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450Y1 - 이동식 블라스팅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블라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450Y1
KR200260450Y1 KR2020010027876U KR20010027876U KR200260450Y1 KR 200260450 Y1 KR200260450 Y1 KR 200260450Y1 KR 2020010027876 U KR2020010027876 U KR 2020010027876U KR 20010027876 U KR20010027876 U KR 20010027876U KR 200260450 Y1 KR200260450 Y1 KR 200260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ing
abrasive
unit
head
blas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강중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강중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강중기업
Priority to KR2020010027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4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45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블라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 등의 철구조물에 용접작업 후 그 용접부위를 따라 블라스팅 유니트가 이동하면서 각종 부식물을 제거함은 물론 연마재 및 제거된 부식물이 자동회수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하-좌우는 물론 철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경사게 기울일수 있는 블라스팅 유니트를 주행장치에 완충작용을 하는 승강유니트에 장착하여 작업부위를 따라 이동하면서 블라스팅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어부에 인버터를 구비하여 블라스팅 유니트 또는 집진기가 작동시 과부하를 방지하는 이동식 블라스팅장치이다.

Description

이동식 블라스팅장치{MOVING BLASTING DEVICE}
본 고안은 블라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 등의 철구조물에 용접작업 후 그 용접부위를 따라 블라스팅 유니트가 이동하면서 각종 부식물을 제거함은 물론 연마재 및 제거된 부식물이 자동회수되도록 한 이동식 블라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선박의 건조에 사용하는 선박 및 교량과 같은 대형 철구조물의 제작시 각종 철판, 형강 자재들을 주로 용접작업하여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용접선부위 및 철구조물의 표면에 발생되는 스케일, 페인트, 부식물, 이물질 등(이하 '분진가루'이라 함)을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그라인딩 등의 작업을 행하였으나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제거된 부식물로 인해 인체에 질병을 유발하는 등 작업장 부근으로 확산되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로는 미세한 금속입자로 된 연마재를 철구조물의 표면에 고속으로 분사하여 분진가루를 제거하는 방식의 블라스팅장치가 고안된바 있다. 그러나 고속으로 분사되는 연마재 및 제거된 분지가루가 비산되면서 작업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하-좌우는 물론 철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경사지게 기울일수 있는 블라스팅 유니트를 주행장치에 완충작용을 하는 장착하여 작업부위를 따라 이동하면서 블라스팅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이동식 블라스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치의 제어부에 인버터를 구비하여 블라스팅 유니트 또는 집진기가 작동시 과부하를 방지하는 이동식 블라스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철구조물의 표면에 연마재를 고압분사하여 부식물을 제거하는 통상의 블라스팅장치에 있어서, 개방구를 가지는 블라스트 헤드에 담겨진 연마재를 철구조물의 표면으로 고속분사하는 분사헤드가 블라스트 헤드에 결합되어져 가공 후 반사된 연마재가 다시 회수되는 블라스팅 유니트와, 주행장치의 리프팅암에 설치되어져 상기 블라스팅 유니트를 지지하고 상하-좌우로 작동 가능한 승강유니트와, 상기 블라스팅 헤드에는 분진가루를 흡입하는 덕터가 구비되고, 상기 덕터는 집진기와 연결되어져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블라스팅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유니트 및 블라스팅 유니트의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블라스팅 유니트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좌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유니트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주행장치 12: 집진기
14: 리프팅암 20: 승강유니트
26: 프레임 30: 블라스팅 유니트
31: 분사헤드 40: 블라스트 헤드
41: 수납실 43: 분사실
46: 덕터 60: 수평이송부
70: 라이닝판 72: 2차 흡기구
100: 연마재 110: 철구조물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블라스팅장치의 구성은 도 1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블라스팅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유니트 및 블라스팅 유니트의 확대도이다. 상기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블라스팅장치는 주행장치(10)의 전방에 블라스팅 유니트(30)를 완충 지지하는 승강유니트(20)가 설치되고, 상기 블라스팅 유니트(30)는 호스(56)를 통해 후방의 집진기(12)와 연결된다. 상기 주행장치(10)의 전방에 실린더(16)와 결합된 리프팅암(14)에는 상기 승강유니트(20)가 결합된다.
상기 승강유니트(20)는 리프팅암(14)과 힌지 결합되고 실린더(15)가 결합되어 지지된 받침대(17)와, 상기 받침대(17)의 전방에 설치된 안내레일(18)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배드(18)와, 상기 배드(18)를 스크류(64)를 따라 수평이송시키는 수평이송부(60)와, 상기 프레임(26)을 지지하는 지지대(22)가 배드(18)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26)은 배드(18)와 경사지게 연결하는 인장스프링(24)으로 당겨져 인장력이 작용된다. 상기 지지대(22) 및 인장스프링(24)은 블라스팅 유니트의 하중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복수개가 설치되고, 인장스프링(24a)은 고정쇠(23)로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26)의 양측으로 돌출된 고정구와 하향 경사지게 결합된다. 상기 수평이송부(60)는 구동모터(61)와 스크류(64)가 동력전달수단(62)으로 연결되어져 동력이 전달되고, 배드(19)의 결합구(66)가 상기 스크류(64)와 나사결합되어 스크류(64)의 회전에 따라 배드(19)가 안내레일(18)을 따라 수평 이송된다. 상기프레임(26)의 상단에는 프레임(26)과 결합된 블라스트 헤드(40)의 하부에 분사헤드(31)가 결합된다. 상기 분사헤드(31)는 구동모터(32)와 구동축(35)이 동력전달수단(34)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35)에는 임펠라(38)가 결합되고, 디스트리뷰터(36), 콘트롤게이지(37) 및 피드콘 등이 구비된다. 상기 수납실(41)의 연마재(100)는 공급관(44)을 통해 디스트리뷰터(36)로 공급되고, 상기 디스트리뷰터(36)는 연마재를 임펠라(38)가 연마재를 균일하게 배출시키고, 상기 콘트롤게이지(37)가 분사각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연마재(100)는 고속회전하는 임펠라(38)의 회전력에 의해 슈트구멍(39)을 통해 철구조물(110)의 표면으로 고속으로 분사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34,62)은 밸트와 풀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체인 및 체인기어 또는 기어방식으로도 가능하다.
상기 블라스트 헤드(40)는 상부가 개방되고 중간 칸막이(42)의 일측에 연마재(100)가 담겨지는 수납실(41)과 타측의 분사실(43)로 이루어지며, 양측에는 철구조물(110)을 따라 구르며 블라스팅 유니트(30)의 이송을 안내하는 안내롤러(52)가 설치된다. 상기 블라스트 헤드(40)의 내벽에는 내마모성 합금강으로 라이닝판(70)을 부착되고 이는 끼워 맞춤식으로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개방구의 외측 테두리에는 브러쉬(49)와 분진가루 및 연마제 가루를 흡입하는 덕터(46) 설치된다. 상기 칸막이(42)에도 라이닝판이 부착되고, 상기 수납실(41)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흡입구멍을 가지는 2차 흡입구(72)가 연결관(74)을 통해 덕터(46)와 연결되어져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덕터(46)는 상향 절개된 제 1흡입구멍(47)과 상기 블라스트 헤드(40)의 내측으로 연통된 제 2흡입구멍(48)이 다수개가 형성되어져 비교적 가벼운 분진가루는 상기 흡입구멍(47,48)을 통해 수거되고, 상기 브러쉬(49)는 분진가루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브러쉬를 거쳐 새어나오는 분진가루는 제 1흡입구멍(47)으로 흡입되어져 분지가루의 유출을 방지한다. 상기 연마재(100)는 장시간 사용하면 철구조물과의 충돌로 인해 파쇄되어져 미세화됨으로 수납실에 적재되어 분사성능을 저하시키므로 비교적 무거운 연마재의 가루는 2차 흡입구(72)를 통해 흡입되어져 덕터(46)로 배출된다. 상기 덕터(46)의 외측 테두리에는 제거된 분진가루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가이드(50)가 설치된다. 상기 블가스트 헤드(40)의 일측 즉, 상기 구동모터(32)의 타측부에는 중량물(54)을 설치하여 무게의 균형을 유지시킨다.
또한, 본 고안은 발전기가 구비되어 자체적으로 전력을 발생시켜 전원을 공급하고, 오일쿨러, 냉각팬, 라디에이터 등이 구비되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박스 및 주행장치(10)에 작업자가 승차하여 운전 및 블러스팅 장치의 작동을 조작하는 운전부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콘트롤박스의 제어부에는 구동모터(32)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인버터(Inverter)가 구비되어져 상기 구동모터(32)의 초기 작동시 과부하가 걸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는 상기 임펠라(38)가 정지하여 분사헤드(31)내에 연마재(100)가 담겨져 있는 상태에서 구동모터(32)에 순간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면 무리한 과부하가 걸려 모터가 손상됨으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바꾸어 점차적으로 전력이 증가되도록 하여 회전력이 증가하도록 조절하는 인버터를 통해 구동모터(32)는 물론 임펠라(38)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한다. 상기 집진기의 구동모터 또한 별도의 인버터가 구비되어져 모터의 급작스런 작동을방지한다.
도 4는 도 2의 좌측면도이다. 도 4에서처럼, 상기 프레임(26)의 상단에는 'Y'자 형상의 브라켓(27)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27)은 블라스트 헤드(40)와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26)과 브라켓(27)을 연결하는 경사실린더(28)가 설치되어 상기 블라스트 헤드(40)를 철구조물(110)과의 접촉부에 따라 경사지게 기울일 수 있다. 상기 덕터(46)와 연결된 호스(56)는 주행장치(1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져 집진기(12)와 연결된다. 상기 집진기(12)는 구동모터 및 송풍기를 통해 흡입된 분진가루가 저장통에 모여진다. 상기 주행장치(10)는 원동기를 장치되어져 주행이 가능하며 화물 등을 운반하는 주로 사용되는 통상의 산업장비인 스키드 로더(Skid loader)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블라스팅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주행장치(10)를 이동시켜 작업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블라스트 유니트(30)는 리프팅암(14)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고, 실린더(15)의 작동으로 전-후방으로 기울일 수 있고, 상기 승강유니트(20)의 배드(19)에 의해 좌우로 이송되며, 경사실린더(28)의 작동에 따라 측방으로 기울여질 수 있어서 브라스팅 작업부위에 따라 그 위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유니트(20)는 인장스프링(24)으로 탄지되어져 블라스트 유니트(30)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화하여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수납실(41)의 연마재(100)는 분사헤드(31)로 공급되고, 임펠라(38)의 회전력에 의해 슈트구멍(39)과 분사실(43)을 통해 고속으로 분사되어져 철구조물(110)에 부딪혀 블라스팅 작업후 반사된 연마재는 수납실로 다시 회수된다. 이때, 제거된 분진가루가 제 1흡입구멍(47)을 통해 흡입되어져 집진기(12)로 모여진다. 상기 브러쉬(49)는 블라스트 헤드의 진행방향의 이물질이나 잔존하는 분진가루를 제거하고, 상기 제 2흡입구멍(48)을 통해 분진가루를 흡입함으로써 분진가루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동이 자유로운 주행장치를 통해 철구조물의 작업부위에 블라스팅 유니트의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분진가루의 제거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블라스팅 유니트에 의해 연마재를 고속분사함으로써 불균일한 용접부나 철구조물의 표면에 대한 가공성이 월등할 뿐만 아니라, 연마작업이 이루어진 부위는 그 표면의 내식성이 향상되어져 쉽게 녹이 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블라스팅 유니트를 지지하는 승강유니트가 완충작용을 하여 블라스팅 유니트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화하여 장치를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이점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블라스트 헤드의 연마재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면서 재사용함으로써 연마재의 소모량을 줄이고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모터 및 집진기의 구동모터에 순간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면서 무리한 과부하가 걸려 모터가 손상됨으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바꾸어주는인버터를 구비하여 점차적으로 전력이 증가되도록 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인버터를 통해 모터는 물론 임펠라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철구조물의 표면에 연마재를 고속분사하여 부식물을 제거하는 통상의 블라스팅장치에 있어서;
    개방구를 가지는 블라스트 헤드(40)에 담겨진 연마재(100)를 철구조물(110)의 표면으로 고속분사하는 분사헤드(31)가 블라스트 헤드(40)에 결합되어져 가공 후 반사된 연마재(100)가 다시 회수되는 블라스팅 유니트(30)와;
    주행장치(10)의 리프팅암(14)에 설치되어져 상기 블라스팅 유니트(30)를 완충 지지하고 상하-좌우로 작동 가능한 승강유니트(20)와;
    상기 블라스팅 헤드(40)에는 분진가루를 흡입하는 덕터(46)가 구비되고, 상기 덕터(46)는 집진기(12)와 연결되어져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블라스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스트 헤드(40)는 중간 칸막이(42)의 일측은 분사헤드(31)에서 연마재가 분사되는 분사실(43)과, 타측의 연마재(100)가 회수되는 수납실(41)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블라스팅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덕터(46)의 흡입구멍(47,48)을 통해 제거된 분진가루가 흡입되고, 수납실(41)에는 상기 덕터(46)와 연결되고 파쇄된 연마재 가루를 흡입하는 2차 흡입구(72)가 설치되어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블라스팅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니트(20)는 실린더(15)가 지지된 받침대(17)의 전방 배드(18)가 안내레일(18)및 스크류(64)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수평이송부(60)와, 상기 배드(18)의 전방으로 연장된 지지대(22)의 단부에 프레임(26)이 힌지 결합되고 인장스프링(24)으로 당겨지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블라스팅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헤드(31) 또는 집진기(12)의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는 인버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블라스팅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스트 헤드(40)의 내측에는 라이닝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블라스팅장치.
KR2020010027876U 2001-09-11 2001-09-11 이동식 블라스팅장치 KR200260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876U KR200260450Y1 (ko) 2001-09-11 2001-09-11 이동식 블라스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876U KR200260450Y1 (ko) 2001-09-11 2001-09-11 이동식 블라스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450Y1 true KR200260450Y1 (ko) 2002-01-10

Family

ID=7306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876U KR200260450Y1 (ko) 2001-09-11 2001-09-11 이동식 블라스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4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462B1 (ko) * 2006-10-26 2008-04-25 김도훈 이동형 블라스팅 장치
KR101450365B1 (ko) * 2010-12-14 2014-10-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상향 블라스팅 장치
KR20220123863A (ko) 2021-03-02 2022-09-13 주식회사 대불조선 공정 개선을 위한 추적식 블라스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462B1 (ko) * 2006-10-26 2008-04-25 김도훈 이동형 블라스팅 장치
KR101450365B1 (ko) * 2010-12-14 2014-10-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상향 블라스팅 장치
KR20220123863A (ko) 2021-03-02 2022-09-13 주식회사 대불조선 공정 개선을 위한 추적식 블라스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526B1 (ko) 블라스트 가공 장치
CN203266438U (zh) 钢管内壁抛丸清理机
KR20120088211A (ko) 콘크리트 노면의 줄눈부 칩핑용 차량
CN107414165A (zh) 一种便于吸屑的气缸套切割设备
KR200260450Y1 (ko) 이동식 블라스팅장치
US20040036346A1 (en) Dust control system
KR101772289B1 (ko) 선박 작업용 스위핑 머신
CN106392757A (zh) 一种排屑装置
KR100591399B1 (ko) 선박의 위보기 전처리 작업용 이동식 블라스팅 장치
CN111455753A (zh) 一种柔性钢轨打磨装置及钢轨打磨车
CN212579712U (zh) 一种运渣车防尘装置
CN2034502U (zh) 液压喷砂机
KR20150101100A (ko) 청소용 석션툴이 장착된 저속운행 청소차
CN212020238U (zh) 一种建筑工程用打磨装置
CN113914181A (zh) 安装在大型划线清除车前端部的新型组合式划线清除装置
CN209887402U (zh) 一种垂直抛丸机
CN2747020Y (zh) 异形工件数控喷丸强化设备
JPH0686002B2 (ja) 取鍋用熔滓除去装置
CN113020988A (zh) 一种起重车底盘配件固定加工装置
KR200222712Y1 (ko) 선저부 자동 전처리장치
CN207593938U (zh) 一种电池外壳生产用切割机
JP2000212923A (ja) 道路施設物の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JP3352948B2 (ja) 研削切粉の飛散阻止装置
CN215846834U (zh) 龙门移动式车铣镗柔性数控加工系统
CN220062720U (zh) 一种超低温空气源热泵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