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853Y1 - 나무 자리 - Google Patents

나무 자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853Y1
KR200259853Y1 KR2019990008128U KR19990008128U KR200259853Y1 KR 200259853 Y1 KR200259853 Y1 KR 200259853Y1 KR 2019990008128 U KR2019990008128 U KR 2019990008128U KR 19990008128 U KR19990008128 U KR 19990008128U KR 200259853 Y1 KR200259853 Y1 KR 2002598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unit
seat
seat member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746U (ko
Inventor
김종찬
Original Assignee
김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찬 filed Critical 김종찬
Priority to KR2019990008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853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7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7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8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85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와 합성수지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단위 자리부재를 연속적으로 배열하고 그 저면에 직물지를 접착하여서 된 나무 자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나무 자리(20)는 2매의 원목 단위 나무부재(11a)(11b)와 합성수지편(12)이 적층체를 이루어 접합된 단위 자리부재(10)가 연속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그 저면에는 직물지(21)가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단위 자리부재(10)들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 가장자리부(22)에는 상기 직물지(21)의 연장부나 별도의 마감재를 감아붙여서 마감처리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의 나무 자리는 단위 자리부재를 2매의 원목 나무부재와 합성수지편으로 이루어진 3겹의 적층체로 구성함으로써 합성수지편의 두께만큼 원목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나무 자리의 전체적인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원목의 나무편이 2겹으로 맞대어 접착되기 때문에 사용중에 발생될 수 있는 단위 자리부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나무 자리{Wood carpet}
본 고안은 직사각형의 단위 자리부재를 연속적으로 배열하고 그 저면에 직물지를 접착하여서 된 나무 자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단위 자리부재를 구성함에 있어 합성수지편 위에 얇은 두께의 원목 판재 2매가 접착되어 구성된 원목층이 적층 접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중에 단위 나무부재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무게의 감소 및 제조비용의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나무 자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목이나 대나무등의 목재는 직물지에 비해서 열전도성이 낮고 찬기운을 지니고 있음에 따라 기온이 높은 여름에는 직물지 카펫에 비해 나무 자리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나무 자리는 사용자가 그 위에 눕거나 앉아서 살갗이 직접 접촉됐을 때 끈적거림이나 땀에 의한 미끈거림이 없이 시원함을 느끼게 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상기 나무 자리는 그 재질에 따라 대나무편을 서로 실로 꿰어 연결한 후 그 저면에 직물지를 접착한 형태의 대나무 자리와, 직사각형의 단위 원목편을 마치 벽돌을 쌓듯이 배열한 상태에서 그 저면과 모서리 부분에 직물지를 접착 및 봉착한 형태의 원목 자리로 나뉘어지고 있다.
상기 대나무 자리는 대나무의 특성상 단위 나무부재의 폭을 넓게 형성할 수 없음에 기인하여 얇은 폭의 직사각형으로 재단하여 얻어진 단위 나무부재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그 관통공을 통해서 연결끈을 삽입하여 단위 나무부재들간의 일차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그 저면에 직물지를 접합하고 가장자리부를직물지로 감아붙여 재봉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원목 자리는 무늬목을 직사각형으로 켜서 단위 나무부재를 형성한 후 이들 직사각형의 단위 나무부재를 엇갈리게 배열한 상태에서 그 저면에 직물지를 접착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1은 종래 원목으로 이루어진 나무 자리에 대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원목 나무 자리(1)는 목재 원목을 직사각형으로 켜서 얻어진 원목의 단위 자리부재(2)를 서로 엇갈리게 좌우로 밀집배열한 상태에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그 저면에 직물지(3)가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단위 자리부재(2)들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각각의 단위 자리부재(2)의 저면에 부착된 직물지(3)의 연장부나 별도의 테두리 부직포를 감아붙여 재봉함으로서 원목 나무 자리(1)의 가장자리부(4)에 대한 마감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단위 자리부재(2)는 대략 그 두께(t)가 3∼4㎜ 정도이고, 폭(w)이 20∼30㎜정도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원목 나무 자리(1)는 천연의 나무결이 외부로 드러나고 또한 원목 자체가 지니고 있는 특유의 질감에 의해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장점이 있긴 하나 앞서 살펴본 바와같이 고가의 원목이 비교적 두꺼운 단위 자리부재(2)로서 사용되고 있음에 따라 나무 자리(1)의 제조비용이 증대되고, 또한 중량의 증대에 따른 운반 및 취급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원목 나무 자리(1)는 두껍고 무거운 원목재질의 단위 자리부재(2)와 이에 접착된 직물지(3)간의 이질성에 기인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단위자리부재(2)가 직물지(3)로부터 떨어져 나갈 우려가 높으며, 또한 가장자리부(4)에 직물지(3)를 감아붙여 재봉을 할 때 원목 단위부재(2)의 두터운 두께에 기인하여 재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재봉바늘에 의해 단위 원목부재(2)가 갈라지는 등의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재봉선(5)을 따라 가장자리부(4)의 단위 자리부재(2)상에 재봉홈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제조공정상에 번거로움이 따르고 가장자리부(4)에 배열되는 각각의 단위 자리부재(2)의 재봉홈을 일치시켜야 하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나무 자리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합성수지편 상면에 합성수지편과 동일한 크기로 재단된 얇은 두께의 상·하부원목편 2매를 순차적으로 적층 접합되도록 한 단위 자리부재를 이용하여 나무 자리가 제작되도록 함으로써 나무 자리의 사용중에 발생될 수 있는 단위 자리부재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나무 자리 중량의 감소 및 제조비용의 절감이 이루어지도록 한 나무 자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나무 자리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단위 자리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단위 자리부재에 대한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나무 자리에 대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단위 자리부재 11. 단위 나무부재
11a. 상부원목편 11b. 하부원목편
12. 합성수지편 13. 접착층
20. 나무 자리 21. 직물지
22. 가장자리부
본 고안의 나무 자리는,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의 합성수지편과2매의 단위 나무부재가 적층 접합된 단위 자리부재를 동일 평면상에서 사방으로 밀집배열하여 사각판체상의 단위 자리부재 집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 자리부재 집합체의 저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직물지를 접착하며, 직물지상에서 단위 자리부재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가운데 단위 자리부재 집합체의 가장자리부에 마감테두리를 봉착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나무 자리는 2매의 얇은 원목편 및 합성수지편이 일체로 적층 접합된 단위 자리부재로 이루어지므로써 하나의 단위 원목편으로 구성된 종래의 나무 자리에 비하여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위 자리부재의 저면층을 이루는 합성수지편의 우수한 접착력에 의해 단위 자리부재가 직물지에 확실하게 접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 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 나무 자리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단위 자리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단위 자리부재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나무 자리를 구성하는 단위 자리부재(10)는 비교적 얇은 두께의 원목으로 형성된 상부원목편(11a)과 하부원목편(11b)으로 이루어진 단위 나무부재(11)의 저면에 상기 단위 나무부재(11)와 동일한 크기의 합성수지편(12)이 접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단위 자리부재(10)의 상부원목편(11a)과 하부원목편(11b)은 1㎜ 내외의얇은 직사각형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하부편(11a)(11b)을 구성하고 있는 원목 판재는 물 또는 습기에 노출됐을 때 원목에 형성된 무늬결의 방향에 따라 수축되거나 휠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무늬결을 가진 상부원목편(11a)과 하부원목편(11b)을 접합하여 단위 나무부재(11)를 구성함으로써 변형에너지의 상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원목편(11a)과 하부원목편(11b)을 동일한 두께로 일치시킴으로서 나무 자리의 사용중에 상기 단위 나무부재(11)의 변형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원목편(11b)의 저면에 접합되는 합성수지편(12)은 상부원목편(11a) 및 하부원목편(11b)과 동일한 크기로 재단되고, 그 두께가 1∼1.3㎜ 정도로서 나무 자리에 쿠션감을 부여하면서 그 상면과 저면에 접착되는 하부원목편(11b)과 직물지와의 확실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연질 또는 발포성 합성수지 재질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단위 자리부재(10)는 상부원목편(11a)과 하부원목편(11b) 및 합성수지편(12)이 순차적인 적층체로 접합되어 이루어진 구조로써 상부원목편(11a)과 하부원목편(11b) 사이와 하부원목편(11b)과 합성수지편(12) 사이의 접착계면에는 접착층(13)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단위 자리부재(10)에 대한 각각의 단위편간의 접착요소 및 접착방법에 대하여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위 자리부재(10)는 각각의 단위편(11a)(11b)(12) 사이에 접착계면이형성되고, 상기 접착계면에 열경화성 요소수지등의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프레스로 가압하여 확실한 접합을 이루도록 하므로써 3겹의 단위편(11a)(11b)(12)이 일체로 구성되는 하나의 단위 자리부재(1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단위 자리부재(10)의 총 두께(t)는 대략 3∼3.4㎜ 정도로 구성되고 그 폭(w)은 20∼30㎜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상기 단위 자리부재(10)의 상면에는 투명수지 또는 우레탄등을 사용하여 표면코팅을 함으로써 나무 자리의 사용중에 단위 자리부재(10) 상면이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서 긁히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원목 자체의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코팅제가 도포된다.
또한, 표면코팅에 의해서 상·하부원목편(11a)(11b)이 물 또는 습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써 원목의 고유한 질감 및 형상이 오랫동안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코팅제로 인해서 상·하부원목편(11a)(11b)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오랜 시간동안 광택이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미세한 먼지등의 이물질이 원목의 나무결 사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목 고유의 미려한 색감 및 질감이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나무 자리에 대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나무 자리(20)는 상기에서 설명한 2매의 상·하부원목편(11a)(11b)과 동일한 크기의 합성수지편(12)이 적층체를 이루어 접합된 단위 자리부재(10)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열되어 그 저면에 직물지(21)가 접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단위 자리부재(10)의 형태는 비교적 길게 형성된 장단위(長單位) 자리부재(10a)와, 이의 1/2정도의 길이로 형성된 단단위(短單位) 자리부재(10b)의 두가지 종류로써 구성되며, 이들 두 부재(10a)(10b)가 교호로 연속적인 배열을 이루는 단위 자리부재(10)의 집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나무 자리(20)의 각 단부로 연장된 직물지(21)는 나무 자리(20)의 테두리부로 감아올려지거나 별도의 테두리용 직포를 둘러싸서 그 가장자리부(22)에 재봉을 함으로써 마감테두리를 봉착한 구조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3겹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단위 자리부재(10)는 바닥직물지(21)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상기 단위 자리부재(10)의 저면을 형성하는 합성수지편(12)이 직물지(21)에 접착되므로써 종래 나무 자리(1)의 두꺼운 원목 나무편(2)이 직접 바닥직물지(3)에 접착되는 때에 비해 접착력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합성수지편(12)은 2겹의 상·하부원목편(11a)(11b)과 직물지(21) 층간의 중간재로서 합성수지 자체가 우수한 접착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에 기인하여 상기 합성수지편(12)은 상면의 하부원목편(11b)과 저면의 직물지(21)와 모두 양호한 접합특성을 나타내므로 더욱 견고한 단위 자리부재(10)의 부착 고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편(12)은 직물지(21)에 직접 접착되는 단위 자리부재(10)의 저부에 부착되므로 나무 자리(20)를 완성한 후에는 합성수지편(12)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므로써 종래 나무 자리(1)와 외관상 차이를 구별할 수 없고, 또 합성수지편(12)의 두께만큼 원목의 무게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나무 자리(20)의 전체적인 중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나무 자리(20)의 각 단부로 연장된 직물지(21)는 나무 자리(20)의 전체적인 고정을 위해서 테두리를 감아올리거나 별도의 테두리용 직포를 감아붙여 그 가장자리부(22)를 재봉하여 마감처리함으로써 완제품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종래에는 단위 자리부재(2)가 두꺼운 하나의 원목편으로 구성되어 재봉시에 바늘이 잘 들어가지 않고 재봉 바늘에 의하여 원목편이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바, 본 고안의 단위 자리부재(10)는 하부의 합성수지편(12) 및 각 층간의 접착층(13)이 상·하부원목편(11a)(11b)의 팽창을 방지하기 때문에 가장자리부(22)의 재봉시 각각의 상·하부원목편(11a)(11b)이 갈라질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편(12)이 연질의 발포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으로 인해서 사용자가 나무 자리(20)에 앉거나 누웠을 때 약간의 쿠션감을 제공함으로써 편안하고 안락한 나무 자리(20)가 제공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나무자리는 종래의 통짜로 이루어진 단위 자리부재를 2매의 상하부원목편과 합성수지편으로 이루어진 3겹의 적층체로 구성함으로써 가격이 비싼 원목을 합성수지편의 두께만큼 덜 사용하여 제조 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원목의 나무보다 가벼운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함으로 인해서 나무 자리의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원목의 나무편을 2겹으로맞대어 접착하므로써 사용중에 발생될 수 있는 단위 자리부재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나무 자리는 각각의 단위 자리부재 저면에 합성수지편이 접착 고정되어 직물지상에 단위 자리부재가 확실한 접착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상·하부원목편의 변형에너지를 상쇄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나무 자리의 가장자리부 재봉시에 단위 자리부재가 갈라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위 자리부재상에 재봉을 위한 별도의 재봉홈이 구비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공정상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나무 자리는 각각의 단위 자리부재 하부원목편이 나무 자리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상부원목편에 비해 나무결의 형상이나 재질이 떨어지는 저렴한 원목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나무 자리 제조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Claims (2)

  1. 원목으로 이루어진 단위 자리부재(2)가 연속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그 저면에 직물지(3)가 부착되고, 직물지(3)의 연장부 또는 별도의 직물지를 감아붙여 그 가장자리부(4)를 재봉하여 마감처리된 통상의 나무 자리(1)에 있어서, 상기 단위 자리부재(10)는 2매의 상·하부원목편(11a)(11b)으로 이루어진 단위 나무부재(11)와, 이와 동일한 크기로 재단된 합상수지편(12)이 적층체를 이루어 접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자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자리부재(10)는 비교적 길게 형성된 장단위(長單位) 자리부재(10a)와, 이의 1/2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 단단위(短單位) 자리부재(10b)로 구성되며, 상기 장단위 자리부재(10a)의 직선상 배열에 의해 형성된 열과, 상기 단단위 자리부재(10b)의 직선상 배열에 의해 형성된 열이 교호로 배열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자리.
KR2019990008128U 1999-05-13 1999-05-13 나무 자리 KR2002598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128U KR200259853Y1 (ko) 1999-05-13 1999-05-13 나무 자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128U KR200259853Y1 (ko) 1999-05-13 1999-05-13 나무 자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746U KR20000020746U (ko) 2000-12-15
KR200259853Y1 true KR200259853Y1 (ko) 2002-01-09

Family

ID=54762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128U KR200259853Y1 (ko) 1999-05-13 1999-05-13 나무 자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8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172B1 (ko) * 2006-07-24 2008-02-20 김종찬 자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172B1 (ko) * 2006-07-24 2008-02-20 김종찬 자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746U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9063B2 (en) Fabric reinforced multi-ply plywood panel
US20110143615A1 (en) Foldable and flexible laminated mat
KR200259853Y1 (ko) 나무 자리
JP2008503369A (ja) 化粧合板
CN2323056Y (zh) 贴面层压地板
JPH0251025B2 (ko)
JPH0771106A (ja) 化粧床材
CN214220463U (zh) 一种无醛实木复合地板
JP3068374B2 (ja) 床材用基板および床材
JPH0351459Y2 (ko)
JPH0170939U (ko)
JPH0535750Y2 (ko)
JP2605530Y2 (ja) 複合化粧床材
KR200213147Y1 (ko) 마루판재
JP3465564B2 (ja) 建築材
JPS5853391Y2 (ja) 薄物化粧床材
KR200189929Y1 (ko) 메라민 화장판을 이용한 의자
KR20050009570A (ko)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한 원목단위편
JPH0646672Y2 (ja) 木質単板を使用した床用化粧板
JPH08246649A (ja) 木質床材
KR200251239Y1 (ko) 소경재를 이용한 적층 플로링 및 적층 집성판재
JPH10337713A (ja) 中質繊維板を表面基材に用いた複合材
JP2004197357A (ja) 床板
JPH0828011A (ja) 防音用床材
JP2000167806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