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999Y1 - 자동차용컵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999Y1
KR200258999Y1 KR2019970045120U KR19970045120U KR200258999Y1 KR 200258999 Y1 KR200258999 Y1 KR 200258999Y1 KR 2019970045120 U KR2019970045120 U KR 2019970045120U KR 19970045120 U KR19970045120 U KR 19970045120U KR 200258999 Y1 KR200258999 Y1 KR 200258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movable plates
plate
holder
sup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5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364U (ko
Inventor
이주한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70045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99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23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3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9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컵을 지지하는 컵지지홀의 크기를 탄력적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컵 등을 안정적으로 끼워놓을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컵을 지지하는 컵지지홀의 중심에서 평면상 양측으로 분리된 가동 플레이트들과, 상기 가동 플레이트들 간의 중심에 위치되어 그 가동 플레이트들의 측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가동 플레이트들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 중심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컵 홀더{cup holder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에 장착되어 컵이나 음료용기 등을 일시 보관시키는 컵 홀더(cup hold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컵 등을 지지하는 컵지지홀의 크기를 탄력적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컵 등을 안정적으로 끼워놓을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자동차에 적용되는 컵 홀더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그 형태가 다양화되고 있으며, 이는 링 형태를 이용한 절첩식이나 플레이트 형태를 이용한 서랍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랍식 컵 홀더(100)는 홀더 케이스 (102)내에 컵(128)을 지지하는 컵지지홀(101a)을 갖는 홀더 플레이트(101)가 수납되어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지지 플레이트(110)와 힌지핀(112)으로 탄지되는 홀더 플레이트(101)가 상기 홀더 케이스(10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지지 플레이트(110)가 절첩되어 보관되다가 사용자가 홀더 케이스(102)로부터 홀더 플레이트 (101)를 인출하게 될 경우에는, 지지 플레이트(110)가 자중에 의해 펼쳐지도록 되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컵(128)이 높여지는 지지 플레이트(110)는 그 후단이 홀더 플레이트(101) 후단과 힌지핀(112)으로 결합되어져 있어 상기 홀더 플레이트(101)가 홀더 케이스(102)에 서랍식으로 끼워지거나 빼지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110)의 후단이 힌지핀(112)에 지지되어지므로 말미암아 홀더 케이스(102)로부터 지지 플레이트(110)가 빼내어진 경우 즉, 컵(128)등을 올려놓기 위한 경우에는, 지지 플레이트(110)가 힌지핀(112)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회전되면서 그 배면이 홀더 케이스(102) 입구에 걸어져서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하는 열림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컵(128) 바닥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10) 상에 놓여져 받쳐지고, 컵(128)의 허리부분은 홀더 플레이트(101)의 컵지지홀(101a)에 의해 지지되어져 컵(128)의 보관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홀더 플레이트(101)의 컵지지홀(101a)에서 컵(128)을 빼낸 후에는 그 홀더 플레이트(101)를 홀더 케이스(102)에 밀어 넣어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자중으로 내려와 있던 지지 플레이트(110)는 힌지핀(112)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수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컵 홀더(100)의 경우에 있어서는 지지 플레이트 (110)의 작용에 의해 컵(128)의 하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성이 있지만, 컵지지홀(101a)의 크기에 따른 컵(128)의 크기가 한정됨에 따른 몇 가지의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즉,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홀더 플레이트(101)의 컵지지홀(101a)의 크기는 보통의 컵에 맞게 형성되어 있어, 보통의 컵보다 큰 컵 또는 음료용기를 사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컵지지홀(101a)이 작으므로 컵을 끼워 받침 수 없으며, 비록 컵지지홀(101a)에 끼워진다 하여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되므로 컵이 쓰러지거나 기울어지면서 음료를 외부로 쏟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컵을 지지하는 컵지지홀의 크기를 탄력적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컵 등을 안정적으로 끼워놓을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컵 홀더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자동차용 컵 홀더의 컵지지홀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자동차용 컵 홀더의 분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로서,
도 5a는 컵지지홀이 좁아진 상태도.
도 5b는 컵지지홀이 넓어진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컵 홀더 2 : 컵지지홀
11, 15 : 우측 가동 플레이트 11a, 15a : 반원홈
20 : 고정 플레이트 31, 33 : 현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는, 컵을 지지하는 컵지지홀의 중심에서 평면상 양측으로 분리된 가동 플레이트들과, 상기 가동 플레이트들 간의 중심에 위치되어 그 가동 플레이트들의 측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가동 플레이트들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 중심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1)를 도시한 것으로서, 컵지지홀(2)의 중심에서 각 평면상 양측으로 분리되는 가동 플레이트들(11)(15)과, 그 가동 플레이트들(11)(15) 간의 중심에 위치되어 그 가동 플레이트들(11)(15)의 측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고정 플레이트(20)와, 그 가동 플레이트들(11)(15)이 그 고정 플레이트(20) 중심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현 스프링(31)(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동 플레이트들(11)(15)은 우측면에 컵지지홀(2)의 일부를 형성하는 우측 반원홈(11a)을 갖는 우측 가동 플레이트(11)와, 그 우측 가동 플레이트(11)의 양측에 위치되어 우측면에 그 컵지지홀(2)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좌측 반원홈 (15a)을 갖는 좌측 가동 플레이트(15)로 이루어진다. 즉, 우측 가동 플레이트(11)와 좌측 가동 플레이트(15)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상기한 우측 반원홈(11a) 및 좌측 반원홈(15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20)은 차체 측에 고정되며, 좌우측에 결합되는 가동 플레이트(11)(15)의 좌우측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현 스프링(31)(33)은 고정 플레이트(20)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 2개의 고정핀(21)과 각 가동 플레이트들(11)(15)의 내측에 설치된 롤러(12)(16)에 고정된다. 즉, 롤러(12)(16)는 탄성을 갖는 현 스프링(31)(33)을 권치하여 각 가동 플레이트들(11)(15)이 고정 플레이트(20)로 이동되는 것을 탄력적으로 돕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b, 16b, 20a는 현 스프링(31)(33)이 통과하는 관통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컵을 끼워놓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현 스프링 (31)(33)의 인장력에 의해 우측 가동 플레이트(11)와 좌측 가동 플레이트(15)가 고정 플레이트(20)로 가압되면서 서로의 측면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컵 지지홀(2)의 기본 직경을 유지하게 되므로 그 기본 직경보다 허리부위가 작은 컵을 끼워놓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컵의 직경이 컵지지홀(2)의 기본 직경을 보다 클 경우에는 컵을 컵지지홀(2)에 직접 가압할 경우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20)의 중심에서 우측 가동 플레이트(11)와 좌측 가동 플레이트(15)가 벌어지면서 해당 컵에 맞는 컵지지홀(2)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의 현 스프링(31)(33)은 역시 우측 가동플레이트(11)와 좌측 가동 플레이트(15)를 고정 플레이트(20) 측으로 당겨 컵지지홀(2)에 끼워진 컵을 탄력적으로 가압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컵지지홀(2)의 기본 직경보다 큰 컵을 탄력적으로 가압 지지하게 됨으로써, 컵이 쓰러지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컵 홀더는 앞서 기술한 수납식이나 직접 콘솔패널 등에 걸착시킬 수 있는 걸착식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컵을 지지하는 컵지지홀의 크기를 탄력적으로 변경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컵 등을 안정적으로 끼워놓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컵이 쓰러지거나 기울어짐에 따른 음료의 쏟아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컵을 지지하는 컵지지홀(2)의 중심에서 평면상 양측으로 분리되면서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컵지지홀(2)을 형성하게 각각 반원홈(11a)(15a)을 형성한 가동 플레이트들(11)(15)와,
    상기 가동 플레이트(11)(15) 간의 중심에 위치되어 그 가동 플레이트들 (11)(15)의 측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고정 플레이트(20)와,
    상기 가동 플레이트(11)(15)가 고정 플레이트(20) 중심으로 가압 이동시키게 고정플레이트(20)의 양측과 가동플레이트(11)(15)간을 각각 연결하는 탄성수단인 현스프링(31)(33)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KR2019970045120U 1997-12-31 1997-12-31 자동차용컵홀더 KR200258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120U KR200258999Y1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용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120U KR200258999Y1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용컵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364U KR19990032364U (ko) 1999-07-26
KR200258999Y1 true KR200258999Y1 (ko) 2002-04-22

Family

ID=5389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120U KR200258999Y1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용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9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364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4621A (en) Three-stage dual cup holder
KR970005196B1 (ko) 드링크 용기 보유 지지 장치
EP0445204B1 (en) Displaceable Hinge in particular for Glass or Bottleholder
KR100535596B1 (ko) 이동식 컵지지대를 가지는 컵홀더
CA2007375A1 (en) Portable directory and note pad tray
KR100500780B1 (ko) 컵 홀더 장치
GB2335107A (en) Phone cradle with means to retain phone
US10940785B2 (en) Vehicle holding unit
KR200258999Y1 (ko) 자동차용컵홀더
US7431369B2 (en) Vehicle glove box having a rotary-type partition
KR100399121B1 (ko) 자동차의 컵 홀더
KR20030024989A (ko) 자동차의 컵 홀더
JP2515518Y2 (ja) 車輌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カップホルダー
KR100398438B1 (ko) 자동차의 테이블용 컵홀더
KR100432006B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0040589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466514B1 (ko) 자동차용 컵홀더 어셈블리
KR0131035Y1 (ko) 자동차의 컵홀더
JPH1053059A (ja) 容器ホルダ
JP2002307995A (ja) ドリンクホルダー
KR200195836Y1 (ko) 차량용 가변형 드링크 홀더
KR0113794Y1 (ko) 수납식 드링크홀더
KR20050041216A (ko) 컵홀더
KR100203041B1 (ko) 자동차용 동전수납함
JPH0616134U (ja) カップホル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