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570A -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한 원목단위편 - Google Patents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한 원목단위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570A
KR20050009570A KR1020030048936A KR20030048936A KR20050009570A KR 20050009570 A KR20050009570 A KR 20050009570A KR 1020030048936 A KR1020030048936 A KR 1020030048936A KR 20030048936 A KR20030048936 A KR 20030048936A KR 20050009570 A KR20050009570 A KR 20050009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board
wooden
cosmetic
uni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춘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송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송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송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030048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9570A/ko
Publication of KR20050009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57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06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4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looring elements, e.g. parquetin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원목을 가공하여 단위편재를 얻고 코팅하여 조립한 후 부직포에 접착하고 테두리부재로 감싸서 되는 목재카펫 및 마루재용 목편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원목에서 컷팅 내지 슬라이스가공을 실시하여 소정의 넓이와 두께로 구성되고, 동일수종의 동일한 휨 성질을 갖는 목판1과 목판2, 임의의 치장 재를 동일한 결 방향과, 상호 휨력에 대항하는 대칭방향으로 기능성물질이 포함된 접착제에 의하여 적층하여 화장판재를 제공하고, 상기 화장판재의 상측 면에 도료에 의한 하도 및 중상도 도장을 실시하여 것으로 휨이나 굽음이 적고 양질의 화장 재를 사용하므로 보다 아름답고 값싸게 대량 공급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만곡이 제어된 목편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목편이다.

Description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원목단위편{A bulge control wood monomeric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통상의 원목을 가공하여 단위편재를 얻고 코팅하여 되는 목재카펫 및 마루재용 원목단위편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원목에서 컷팅 내지 슬라이스가공을 실시하여 소정의 넓이와 두께로 구성되고, 동일수종의 동일한 휨 성질을 갖는 목판1과 목판2, 임의의 치장재를 동일한 결 방향과, 상호 휨력에 대항하는 대칭방향으로 기능성물질이 포함된 접착제에 의하여 적층하여 원목화장판을 제공하고, 상기 원목화장판의 상측 면에 도료에의한 하도 및 중상도 도장을 실시하여 원목코팅화장판을 제공하고 상기 원목코팅화장판을 모서리에 경사부 및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원목단위편을 제공하는 것이다.
단위편이란 원목이나 MDF 또는 대나무 등으로 이루어진 소재를 이용하여 치장재를 더 하거나, 단순 가공하여서 되는 것으로 가구재, 실내장식재, 마루재, 목재카펫 등에 두루 소용되는 것이다.
도 15 또는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목재나 판재에 무늬목 내지 모양지를 접착하여 된 것을 재단 가공하여 목편을 제공 하거나, 대나무 또는 왕골 등을 재단하고 필요에 따라 염색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 등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이나 고안들은 값비싼 자연 소재를 가공하는 고로 산림 자원의 고갈과 훼손으로 인하여 양질의 목재를 수급하기 어렵고 더욱이 가공 단계에서의 손실이 많아 제조 원가를 상승 시키는 요인이 되어 왔다.
그 외,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분이나 열원 등에 의한 휨이나 굽음으로 인한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여서 제품의 품질을 저하 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되어 왔다.
또한 자연 소재인 관계로 그 품질이나 색상 그리고 규격이 제각각이여서 이를 선별 내지 구별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경비를 소용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종이위에 인쇄된 모양을 갖는 모양지를 판재에 접착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펄프로 이루어진 종이가 수분에 의하여 훼손 되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층간 박리가 생기는 등의 하자가 있었다.
또는, 도 16과 같이 무늬목을 판재의 양측 면에 접착하여 휨을 방지하는 구성도 있었으나, 이는 단순히 휨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만 소용되며, 무늬목이 매우 얇은 관계로 휨을 방지하는데 충분하지 않았으며 HDF 등의 목질판에 접착이 이루어지므로 원목에 비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제품의 고급화나 안정성을 꾀 하는데 그 한계가 있었다.
그 외 , 단판을 서로 대칭하는 결 방향으로 접착하여서 된 합판이 있으나 이는 면취부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목재의 거스름이나 엇결로 인한 이질감으로 인하여 품질이 저하되었다.
상기한 합판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단판의 동일한 결 방향으로 접착하여 된 LVL이 있으나 상기 LVL은 그 구성단판의 수량이 통상 9 내지 15 플라이로 두께가 목재카펫을 이루는 단위편의 두께인 3mm 내지 4mm보다 훨씬 두꺼운 통상 15mm 내지 35mm로 이루어진 것이 보통이여서 사용상의 제약이 많았다.
또한 상기 LVL은 단순히 단판을 동일한 결 방향으로만 접착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측면부에서 관찰할 때 각각의 단위편 색상이 달라 조잡하고, 합판과 같은 단일 구성품으로 밖엔 사용 할 수 없으므로 추후 다시 표면에 별도의 화장재를 접착하는 등의 구성이 추가하여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도 2 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하나의 원목에서 컷팅 내지 슬라이스가공을 실시하여 소정의 넓이와 두께로 구성되므로 색상이나 휨력이 다르지 않은 원목판을 제공하고, 동일수종의 동일한 휨 성질을 갖는 목판1과 목판2를 동일방향의 결과 상호 휨력에 대항하는 대칭방향으로 기능성물질이 포함된 접착제에 의하여 적층하여 원목화장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2플라이 원목접착판은 동일한 결 방향으로 접착되어 외관상 접착 면이쉽게 보이지 않을 뿐 아니라, 굽음이 발생하는 대향 면으로 접착되어 있어 원목단판이 각기 갖고 있는 굽음 또는 만곡특성이 상호 상쇄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휨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 접착제에 숯이나 옥, 또는 황토 등이 첨가 되어 인체에 유익한 기능적 효과를 더하여 얻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혹 만곡이 된다 할지라도 재차 상기 2플라이 원목접착판재와 동일한 결 방향과 휨력에 대항하는 대칭방향으로 화장 재를 기능성물질이 포함된 접착제에 의하여 적층하여 도 5의 원목화장판을 제공하고, 도 6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원목화장판의 상부 면에 도료에 의한 하도 및 중상도 도장을 실시하여 도 7의 원목코팅화장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원목단판을 얻고 치장재를 더 하여 구성하거나, 상기 원목단판과 치장재를 동시에 접착하는 것으로 동시에 원목화장목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휨이 방지되는 순수 원목으로 이루어진 원목화장목판은천연의 나뭇결과 향기를 그대로 지니고 있으면서도 저렴하고, 휨이나 굽음이 적으며, 양질의 치장재를 사용하므로 보다 아름답고 값싸게 대량 공급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카펫용 원목단위편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루재용 암컷부 원목단위편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마루재용 수컷부 원목단위편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판의 만곡 상태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판을 접착 후 만곡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목판에 치장재가 접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목화장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목화장판에 U/V코팅도장을 실시하는 것을 예시하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목화장판에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카펫용 원목단위편 제작 공정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루재용 원목단위편 제작 공정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목화장판에서 장단위편을 얻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목장단위편으로 재단 또는 마디 홈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원목장단위편으로 재단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원목장단위편에 마디 홈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목단위편이 조립되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15는 종래기술의 목재 단위편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6는 종래기술의 무늬목접착 단위편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원목단판 1a:목판1
1b: 목판2 1c:치장재
2: 화장원목판 2a: 원목코팅화장판
2b: 코팅층 4: 원목단위편
4a: 원목장단위편 5: 조립판
6: 마디 홈 10: 목재카펫
20: 마루재 20a: 결합부
본 발명은 다수의 원목단판에 치장판을 접착하고 코팅한 원목화장판을 가공하여서 되는 원목단위편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원목에서 컷팅 내지 슬라이스 가공을 실시하여 소정의 넓이와 두께로 구성한 목판1과 목판2를 제공하고, 동일수종의 동일한 휨 성질을 갖는 상기 목판1과 목판2, 임의의 치장재를 동일한 결 방향과, 상호 휨력에 대항하는 대칭방향으로 기능성물질이 포함된 접착제에 의하여 적층하여 원목화장판을 제공한다.
상기 원목화장판의 상측 면에 U/V도료에 의한 하도 및 중상도 도장을 실시하여 원목코팅화장판을 제공하고 상기 원목코팅화장판을 모서리에 경사부 또는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원목단위편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원목단위편이다.
이하 각 실시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한다.
- 제1실시예 -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과 도 12에서 예시한 것과 같은 원목단위편(4)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원목에서 컷팅 내지 슬라이스가공으로 소정의 넓이와 두께로 동일수종의 동일한 휨 성질을 갖는 목판1(1a)과 목판2(1b)를 얻는 단계(S101)와;
상기 목판1(1a)의 상측 면에 옥 또는 황토가 소정 량 함유된 접착제를 도포한 후 목판1(1a)의 상측 면과 상기 목판2(1b)의 상측 면이 배접되도록 동일한 결로 접착하여 2플라이 목판재를 얻는 단계(S102)와;
상기 2플라이 목판재의 상측 면에 옥 또는 황토가 소정 량 함유된 접착제를 도포한 후 임의의 치장재(1c)를 상기 2플라이 목판재와 동일한 결로 접착하여 원목화장판(2)을 얻는 단계(S103)와;
상기 원목화장판(2)의 상측 면에 U/V도료에 의한 하도 및 중상도 도장을 실시하여 원목코팅화장판(2a)을 제공하는 단계(S104)와;
상기 원목코팅화장판(2a)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재단 및 모서리에 경사부를 갖도록 하여서 되는 원목단위편(4)을 얻는 단계(S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제조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한 원목단위편을 제공한다.
- 제2실시예 -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도 13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원목코팅화장판(2a)을 소정의 길이로 재단하고 그 상부면에 소정 간격의 마디 홈을 형성하여서 이루어진 원목단위편(4a)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실시예의 단계(S105)에서 원목코팅화장판(4a)을 소정의 길이를 갖는 비교적 긴 길이로 재단하고 상기 제1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원목단위편(4)의 길이에 해당하는 소정의 간격으로 그 상부면에 임의의 치장재(1c)가 갖는 두께보다 비교적 얇은 깊이의 마디 V홈(6)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 제3실시예 -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102)와 단계(S103)을 더하여 동시에 실시하여 원목화장판(2)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목화장판(2)은 단계(S101)에서 목판1(1a)과 목판2(1b)를 제공하고 상기 목판2(1b)를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구성으로 된 양면 스프레다를 통과하는 것으로 상기 목판2(1b)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목판2(1b)의 하측부엔 목판1(1a)을 적층하며, 상기 목판2(1b)의 상측부엔 임의의 치장재(1c)를 적층하여 접착수단에 의해 일체화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목화장판(1c)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시예에 비하여 단계(S102)와 단계(S103)을 동시에 포함하여 실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 목재카펫(10) 또는 마루재(20)용 원목단위편(4)을 얻는 것은 도 10에서와 같이 원목단위편(4) 또는 마디 홈이 형성된 원목장단위편(4a)을 얻는 것으로 단계(S104)에서 제공된 원목화장판(4)의 길이방향으로 원목단위편(4)의 폭에 해당하는 소정의 간격으로 재단하여 상기 원목화장판(4)의 길이에 해당하고 원목단위편(4)의 폭에 해당하는 원목장편을 제공한다.
이후, 도 1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원목장편을 절반씩 양분하여 제1원목장편과 제2원목장편을 제공하고, 제1원목장편은 원목단위편(4)의 길이에 해당하는 소정의 간격으로 재단 또는 마디 홈(6)을 형성된 제1원목단위편(4, 4a)을 제공하고, 제2원목장편은 상기 원목단위편(4)이 갖는 길이의 1/2지점에서원목단위편(4)의 길이에 해당하는 소정 간격으로 재단 또는 마디 홈(6)을 형성한 제2원목단위편(4, 4a)을 제공한다.
도 14에서 도시한 것처럼 상기 제1원목장편에서 제공된 1,3,5,7,9,......열로 이어지는 홀수열의 상기 제1원목단위편(4, 4a)과 제2장목편에서 제공되는 2,4,6,8,10,.......... 짝수열로 이어지는 상기 제1원목단위편(4, 4a)을 순차적으로 배열하는 것으로 목재카펫(10) 또는 마루(20) 등을 배열 하게 된다.
상기 도 10과 도 11, 도 12에 따르면 원목이나 화장판을 재단하고 이를 하나 하나 일일이 단위편을 교호 조립하여 실시하던 종래 기술에 비하여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목재카펫 또는 마루를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소정의 크기로 개별 재단된 원목단위편(4)을 교호 조립할 수도 있을 것이나, 하나의 장단위편 상측부에 접착된 치장재(1c)의 두께보다 비교적 얇은 깊이의 마디 홈(6)을 형성하여 되는 원목장단위편(4a)을 제공하고 이를 조립하여 상기 목재카펫(10) 또는 마루(20)를 제공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에 따르면 상감이나 특정 문양으로 구성된 치장재(1c)를 접착하여 제공된 원목화장판(2)에서 제공된 원목단위편(4, 4a)일 경우라도 상기 특정문양의 흐트러짐이나 밑그림에 맞추어서 조립하는 등의 번거로움 없이 쉽게 배열 조립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 원목을 재단, 면취부를 가공하고 얻어진 원목편을 테이프로 결속하여 도장을 실시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많은 수공과 경비 그리고 시간을 허비하였으나 도 6과 도7에 도시한 바, 본 실시예의 단계(S104)에서넓은 원목화장판(2)에 직접 도장을 실시하고 이를 재단, 바로 조립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종래에 비하여 많은 생산성 향상과 경비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접착수단으로 사용되는 접착제에 기능성물질을 첨가하여 인체에 유익한 효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원적외선 방출을 하는 황토나 옥 또는 숯 등을 분말화 시키거나 액상의 방향제 등을 소정량 접착제에 함께 교반하여 도포한다.
상기 치장재(1c)는 무늬목, 모양지, 단판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LPM, HPM 등과 같은 메라민함침지 또는 다수의 소재를 조합하거나 적층하여서 된 상감패널일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치장재(1c)를 원목화장판(2)의 저면층에도 접착하여 양면 구성을 갖게 하거나 굽음이나 휨 등을 보강하기 위하여 단판의 구성이나 수량을 더 하여 실시하거나, 각각의 단판의 두께를 달리하여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이나 효과는 상기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해 통상의 지식을 지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할 것이 다.
본 발명의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원목단위편에 따르면 원목에서 제공되는 다수의 단판을 상호 휨이나 굽음 방향과 대칭되는 구성으로 접착되어져서 만곡이 억제되고 기능성을 갖는 접착제가 제공하는 유익한 효능을 더할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임의의 치장재를 선택적으로 접착하는 것으로 보다 다양하고 안정된 원목화장판을 제공한다.
상기 원목화장판을 재단 또는 홈 가공을 실시하여 원목단위편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원목단위편을 단순 조립하는 것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문양도 쉽게 표현되는 목재카펫 또는 마루재용 원목단위편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다수의 원목단판에 치장판을 접착하고 코팅한 원목화장판을 가공하여서 되는 목재카펫 또는 마루재용 원목단위편에 있어서,
    하나의 원목에서 컷팅 내지 슬라이스 가공으로 소정의 넓이와 두께로 동일 수종의 동일한 휨 성질을 갖는 목판1(1a)과 목판2(1b)를 얻는 단계(S101)와;
    상기 목판1(1a)의 상측 면에 기능성물질이 함유된 접착제를 도포한 후 목판1(1a)의 상측 면과 상기 목판2(1b)의 상측 면이 배접되도록 동일한 결로 접착하여 2플라이 목판재를 얻는 단계(S102)와;
    상기 2플라이 목판재의 상측 면에 기능성물질이 함유된 접착제를 도포한 후임의의 치장재(1c)를 상기 2플라이 판재와 동일한 결로 접착하여 원목화장판(2)를 얻는 단계(S103)와;
    상기 원목화장판(2)의 상측 면에 도료에 의한 하도 및 중상도 도장(2b)을 실시하여 원목코팅화장판(2a)을 얻는 단계(S104)와;
    상기 원목코팅화장판(2a)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재단 및 결합수단(20a)을 갖도록 하여서 되는 원목단위편(4)을 얻는 단계(S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목화장판(2)은 상기 목판2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기능성물질이 함유된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목판1(1a)은 상기 목판2(1b)와 동일한 결 방향으로 배접되게 하여 하측부에 적층하고, 임의의 치장재(1c)는 상기 목판2(1b)의 동일한 결 방향으로 상측부에 적층하여 된 것으로서, 단계(S102)에 단계(S10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원목화장판(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목단위편(4)은 그 상측부에 치장재의 두께보다 비교적 얇은 깊이의 마디 V홈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목장단위편(4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요소수지와 메라민수지, 초산비닐에멀젼 본드를 7:1:2의 무게 비율로 배합하고, 밀가루로 점도를 맞춘 것으로 옥, 숯, 황토 또는 방향제 등 기능성 물질이 분말이나 액상으로 첨가되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제조방법.
  5. 다수의 원목단판에 치장판을 접착하고 코팅한 원목화장판을 가공하여서 되는 목재카펫 또는 마루재용 원목단위편에 있어서,
    하나의 원목에서 컷팅 내지 슬라이스가공으로 소정의 넓이와 두께로 동일수종의 동일한 휨 성질을 갖는 목판1(1a)과 목판2(1b)가 동일한 결 방향과, 상호 휨력에 대항하는 대칭방향으로 기능성물질이 함유된 접착제에 의하여 적층한 2플라이 판재를 얻고, 임의의 치장재(1c)를 상기 2플라이 판재와 동일한 결 방향과, 상호 휨력에 대항하는 대칭방향으로 기능성물질이 함유된 접착제에 의하여 적층되어진 원목화장판(2)을 제공하고, 상기 원목화장판(2)의 상측 면에 U/V도료에 한 하도 및 중상도 도장(2b)을 실시하여 원목코팅화장판(2a)을 제공하고 상기 원목코팅화장판(2a)을 소정의 크기로 재단되거나 상기 재단 후 암컷부와 수컷부로 구성된 겹합수단(20a)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장재(1c)는 무늬목, 모양지 단판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LPM, HPM 등과 같은 메라민함침지 또는 다수의 소재를 조합하거나 적층하여서 된 상감패널인 것으로 목판의 표면 또는 목판의 중앙부에 홈을 파고 그 홈안에 삽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원목장단위편(4a)은 그 상측부에 접착되어 있는 치장재(1c)의 두께보다 비교적 얇은 깊이의 마디 V홈(6)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요소수지와 메라민수지, 초산비닐에멀젼 본드를 7:1:2의 무게 비율로 배합되고, 밀가루로 점도를 맞춘 것으로 옥, 숯, 황토 또는 방향제 등 기능성 물질이 분말이나 액상으로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이 제어된 목편.
  9.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목단위편(4, 4a)은 적층된 단판의 구성 플라이 수량이 상기 치장재(1c)를 포함하여 3플라이, 4플라이 또는 5플라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KR1020030048936A 2003-07-16 2003-07-16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한 원목단위편 KR20050009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936A KR20050009570A (ko) 2003-07-16 2003-07-16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한 원목단위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936A KR20050009570A (ko) 2003-07-16 2003-07-16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한 원목단위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570A true KR20050009570A (ko) 2005-01-25

Family

ID=3722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936A KR20050009570A (ko) 2003-07-16 2003-07-16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한 원목단위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95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473A (ko) * 2003-07-28 2005-02-04 주식회사 청송하이테크 열경화수지 마루용 마루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한 마루판
KR20170022106A (ko) 2015-08-19 2017-03-02 이승석 알루미늄 각봉을 이용한 휨방지 원목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473A (ko) * 2003-07-28 2005-02-04 주식회사 청송하이테크 열경화수지 마루용 마루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한 마루판
KR20170022106A (ko) 2015-08-19 2017-03-02 이승석 알루미늄 각봉을 이용한 휨방지 원목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6079B1 (en) Wooden til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762036B2 (en) Natural wood sandwiched engineered flooring
US9616650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composite engineered wood material floor board
CN101652522A (zh) 改进的硬木地板系统
CN206551160U (zh) 仿造木单板制品和仿造木装饰板
JP2008156893A (ja) 建築材の製造方法と建築材
CN207794530U (zh) 一种实木复合软木地板
JPH10102743A (ja) 溝付き化粧板
JP2005009140A (ja) 化粧床材
KR20050009570A (ko)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한 원목단위편
JP3101661B2 (ja) 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2697202Y (zh) 超薄型竹材复合地板
JPH0726701A (ja) 床材用基板および床材
KR200343776Y1 (ko) 인테리어용 기능성 목편
CN2547481Y (zh) 实木复合胶合板
JP2008012887A (ja) 突板貼り彫刻化粧板とその製造法
CN201351352Y (zh) 一种原木单板拼花强化复合地板
KR20050009814A (ko) 만곡이 제어된 원목단위편으로 된 목재카펫 및 그제조방법에 의한 목재카펫
CN216157055U (zh) 一种异形榫槽结构实木复合地板
JPH11291209A (ja) 建築用化粧板
KR102549511B1 (ko) 인테리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214220460U (zh) 一种pp膜实木复合地板
CN208294366U (zh) 具嵌入式装饰条的木质门扇结构
CN100463798C (zh) 人造石复合台面及其制作方法
KR200259853Y1 (ko) 나무 자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