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137Y1 - 유럽형 휴대폰의 에스아이엠 카드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유럽형 휴대폰의 에스아이엠 카드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137Y1
KR200258137Y1 KR2020010028038U KR20010028038U KR200258137Y1 KR 200258137 Y1 KR200258137 Y1 KR 200258137Y1 KR 2020010028038 U KR2020010028038 U KR 2020010028038U KR 20010028038 U KR20010028038 U KR 20010028038U KR 200258137 Y1 KR200258137 Y1 KR 2002581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 card
locker
mobile phone
fixing structure
europ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8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1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137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유럽형 휴대폰의 SIM 카드 고정구조에서 락커와 하우징의 재질 차이로 인해 가이드부의 마모가 빠르게 진행되고 그 결과로 락커의 왕복이동이 안정적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하우징의 배면에 장착되는 SIM 카드와, 상기 SIM 카드가 장착되는 카드 장착부의 측부에 설치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SIM 카드를 고정하는 회전형 락커와, 상기 회전형 락커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 홈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형 락커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으로 구성됨으로써,
락커와 하우징 사이의 마찰이 적은 회전식 락 구조를 사용하므로 양자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가 적어지고 SIM 카드의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해지도록 하는 유럽형 휴대폰의 SIM 카드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럽형 휴대폰의 에스아이엠 카드 고정구조{SIM card fixing for europe type cellular phone }
본 고안은 유럽에서 사용되는 핸드폰의 필수 요소인 SIM 카드를 고정함에 있어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하우징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럽형 휴대폰의 SIM 카드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유럽에서는 우리 나라와는 달리 핸드폰에 SIM 카드라는 장치를 장착하여야만 통화가 가능하다. 이 SIM 카드는 일종의 공중전화카드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데, 유럽에서는 핸드폰에 SIM 카드가 장착되어야만 사용이 가능하다. SIM 카드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분실된 핸드폰을 타인이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SIM 카드는 배터리 장착부의 안쪽에 장착되며, 먼저 SIM 카드를 장착한 후 배터리를 장착하면 SIM 카드는 배터리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종래의 유럽형 휴대폰의 SIM 카드 고정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가 장착되는 하우징(10)의 배면에 장착되는 SIM 카드(20)와, 상기 SIM 카드(20)가 장착되는 카드 장착부(11) 측면에 설치되고 좌우 이동을 통해 상기 SIM 카드를 고정하는 락커(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락커(30)가 설치되는 가이드부(12)의 측벽에는 상기 락커(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13)이 형성되고, 상기 락커(30)의 상면에는 락커(30)를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오목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유럽형 휴대폰의 SIM 카드 고정 구조의 작용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럽형 휴대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휴대폰의 배터리를 탈거하고, 하우징(10)의 카드 장착부(11)에 SIM 카드(20)를 안착시킨다. 이후, 가이드부(12)에 위치된 락커(30)를 이동시켜 SIM 카드(20)를 지지하도록 하고, 배터리를 장착시키면 휴대폰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락커(30)는 사용자가 손톱 등을 이용하여 이동시키게 되는데, 손톱을 락커(30)의 오목홈(31)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락커(30)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또, 상기 락커(30)가 이동될 때 가이드부(12)에 형성된 가이드 홈(13)에 의해 락커(30)의 이동은 안내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유럽형 휴대폰의 SIM 카드 고정구조에서는 락커와 하우징의 재질 차이로 인해 가이드부의 마모가 빠르게 진행되고 그 결과로 락커의 이동이 안정적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락커는 보통 스테인레스로 형성되고 하우징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바, 양자의 강도가 서로 달라 하우징의 가이드 홈 부분이 더 빠르게 마모되는 것이다.
또, 락커를 좌우로 이동시킬 때 손톱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나쁘고 손톱 파손의 원인이 되어 소비자의 불만을 야기하게 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왕복형이 아닌 회전형 락커를 사용하고 돌기를 형성하여 조작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SIM 카드를 쉽게 장착 및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한 유럽형 휴대폰의 SIM 카드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유럽형 휴대폰의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SIM 카드 고정구조가 적용된 유럽형 휴대폰의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적용시 SIM 카드 장착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락커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하우징 51 : 카드 장착부
52 : 반달홈 53 : 고정돌기
55 : 회전축 56 : 락커
56a : 정현부 56b : 진원부
56c : 회전돌기 60 : SIM 카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터리가 장착되는 하우징의 배면에 장착되는 SIM 카드와, 상기 SIM 카드가 장착되는 카드 장착부의 측부에 설치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SIM 카드를 고정하는 회전형 락커와, 상기 회전형 락커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 홈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형 락커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유럽형 휴대폰의 SIM 카드 고정구조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가 장착되는 하우징(50)의 배면에 장착되는 SIM 카드(60)와, 상기 SIM 카드(60)가 장착되는 카드 장착부(51)의 측부에 설치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SIM 카드(60)를 고정하는 반달형의 회전형 락커(56)와, 상기 카드 장착부(51)의 측부에 형성된 반달홈(52)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형 락커(56)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55)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55)은 상단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측 중앙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 상기 락커(56)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락커(56)의 상면에 2개의 회전돌기(56')가 각인되며, 상기 락커(56)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상기 반달홈(52)에는 2개의 고정돌기(5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락커(56)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돌기(53)와 상응하는 2개의 걸림홈(미 도시)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고정돌기(53)는 회전축(55)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고, 걸림홈 또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유럽형 휴대폰의 SIM 카드 고정구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럽형 휴대폰의 배터리를 탈거한 후 하우징(50)의 반달홈(52)에 설치된 회전축(55)에 락커(56)를 장착한다. 락커(56)의 장착은 회전축(55)의 위쪽으로부터 끼워 넣으면 되는데, 회전축(55) 상단의 절개부로 인해 락커(56)의 중심홀이 회전축(55) 상단측보다 더 작은 직경이라 할지라도 충분히 삽입할 수 있다. 물론, 락커(56)가 삽입된 이후에는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55)의 상단부는 최초의 형태로 돌아가게 되며, 이는 락커(56)가 회전축(55)으로부터 이탈이 되지 않게 됨을 의미한다.
락커(56)의 장착이 완료되면 락커(56)를 회전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 구조가 되도록 하고, 카드 장착부(51)에 SIM 카드(60)를 장착한다. SIM 카드(60)가 장착된 이후에는 락커(56)를 회전시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구조가 되도록 하며, 락커(56)에 의해 SIM 카드(60)가 고정된 후 배터리를 장착하면 SIM 카드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즉, 열린구조에서는 락커(56)의 정현부(56a)가 카드 장착부(51) 측에 접하도록 하여 SIM 가드(60)를 안착시키거나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고, SIM 카드(60)가안착된 이후에는 락커(56)를 180°회전시켜 락커(56)의 진원부(56b)가 카드 장착부(51)를 덮도록 하여 SIM 카드(60)가 이탈되지 않게 한다.
상기 락커(56)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회전돌기(56c)를 누르면서 돌리게 되고, 락커(56)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반달홈(52)의 걸림돌기(53)가 결합되어 락커(56)의 무단회전을 저지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53)와 걸림홈의 형상은 같은 위치에서 오목볼록한 형태가 된다.
물론, 상기 락커(56)는 하우징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여 상호 마찰에 의한 마모가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유럽형 휴대폰의 SIM 카드 고정구조는 락커와 하우징 사이의 마찰이 적은 회전식 락 구조를 사용하므로 양자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가 적어지고 SIM 카드의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배터리가 장착되는 하우징의 배면에 장착되는 SIM 카드와, 상기 SIM 카드가 장착되는 카드 장착부의 측부에 설치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SIM 카드를 고정하는 회전형 락커와, 상기 회전형 락커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 홈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형 락커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럽형 휴대폰의 SIM 카드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단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측 중앙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럽형 휴대폰의 SIM 카드 고정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는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럽형 휴대폰의 SIM 카드 고정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의 고정을 위해 상기 가이드 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이와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락커의 저면에 동일한 숫자의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럽형 휴대폰의 SIM 카드 고정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는 일부가 절개된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 역시 상기 락커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럽형 휴대폰의 SIM 카드 고정구조.
KR2020010028038U 2001-09-12 2001-09-12 유럽형 휴대폰의 에스아이엠 카드 고정구조 KR200258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038U KR200258137Y1 (ko) 2001-09-12 2001-09-12 유럽형 휴대폰의 에스아이엠 카드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038U KR200258137Y1 (ko) 2001-09-12 2001-09-12 유럽형 휴대폰의 에스아이엠 카드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137Y1 true KR200258137Y1 (ko) 2001-12-24

Family

ID=73108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038U KR200258137Y1 (ko) 2001-09-12 2001-09-12 유럽형 휴대폰의 에스아이엠 카드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1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0552A (en) Contacting apparatus, in particular a contacting apparatus for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EP1030260A2 (en) A smart card connector
US5544510A (en) Key and holder combination
KR100380249B1 (ko) 플라스틱제 클립의 개폐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플라스틱제 클립
JP2000340280A (ja)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KR200258137Y1 (ko) 유럽형 휴대폰의 에스아이엠 카드 고정구조
JP2004171865A (ja) カードコネクタ
KR101255214B1 (ko) 배터리 개폐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EP1205870A1 (en) Chip card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KR100594105B1 (ko) 휴대 단말기의 심카드 커버 체결 장치
JP2002155926A (ja) 小型ヒンジ装置
KR200171949Y1 (ko) 심 카드용 소켓
KR0139438Y1 (ko) 위성방송수신기의 카드리더
KR1007005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JP2002134942A (ja) カバー開閉構造
KR101155393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램프 조립체
KR200374143Y1 (ko) 힌지어셈블리
KR200308505Y1 (ko) 메인lcd 내장식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21177B1 (ko) 힌지 장치
JP3098838B2 (ja) ネームカード付きスイッチハンドル
KR20070002135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잠금장치
KR200183262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345352Y1 (ko) 휴대폰의플립도어스위치작동구조
JP3742972B2 (ja) バッテリ保持構造およびそのバッテリ保持構造を組込んだ電子機器
KR100227332B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플립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