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757Y1 - 가스버너용 조리대 - Google Patents

가스버너용 조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757Y1
KR200259757Y1 KR2020010031662U KR20010031662U KR200259757Y1 KR 200259757 Y1 KR200259757 Y1 KR 200259757Y1 KR 2020010031662 U KR2020010031662 U KR 2020010031662U KR 20010031662 U KR20010031662 U KR 20010031662U KR 200259757 Y1 KR200259757 Y1 KR 200259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gas
vortex
storage tank
gas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홍
Original Assignee
세일기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일기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일기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1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7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757Y1/ko

Links

Landscapes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버너용 조리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스버너에 와류수단을 구비하여 가스의 완전연소를 가능하게 하고, 가스버너의 배기열로 온수통를 가열하도록 하는 가스버너용 조리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함체형상의 케이스와, 상면에 조리용구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덕부와, 상기 화덕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가스를 완전연소시키는 가스버너와, 상기 화덕부 일측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가스버너에서 연소된 가스의 배기열로 온수를 가열하는 온수통이 설치된 보조화덕부와, 상기 온수통을 가열한 배기열을 방출하는 배기구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버너용 조리대{A KITCHEN TABLE FOR GAS BURNER}
본 고안은 가스버너용 조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내측에 화덕부를 형성하고, 상기 화덕부 내부에 설치된 가스버너에 와류수단을 형성하여 가스의 완전연소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배기되는 배기열로 보조화덕부 상측의 온수통을 가열하도록 하는 가스버너용 조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국음식점에서 사용하는 조리용 가스버너는 순간적으로 강한 화력이 요구됨에 따라 가스의 압력이 높은 액화 석유가스(LPG)을 사용하는 고압버너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가격이 싼 반면 압력이 낮은 액화 천연가스(LNG)을 사용하여 고압 및 고열의 화염을 얻을 수 있는 가스버너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스버너용 조리대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버너용 조리대는 상면에 조리용구(1)가 안착되는 안착부(2a)가 형성된 화덕(2)의 내측에 가스버너(3)를 설치하고, 공급되는 가스의 연소에 의해 조리용구(1) 내부의 내용물을 가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스버너(3)는 버너헤더(3a)의 일측에 가스인입관(3b)이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의 버너팁(3c)이 형성되며, 상기 버너헤더(3a)의 내측에 원추형 캡(4)이 안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스버너용 조리대는 가스인입관(3b)으로 유입된 가스가 버너헤더(3a)의 상면에 형성된 버너팁(3c)에서 분출되면서 연소되는 것이고, 이때 발생된 화염이 원추형 캡(4)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화력이 상면에 집중되어 조리용구(1)를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가스버너용 조리대는 가스버너(3)에서 분출되는 화염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고, 배기열이 외부로 그대로 배출되어 가스의 낭비가 심할 뿐만 아니라 가스버너(3)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화기가 미치게 되어 작업환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스버너(3)에 공기의 공급이 미약하여 완전연소가 이루어지지 않고, 이에 따라 화력도 세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가스버너에 와류수단을 구비하여 가스의 완전연소를 가능하게 하고, 가스버너의 배기열로 온수통를 가열하도록 하는 가스버너용 조리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가스버너용 조리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버너용 조리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안착부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버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5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버너의 캡에 와류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버너의 제2 공기저장태크에 와류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버너헤더 11: 지지다리
20: 화덕부 21: 안착부
30: 가스버너 31: 버너헤더
31a: 가스인입관 31b: 캡안착부
31c: 버너팁 32: 캡
32a: 제1와류공 33: 1차 공기저장탱크
33a: 공기 토출구 33b: 공기 유입구
34: 2차 공기저장탱크 34a: 제2와류공
35: 연결관 36: 유로관
37: 송풍팬 40: 보조화덕부
50: 배기구 60: 조리용구
61: 온수통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함체형상의 케이스와, 상면에 조리용구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덕부와, 상기 화덕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가스를 완전연소시키는 가스버너와, 상기 화덕부 일측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가스버너에서 연소된 가스의 배기열로 온수를 가열하는 온수통이 설치된 보조화덕부와, 상기 온수통을 가열한 배기열을 방출하는 배기구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스버너는 일측에 가스인입관이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의 버너팁이 형성된 버너헤더와, 상기 버너헤더의 내측에 안착된 캡과, 상기 버너헤드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측에는 상기 캡에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며, 하측의 공기를 유도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1차 공기저장탱크와, 상기 버너헤더의 상측에 설치되고,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2차 공기저장탱크와, 상기 1차 공기저장탱크와 2차 공기저장탱크를 일측면에서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1차 공기저장탱크의 공기 유입구에 유로관으로 연결되고, 공기를 캡 및 1,2차 공기저장탱크에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버너팁에서 분출되는 화염을 상기 송풍팬에서 공급되는 공기로 와류시키는 와류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와류수단은 상기 송풍팬에서 송풍된 공기를 캡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제1와류공을 형성시켜 상기 버너팁에서 분출되는 화염을 1차 와류시키고, 상기 2차 공기저장탱크의 내주면에서 상기 1차 와류된 공기를 2차 와류시키도록 상기 2차 공기저장탱크 내부에서 외부로 경사지게 제2와류공을 형성시킨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버너용 조리대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버너용 조리대는 함체형상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덕부(20)와, 상기 화덕부(20)의 내부에 설치된 가스버너(30)와, 상기 화덕부(20) 일측의 형성된 보조화덕부(40)와, 상기 보조화덕부(40)의 일측에 연소된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구(5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10)는 외관을 이루도록 박스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하측에 지지다리(11)가 형성되어 있다.
화덕부(20)는 상면에 조리용구(60)가 안착되는 안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안착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부(21)는 전면으로 일정한 경사를 주어 조리용구(21)를 안착했을 때 조리가 편리하도록 구성되어져 있고, 배기가 직상부로 방출됨을 억제하는 하광상협(下廣上狹)의 원형구조로 조리용구(60)의 하부를 가열하고, 하부쪽으로 화염이 회전한 후 안착부(21) 전방의 조리용구(60) 하부보다 낮게 설치한 개구부(22)를 통해 배기구(50)로 배기되는 방출량을 억제하므로 발생된 열량을 최대한 조리용구(60)를 가열하고 보조화덕부(40)로 배출되는 구조로서 열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또한, 안착부(21)는 철재로 이루어진 기본층(21a)과, 상기 기본층(21a)을 감싸는 단열층(21b)과, 상기 단열층(21b)을 감싸는 표면층(21c)으로 이루어진 삼중 단열구조를 갖으며, 이는 화덕부(20) 및 보조화덕부(40)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버너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버너(30)는 링형태로 이루어져 일측에 가스인입관(31a)이 연결되어 있고, 내측에는 캡안착부(3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외주면에는 버너팁(31c)이 방사상으로 설치되어진 버너헤더(31)와, 상기 버너헤더(31)의 캡안착부(31b)에 안착되어져 상기 버너팁(31c)에서 분출되는 화염을 상측으로 유도하는 캡(32)과, 상기 버너헤드(31)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측에는 상기 캡(32)에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 토출구(33a)가 형성되며, 하측의 공기를 유도하는 공기 유입구(33b)가 형성된 1차 공기저장탱크(33)와, 상기 버너헤더(31)의 상측에 설치되고,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2차 공기저장탱크(34)와, 상기 1차 공기저장탱크(33)와 2차 공기저장탱크(34)를 일측면에서 연결하는 연결관(35)과, 상기 1차 공기저장탱크(33)의 공기 유입구(33b)에 유로관(36)으로 연결되고, 공기를 캡(32) 및 1,2차 공기저장탱크(33)(34)에 송풍하는 송풍팬(37)과, 상기 버너팁(31c)에서 분출되는 화염을 상기 송풍팬(37)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와류시키는 와류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와류수단은 상기 송풍팬(37)에서 송풍된 공기를 캡(3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제1와류공(32a)을 형성시켜 버너팁(31c)에서 분출되는 화염을 1차 와류시키고, 상기 2차 공기저장탱크(34)의 내주면에서 상기 1차 와류된 공기를 2차 와류시키도록 상기 2차 공기저장탱크(34) 링의 내부에서 외부로 경사지게 제2와류공(34a)을 형성시킨 것이다.
보조화덕부(40)는 화덕부(20) 일측과 연통되고, 상면에 온수통(61)을 설치하여 화덕부(20)에서 연소된 열이 유동되면서 상기 온수통(61)의 내부의 물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보조화덕부(40)도 화덕부(20)와 마찬가지로 주위를 단열재로 감싸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구(50)는 상기 보조화덕부(40)의 일측에 연소된 가스를 배출하도록 연통식으로 설치되고, 도면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레인지 후드 등에 의해 외부로 배기가스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10) 내부에 단열처리된 화덕부(20)와 보조화덕부(40)를 연통되도록 설치하고, 배기구(50)를 보조화덕부(40)의 일측에 형성시킨다.
그리고, 화덕부(20)의 내부에 가스버너(30)를 설치하고, 가스인입관(31a)에 도시가스 배관을 연결한후 밸브를 개방하게 되면 도시가스가 버너헤더(31)의 상측의 형성된 복수의 버너팁(31c)에서 분출되면서 점화된다.
이렇게 연소된 가스는 캡(32)의 외주면에 충돌되면서 상측으로 화염이 상승되어 조리용구(60)의 하방을 직접 가열하게 되고, 송풍팬(37)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공기는 1차 공기저장탱크(33)을 거쳐 상측의 캡(32) 및 연결관(35)을 통해 2차 공기저장탱크(34)로 공급된다.
상기 캡(32) 및 2차 공기저장탱크(34)에 공급된 공기는 캡(32)에 형성된 1차 와류공(32a)을 통해 외부로 분출되면서 캡(32)의 상면을 타고 상승되는 화염을 와류시킴과 아울러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2차 공기저장탱크(34)의 내주면에서 2차 와류공(34a)을 통해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2차 와류되면서 완전연소가 가능하여 강한 화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화염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화덕부(20)에서 연소되어 배기되는 가스는 보조화덕부(40)를 통과하면서 상측에 안착된 온수통(61)을 가열하여 내부의 물을 가열하고, 상기 온수통(61)을 가열한 배기가스는 배기구(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가스버너용 조리대는 가스버너에서 연소된 열로 재차 보조화덕에서 연소통을 가열하여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열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화덕부의 내부에 설치된 가스버너의 화염을 와류시켜 외부로 화염이 분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하광상협의 원형구조의 안착부가 직상부로 배출되는 배기를 억제하므로 열효율을 높이며, 연소물 하부를 가열한 화염이 하향 회전한 후 연소물 바닫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안착부의 배기구를 통하여 보조화덕부로 빠져 나감으로서 열효율 상승 및 연료가 절감된다.

Claims (3)

  1. 함체형상의 케이스(10);
    상면에 조리용구(60)가 안착되는 안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덕부(20);
    상기 화덕부(2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가스를 완전연소시키는 가스버너(30);
    상기 화덕부(20)의 안착부(21) 일측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가스버너에서 연소된 가스의 배기열로 온수를 가열하는 온수통(61)이 설치된 보조화덕부(40);
    상기 온수통(61)을 가열한 배기열을 방출하는 배기구(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용 조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버너(30)는 일측에 가스인입관(31a)이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의 버너팁(31c)이 형성된 버너헤더(31)와, 상기 버너헤더(31)의 내측에 안착된 캡(32)과, 상기 버너헤드(31)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측에는 상기 캡(32)에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 토출구(33a)가 형성되며, 하측의 공기를 유도하는 공기 유입구(33b)가 형성된 1차 공기저장탱크(33)와, 상기 버너헤더(31)의 상측에 설치되고,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2차 공기저장탱크(34)와, 상기 1차 공기저장탱크(32)와 2차 공기저장탱크(33)를 일측면에서 연결하는 연결관(34)과, 상기 1차 공기저장탱크(33)의 공기 유입구(33b)에 유로관(36)으로 연결되고, 공기를 캡(32)및 1,2차 공기저장탱크(33)(34)에 송풍하는 송풍팬(37)과, 상기 버너팁(31c)에서 분출되는 화염을 상기 송풍팬(37)에서 공급되는 공기로 와류시키는 와류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용 조리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수단은 상기 송풍팬(37)에서 송풍된 공기를 캡(3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제1와류공(32a)을 형성시켜 상기 버너팁(31c)에서 분출되는 화염을 1차 와류시키고, 상기 2차 공기저장탱크(34)의 내주면에서 상기 1차 와류된 공기를 2차 와류시키도록 상기 2차 공기저장탱크(34) 내부에서 외부로 경사지게 제2와류공(34a)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용 조리대.
KR2020010031662U 2001-10-17 2001-10-17 가스버너용 조리대 KR200259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662U KR200259757Y1 (ko) 2001-10-17 2001-10-17 가스버너용 조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662U KR200259757Y1 (ko) 2001-10-17 2001-10-17 가스버너용 조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757Y1 true KR200259757Y1 (ko) 2002-01-09

Family

ID=7311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662U KR200259757Y1 (ko) 2001-10-17 2001-10-17 가스버너용 조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7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197B1 (ko) 2009-11-26 2012-05-02 주식회사3차버너 가스버너용 조리대의 배기가스를 이용한 보조 조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197B1 (ko) 2009-11-26 2012-05-02 주식회사3차버너 가스버너용 조리대의 배기가스를 이용한 보조 조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581473U (zh) 一种燃气灶节能支架
KR102064800B1 (ko)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US20100282238A1 (en) Jet type gas cooker
CN104534470A (zh) 一种燃烧器
EP2390569B1 (en) A burner for professional or domestic gas cookers, particularly of the type of vertical-flame burners adapted for cooking with woks and the like
KR20040010165A (ko) 가스 곤로
KR100927046B1 (ko)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버너 어셈블리
KR101425387B1 (ko) 버너장치
KR200259757Y1 (ko) 가스버너용 조리대
KR100955070B1 (ko) 고효율 조리기구
CN202581474U (zh) 一种燃气灶防风支架
KR200264260Y1 (ko) 가스버너의 화력증가장치
KR100395412B1 (ko) 가스버너의 화력증가장치
KR101623979B1 (ko) 가스 조리기기
KR100927328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310721Y1 (ko) 가스버너용 조리대의 배기가스 재회수장치
JP2006138603A (ja) ガスコンロ
KR101140197B1 (ko) 가스버너용 조리대의 배기가스를 이용한 보조 조리장치
JP3552110B2 (ja) 調理用ガスバーナーの燃焼装置
KR20200111472A (ko) 업소용 가스레인지의 화구 구조체
KR200315932Y1 (ko) 가스레인지용 버너
JP4378448B2 (ja) ガスこんろ
KR100763571B1 (ko) 적열식 휴대용 가스렌지
CN204421002U (zh) 一种燃烧器
KR200328077Y1 (ko) 가스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