에 따라 주사기 형상의주입기 또는 보수액 주입장치를 이용하여 보수액을 주입하게 된다. 보수액 주입기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에폭시를강제 투입시켜 에폭시의 응고시 균열 틈새를 밀봉 또는 점착력으로 방수 및 더 이상의 균열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보수액 주입기는 본인의 실용신안등록 제121552호가 있는 바, 이 고안은 실린더 내에서 전후 이동하게 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되어 피스톤 이동시 진공압에 의해 실린더 내로 액체가 주입되도록 하는 약액통과, 상기 실린더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체크밸브에 의해 액체의 역류를 방지하며 호스와 연결되는 노즐 형상의 니플과, 상기 실린더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을 좌우 왕복운동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측에 구비되는 모터의회전에 따라 복수개의 회전기어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를 전후 이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선행기술은 주제와 경화제를 한 개의 약액통에 혼합된 상태에서 주입하는 일액형 주입기에 해당한다. 이 주입기는 주제와 경화제가 하나의 실린더를 통해 펌핑되기 때문에 내부가 굳어버리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이액형 주입기이다. 이액형 주입기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아답터의 편심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바꾸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의 양측에 관절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피스톤과, 이 각각의 피스톤의 전후 왕복운동에 의하여 상부의 약액통에서 내려오는 약액을 각각 교호로 펌핑하는 한 쌍의 실린더, 그리고 이 한 쌍의 실린더와 연결되어 혼합되는 약액을 토출하는 주입건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이액형 주입기는 모터가 베이스 프레임 위에 고정되며, 이 베이스 프레임의 아래에 슬라이더는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실린더는 각각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어서 피스톤은 항상 일정 거리를 왕복운동하게 되므로 약액의 토출량이 일정하다. 한 쌍의 실린더에 각각 연결된 약액통에는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들어있는데 이러한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 비율은 항상 일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콘크리트 균열 부위에 따라 사용되는 약액은 주로 에폭시 및 폴리우레탄 고분자 유기화학 제품으로 이 제품들의 특징인 점성력에 따라 혼합비율을 조절할 필요가 있으나,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는 이와 같은 혼합 비율의 조절이 어려웠다.
본 고안의 목적은 피스톤의 설정 위치를 조절하여 실린더에서 펌핑되는 약액의 토출량이 각기 다르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그 혼합 비율이 점성력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그 측면도,
도 3은 그 평면도,
도 4는 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이액형 주입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프레임, 3:모터, 5:편축, 7:슬라이더, 9a,9b:피스톤, 10a,10b:실린더, 11a,11b:유동브래킷, 13a,13b:조정볼트, 14:축받이, 15:안내플렌지, 16:장공(長孔), 17:볼트, 18,19:약액통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아답터의 편심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바꾸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의 양측에 관절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피스톤과, 이 각각의 피스톤의 전후 왕복운동에 의하여 상부의 약액통에서 내려오는 약액을 각각 교호로 펌핑하는 한 쌍의 실린더, 그리고 이 한 쌍의 실린더와 연결되어 혼합되는 약액을 토출하는 주입건을 구비한 이액형 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는 그 상대 거리를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피스톤의 위치 변화에 따른 약액의 토출량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실린더는 유동브래킷에 고정시키고, 상기 모터가 고정되는 프레임에는 조정볼트의 일단을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유동브래킷에는 상기 조정볼트의 타단을 임의의 나사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유동브래킷이 상기 피스톤의 축선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정면도이고, 도 2는 측면도, 도 3은 평면도, 도 4는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이액형 주입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이액형 주입기의 전체적인 구조(주입건 제외)는 도 5와 같다. 프레임(1)에 고정된 케이스(2) 내에는 모터(3)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3)의 축(4)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래를 향하고 있으며 모터축(4)에는 편축(5)이 있는 아답터(6)가 설치되어 있다. 아답터(6)의 편축(5)은 슬라이더(7)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더(7)의 중앙 상부에는 슬라이더(7)의 유동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유동간(8)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유동간(8)에는 모터축(4)을 따라 선회하는 편축(5)이 짧은 구간을 왕복직선운동하게 된다. 슬라이더(7)는 편축(5)에 의하여 상기 유동간(8)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왕복직선운동한다.
슬라이더(7)의 양단에는 피스톤(9a,9b)이 관절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2개의 피스톤(9a,9b) 일단은 각각 실린더(10a,10b)에 끼워져 있다. 한 쌍의 실린더(10a,10b)는 슬라이더(7)의 양측에 대칭을 이루며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10a,10b)는 유동브래킷(11a,11b)의 중앙에 관통하며 설치되어 있다. 유동브래킷(11a,11b)은 모터(3)가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1)과는 분리되어 있다. 실린더(10a,10b)는 유동브래킷(11a,11b)에 끼워진 후 측방에서 조여지는 볼트(12)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고 단단히 고정된다.
유동브래킷(11a,11b)의 측방에는 조정볼트(13a,13b)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조정볼트(13a,13b)의 헤드는 육각랜치로 돌릴 수 있는 바, 이러한조정볼트(13a,13b)의 단부는 프레임(1)에 고정된 축받이(14)에 공회전하도록 끼워져 있다. 그래서 조정볼트(13a,13b)의 헤드를 육각랜치로 돌리면 유동브래킷(11a,11b)만 유동한다. 유동브래킷(11a,11b)의 유동방향은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실린더(10a,10b)의 축방향이다.
유동브래킷(11a,11b)의 양측면과 접하는 부분에는 프레임(1)에서 연장한 안내플렌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플렌지(15)는 실린더(10a,10b)와 조정볼트(13a,13b)가 설치되어 있는 중간 부분을 제외한 위 아래의 측면과 접하고 있다. 안내플렌지(15)에는 장공(16)이 형성되어 있어서 여기에 끼워지는 볼트(17)를 느슨하게 풀면 유동브래킷(11a,11b)을 유동시킬 수 있다. 볼트(17)는 결국 프레임(1)에서 연장된 안내플렌지(15)에 유동브래킷(11a,11b)을 좌우로 유동시키면서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시킨 것이다. 따라서 한쪽 실린더(10a,10b)를 기준으로 할 때 안내플렌지(15)에 형성되는 장공(16)은 4개이며, 이 장공(16)에 끼워지는 볼트(17)도 4개이다.
상기한 실린더(10a,10b)의 중앙에는 주제를 저장하는 약액통(18)과 경화제를 저장하는 약액통(19)이 각각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각 실린더(10a,10b)의 단부에는 체크밸브(20)가 설치되고 이 체크밸브(20)의 출구에는 미도시의 주입건으로 가는 호스가 연결되어 있다. 주입건 쪽에서는 피스톤(9a,9b)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각각의 실린더(10a,10b) 내에서 토출되는 주제와 경화제 등의 약액을 혼합하면서 콘크리트의 균열부에 주입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피스톤 위치 조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예컨대, 경화제가 저장된 약액통(19)이 결합된 실린더(10a)를 조정하여 경화제의 토출량을 줄이고자 할 경우에는 유동브래킷(11a)을 오른쪽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다시 말해서 실린더(10a)를 피스톤(9a)의 반대쪽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조정볼트(13a)를 오른방향으로 돌리면 된다. 조정볼트(13a)를 오른방향으로 돌리면 유동브래킷(11a)이 상대적으로 나사운동하여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유동브래킷(11a)의 이동이 있게 되면 장공(16)에 있는 볼트(17)는 장공(16)의 왼쪽으로 이동되어 있다. 볼트(17)는 조여서 유동브래킷(11a)이 안내플렌지(15)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실린더(10a) 내에서 약액통(19)의 통로에 근접해 있던 피스톤(9a)의 단부는 그 통로로부터 조금 더 멀어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모터(3)의 구동에 따라 작동하는 슬라이더(7)에 의하여 피스톤(9a)이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그 체적변화에 의하여 체크밸브(20) 쪽으로 약액이 일정량씩 토출된다. 그래서 실린더(10a) 내로 유입되는 약액의 양도 증가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실린더가 설치된 유동브래킷을 프레임에서 조정볼트로 간단히 조정되도록 하므로써 피스톤의 위치가 조절되어 실린더에서 펌핑되는 약액의 토출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약액의 토출량을 각기 다르게 조절하므로써 균열 부위에 따라 또는 외부 온도에 따른 점성력 및 이에따른 경화시간을 달리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아답터의 편심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바꾸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의 양측에 관절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피스톤과, 이 각각의 피스톤의 전후 왕복운동에 의하여 상부의 약액통에서 내려오는 약액을 각각 교호로 펌핑하는 한 쌍의 실린더, 그리고 이 한 쌍의 실린더와 연결되어 혼합되는 약액을 토출하는 주입건을 구비한 이액형 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는 그 상대 거리를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피스톤의 위치 변화에 따른 주제 또는 경화제 등의 약액 토출량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균열보수용 이액형 주입기의 토출량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유동브래킷에 고정시키고, 상기 모터가 고정되는 프레임에는 조정볼트의 일단을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유동브래킷에는 상기 조정볼트의 타단을 임의의 나사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유동브래킷이 상기 피스톤의 축선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균열보수용 이액형 주입기의 토출량 조절장치.
KR2020010032744U 2001-10-26 2001-10-26 콘크리트 균열보수용 이액형 주입기의 토출량 조절장치 KR200260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744U KR200260695Y1 (ko) 2001-10-26 2001-10-26 콘크리트 균열보수용 이액형 주입기의 토출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744U KR200260695Y1 (ko) 2001-10-26 2001-10-26 콘크리트 균열보수용 이액형 주입기의 토출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695Y1 true KR200260695Y1 (ko) 2002-01-16

Family

ID=7308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744U KR200260695Y1 (ko) 2001-10-26 2001-10-26 콘크리트 균열보수용 이액형 주입기의 토출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6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062B1 (ko) 2014-10-02 2016-03-16 주식회사 케이엘티 윤활유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062B1 (ko) 2014-10-02 2016-03-16 주식회사 케이엘티 윤활유 공급장치
WO2016052872A1 (ko) * 2014-10-02 2016-04-07 주식회사 케이엘티 윤활유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009B1 (ko)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KR200260695Y1 (ko) 콘크리트 균열보수용 이액형 주입기의 토출량 조절장치
WO2006100979A1 (ja) ショットポンプ及び可変速型二液計量混合装置
KR10165682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이동식 이액형 보수재 주입 장치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KR20160142533A (ko) 워터젯 펌프
JPH0754118B2 (ja) 少なくとも2成分の調合供給用のポンプ装置
KR100415764B1 (ko) 콘크리트 균열부의 이액형 약액 주입용 펌핑장치
KR102539653B1 (ko)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
KR200237684Y1 (ko) 이액형 약액 주입용 펌핑기
KR200238558Y1 (ko) 이액형 약액 주입용 양방향 펌핑기
KR200260694Y1 (ko) 콘크리트 균열보수용 이액형 주입기의 역류방지기
JP2000202330A (ja) 硬化体形成方法とこれに使用可能なポンプ及びポンプユニット
KR100781724B1 (ko) 위치 고정 가능한 약액 안내부재를 갖는 약액 주입기
US7131454B2 (en) Piston sealing mechanism for liquid additive injection pump
KR200271659Y1 (ko) 휴대용 약액 주입기
KR10053684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장치
JP2602082Y2 (ja) 注入機
JP2009061411A (ja) 油圧を利用した往復運動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ペイント噴射装置
KR20010107911A (ko) 균열부 보수 및 보강용 이액형 약액 주입기
KR200267891Y1 (ko) 세척기가 구비된 이액형 약액 주입용 펌핑장치
JP3030323B2 (ja) クラック注入工法
SU1206476A1 (ru) Растворонасос
RU2124129C1 (ru) Инъ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очнения горных пород
JPS623485Y2 (ko)
SU1724926A1 (ru) Бетононасо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