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211Y1 - 포장 포대 테이프 - Google Patents

포장 포대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211Y1
KR200258211Y1 KR2019990007745U KR19990007745U KR200258211Y1 KR 200258211 Y1 KR200258211 Y1 KR 200258211Y1 KR 2019990007745 U KR2019990007745 U KR 2019990007745U KR 19990007745 U KR19990007745 U KR 19990007745U KR 200258211 Y1 KR200258211 Y1 KR 200258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suture
opening
separator
hot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856U (ko
Inventor
심범식
Original Assignee
심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범식 filed Critical 심범식
Priority to KR2019990007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21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8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8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2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 포대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내용물(15)을 수용하는 포대의 개구(40)를 봉합하는 포장 포대의 개구(40) 부분을 접은 다음에 상기 포대의 개구 크기보다 더 큰 크기의 소정 면적을 가지고 내부면에 박형으로 핫멜트(70)(hotmelt)가 도포되어 있는 봉합대(30)에 있어서 봉합대(30)의 양측표면에 가로로 실이나 면합사 또는 PE 테이프로 만들어지며 상기 봉합대(30)와 상기 포대(10)를 분리하는 분리물(50)과, 상기 분리물(50)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봉합대(30)의 양측단을 소정 길이 절단하여 상기 분리물(50)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절단부(60a, 60b)를 구비하는 봉합대(30)를 쒸운 후에 상기 핫멜트(70)에 순간적으로 열을 가해 봉합대(30)를 포대(10)에 봉합시키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포대

Description

포장 포대{Bags Tape for Packing}
본 고안은 곡물이나 밀가루와 같은 분말등을 담는 포장 포대에 관한 것이다. 특히 포대 입구부분을 쉬운 방법으로 완전하게 밀봉상태를 유지하며 개봉이 아주 용이하도록 만들어진 포장 포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포장 포대 중 지대 포대일 경우 크라프트 종이(Kraft paper)를 포대입구에 덮어씌우고 미싱 봉합을 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포장 포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종래의 포장 포대는, 수용형태(예컨대, 봉지형태)의 포대(1)의 상부 개구를 봉합하는 봉합대(3)와 봉합분리부(5)를 실을 사용하여 포대에 미싱 봉합함으로써 밀착시켜 포대(1)의 개구를 봉합하고 포대 개봉시에는 봉합분리부(5)의 실을 풀어 포대를 개봉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포대는 봉합분리부(5)에 각각 미싱으로 봉합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또한 실을 풀기란 사용자에게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귀찮은 문제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포대 입구를 덮어씌워 실링(sealing)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밀봉하는데는 효과적이지만 사용자들이 포대를 개봉할 때에는 가위나 칼로 일일이 개봉해야 하므로 용이하게 개봉하는데 불편한 문제를 초래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고안으로 누구나 개봉 입구를 용이하게 봉합 및 개봉가능케 하는 포장 포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담긴 분말등의 내용물이 외부 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봉을 완전하게 해주는 포장 포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소정의 내용물(15)을 수용하는 포대의 개구(40)를 개구 크기보다 더 큰 크기의 소정 면적을 가진 봉합대(30) 내부면에 박형으로 핫멜트(70)(hotmelt)가 도포되어 상기 포대 개구(40)를 봉합하는 포장 포대에 있어서,
상기 봉합대(30)의 일측 내면에 가로로 일정하게 접합되어 상기 봉합대(30)를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실 또는 면합사등의 분리물(50)을 도포하고,
상기 분리물(50)의 양측에 상기 봉합대(30)의 양측단을 소정 길이 절단하여 상기 분리물(50)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절단부(60a, 60b)를 구비하는 봉합대(30)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포장 포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포장 포대의 봉합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봉합대를 포대에 접착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포대 15 : 내용물
20 : 접힘부 30 : 봉합대
50 : 분리물 60a,60b : 절단부70 : 핫멜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그리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및 부분들은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또한, 하기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특징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포장 포대의 봉합대(3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포대 봉합대(30)는, 크라프트 종이 또는 그 이외의 일반종이 및 비닐등으로 만들어지며 봉합할 포대의 입구보다 더 커다란 크기의 소정 면적을 가지고 내부면이 핫멜트(70)(hotmelt)가 도포되어 순간 열접착으로 포대를 봉합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 봉합대(30)의 일측 표면에 가로로 접착되어 봉합대(30)와 포대를 분리하는 분리물(50)을 도포하여, 봉합 분리물(50)의 양측에 위치하며 봉합대(30)의 양측단을 소정길이 절단하여 포대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절단부(60a, 60b)를 형성하고, 봉합대(30)의 중간을 접히기 위한 접힘부(2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물(50)은 실 예컨대 면합사실을 주로 사용한다. 그외에 단단한 노끈 또는 6mm 정도의 폴리에틸렌(PE)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미싱으로 엮음실을 엮어서 봉합대(30)와 포대(10)를 밀착시키는 것보다 본 고안의 봉합대(30)는 훨씬 간편하게 포대(10)와 봉합대(30)를 핫멜트(70)에 약간의 열을 가하여 순간 열접착하여 쉽게 밀착 고정시킬 수 있으며 포대 개봉 역시 봉합대(30)의 양측 절단부(60a, 60b) 중 일측을 잡고 일방향으로 뜯어내므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포대 입구를 개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의 봉합대(30)를 포대에 접착시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포대(10)에 내용물(15) 예컨대 곡물이나 분말 등을 집어 넣고 포대 개구(40)를 일정 길이로 한번 접은 다음, 그 상태에서 봉합부(30)의 접힘부(20)를 중심으로 접혀서 포대 개구(40)를 안쪽에 두고 덮어 쒸운다. 여기서 봉합대(30)는 접힘부(20)를 중심으로 일측면 단부에 분리물(50), 예컨대 면합사실 또는 PE 테이프를 가지며 또한 그 분리물(50) 양측으로 소정 길이 잘린 절단부(60a, 60b)를 갖는다.
그 다음, 포대 개구(40)를 내포하며 포개진 봉합부(30)는 포대(10)의 외면과 순간 열접착으로 접착되는데, 이때 봉합부(30) 예컨대 크라프트 종이 내부에 핫멜트(70)가 도포되어 있어 이것에 순간적으로 열을 가함으로써 포대(10)와 봉합대(30) 및 분리물(50)을 함께 접착하게 된다. 따라서, 약한 열로도 쉽게 접착할 수 있게 된다. 포대를 개봉할 때에는 절단부(60a, 60b)를 잡고 당기면 분리물(50)과 함께 분리되어 개구(40)를 개봉할 수 있게된다.
한편, 핫멜트(70)가 도포되어 있는 봉합대(30)의 크라프트 종이의 폭은 45, 50, 60, 65, 70 mm의 여러 크기가 있어 소포장 또는 대포장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 하다. 가루 등을 담는 포대에는 상하 양측을 봉합대(30)로 봉합하면 운반도중에도 분말 등이 새는 일이 없어서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누구나 용이하게 포장 포대의 입구를 간단히 봉합하며 또한 쉽게 개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도모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포대 개구 봉합시 핫멜트(70)를 이용하여 순간 열접착 함으로 간편하게 봉합대(30)와 포대를 봉합하여 접합할 수 있으며, 절단부(60a, 60b)를 누구나 쉽게 뜯어내므로서 포대의 개봉이 용이한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포대 양측을 봉합대(30)로 봉합하므로서 운반도중에 분말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정의 내용물(15)을 수용하는 포대의 개구(40)를 봉합하는 포장 포대의 개구(40)부분을 접은 다음에 상기 포대의 개구(40) 크기보다 더 큰 크기의 소정 면적을 가지고 내부면에 박형으로 핫멜트(70)(hotmelt)가 도포되어 있는 봉합대(30)에 있어서,
    상기 봉합대(30)의 일측 표면에 가로로 실 또는 면합사를 접착시켜 분리물(50)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물(50)의 양측에 상기 봉합대(30)의 양측단을 소정 길이 절단하여 상기 봉합물(50)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절단부(60a, 60b)를 구비하는 봉합대(30)를 쒸운 후에 상기 핫멜트(70)에 순간 열 접착함으로 봉합대(30)를 포대(10)에 봉합시키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대(30)는 크라프트 종이 이외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포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물(50)은 실 또는 면합사 이외의 PP 테이프 등의 노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포대.
KR2019990007745U 1999-05-07 1999-05-07 포장 포대 테이프 KR200258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745U KR200258211Y1 (ko) 1999-05-07 1999-05-07 포장 포대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745U KR200258211Y1 (ko) 1999-05-07 1999-05-07 포장 포대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856U KR19990034856U (ko) 1999-09-06
KR200258211Y1 true KR200258211Y1 (ko) 2001-12-24

Family

ID=5475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745U KR200258211Y1 (ko) 1999-05-07 1999-05-07 포장 포대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2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072A (ko) * 2001-06-22 2003-01-06 삼양산업주식회사 포장용 지대
KR101723032B1 (ko) * 2016-05-19 2017-04-04 박종세 다목적 물꼬
KR102438264B1 (ko) * 2021-11-11 2022-08-31 주식회사 오알엔 이지 오픈 지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856U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38828A (en) Recloseable package
EP0790938B1 (en) A carrier bag
US3002674A (en) Improvements in paper bags and the like
US8517609B2 (en) Resizable food container
US20060246185A1 (en) Easy-open sausage package
KR200258211Y1 (ko) 포장 포대 테이프
KR19980063678A (ko) 포장체 및 포장체의 제조 방법
JPH05305956A (ja) テープ貼りジッパー袋
JP3813274B2 (ja) 包装体
US20050111765A1 (en) POM PT one step with a cross directional ripping-strip
AU536317B2 (en) Package for aromatic contents
JPH0776354A (ja) 易開封テープ貼り密封袋
JP3257296B2 (ja) 紙 袋
JPH08143047A (ja) 紙 袋
US3285499A (en) Bag closure device
KR20200119148A (ko) 농산물 포장용 그물망 포대제조법
CA1192167A (en) Easy open package having a reclosable feature
KR102249657B1 (ko) 마스크팩용 파우치
JP4135851B2 (ja) ひだ付き紙袋
KR200379609Y1 (ko) 빨대포장지
JP2000255592A (ja) 内袋を容易に分離できる紙袋
JPS5929876Y2 (ja) 防湿用紙袋
KR200168434Y1 (ko) 식품 포장대
CA2032252C (en) Duplex bag having a handl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292695B2 (ja) サンドイッチ包装用袋及びサンドイッチ包装用袋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