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455Y1 - 휴대용 식물 재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식물 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455Y1
KR200257455Y1 KR2020010028373U KR20010028373U KR200257455Y1 KR 200257455 Y1 KR200257455 Y1 KR 200257455Y1 KR 2020010028373 U KR2020010028373 U KR 2020010028373U KR 20010028373 U KR20010028373 U KR 20010028373U KR 200257455 Y1 KR200257455 Y1 KR 2002574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body member
moisture
portab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연
Original Assignee
이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연 filed Critical 이주연
Priority to KR20200100283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4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4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455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식물의 배양 및 생장이 가능한 식물 재배기를 간편하게 휴대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시간 및 공간적인 제약 없이 식물의 배양 및 생장에 필요한 환경 및 영양분 등을 공급하고, 그 성장과정을 수시로 비교 관찰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식물을 배양 및 생장시키기 위한 식물 재배기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투명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서 식물이 생장하면서 재배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부재(10)와, 상기 몸체부재(10)의 하부에 결합되어 그 내부에는 식물을 배양 및 생장시키기 위한 배양토 등이 채워지는 받침부재(30)와, 상기 몸체부재(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하부에는 돌출부(52)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52)의 하단에는 분사홀(54)이 천공되어 선택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자바라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공간부 내부에 각종 영양분 및 수분 등을 저장시키면서 상기 식물에 영양분 및 수분 등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수분공급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식물 재배기{A PORTABL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본 고안은 휴대용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휴대가 가능하도록 소형의 투명한 원통형상을 갖는 식물 재배기를 구성하여 가방이나, 주머니 등에 수납하거나 또는 휴대폰용 목걸이나 열쇠고리 등 악세서리로 제작하여 간편하게 식물 재배기를 휴대하면서 수시로 식물의 배양 및 생장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함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식물의 배양 및 생장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을 배양시키기 위해서는 상부가 개방된 대략 원통형상의 화분의 내부에 배양토를 채우고, 상기 배양토에 다양한 씨앗이나 식물 등을 심은 후, 일정한 간격으로 수분을 공급하면서, 식물의 배양에 필요한 환경(채광, 통풍 등)을 제공하므로써 식물을 배양시킬 수가 있었다.
한편, 근래에는 소형의 단말기를 휴대하면서 그 단말기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가상의 애완동물을 기르는 게임기(일명, 다마고치)가 어린이들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데, 상기 게임기는 가상의 애완동물에게 상기 게임기의 외부에 구성된 각종 기능버튼을 이용하여 각종 먹이 및 영양분을 공급하므로써, 상기 가상의 애완동물이 상기 기능버튼의 입력에 따른 환경에 맞추어 변화되어 가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화분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의 부피 및 중량을 지니고 있으며, 그 상부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근거리의 이동은 가능하지만 상기 화분을 항시 휴대하기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함과 더불어, 상기 화분은 일반적으로 일정한 장소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식물의 배양에 필요한 인공적인 환경을 제공하거나 상기 식물의 배양 과정을 항상 관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후술한 바와 같은 게임기를 통하여 가상의 애완동물을 사육하는 경우, 상기 애완동물은 가상의 생명체이므로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애정을 갖고 사육하기가 어렵고, 또한 상기 애완동물은 임의적으로 살상이 가능하여 생명 경시풍조를 조장할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어린이들의 정서에 큰 유익함을 줄 수가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식물의 배양 및 생장이 가능한 식물 재배기를 간편하게 휴대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시간 및 공간적인 제약 없이 식물의 배양 및 생장에 필요한 환경 및 영양분 등을 공급하고, 그 성장과정을 수시로 비교 관찰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식물을 배양 및 생장시키기 위한 식물 재배기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투명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서 식물이 생장하면서 재배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그 내부에는 식물을 배양 및 생장시키기 위한 배양토 등이 채워지는 받침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하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하단에는 분사홀이 천공되어 선택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자바라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공간부 내부에 각종 영양분 및 수분 등을 저장시키면서 상기 식물에 영양분 및 수분 등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수분공급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재에는 상기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주머니 등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상측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탄성지게 형성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재의 외주면의 일측에는 상기 식물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됨과 더불어, 몸체부재의 내부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향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향기배출홀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의 바닥판은 상기 받침부재의 측면과 스크류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부재에 심어진 식물의 분갈이 시에 상기 바닥판을 분리시켜 용이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분공급부재는 하면이 개방되고 상면에는 홀이 천공됨과 더불어, 상기 홀에는 상ㆍ하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한 가압부재가 결합된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몸체부재의 상측에 스크류 체결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부 상측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수분공급부재가 수축되면서 상기 식물에 각종 영양분 및 수분 등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받침부재의 내부에 배양토를 채우고 씨앗이나 작은 식물 등을 심은 후 몸체부재의 하부에 결합시키고, 몸체부재의 상부에는 내부에 각종 영양분 및 수분 등이 저장된 수분공급부재를 결합시켜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구성하므로써,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식물의 배양 및 생장에 필요한 각종 영양분 및 환경 등을 항시 제공할 수가 있게 됨과 더불어, 그 내부에서 성장하는 식물의 성장과정을 수시로 관찰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식물 재배기의 수분공급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식물 재배기의 수분공급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식물 재배기의 수분공급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통하여 식물이 재배되는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통하여 식물이 재배되는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부재, 12: 눈금,
14: 안착부, 16: 돌기부,
18: 향기배출홀, 20: 고정부재,
30: 받침부재, 32: 바닥판,
50: 수분공급부재, 52: 돌출부,
54: 분사홀, 60: 케이스,
62: 홀, 64: 가압부재,
80: 식물.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식물 재배기의 수분공급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식물 재배기의 수분공급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식물 재배기는 외부에서 식물의 배양 및 생장 등의 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그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대략 원통형의 관 형상을 갖는 몸체부재(10)가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재(10)의 하부에는 상기 몸체부재(10)의 내부에서 재배하고자 하는 씨앗을 배양함과 더불어, 각종 식물이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하는 배양토나 솜 등이 채워지는 받침부재(30)가 스크류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재(10)의 상부에는 상기 받침부재(30) 및 상기 몸체부재(10)에 구비된 씨앗이나 식물 등에 각종 영양분이나 수분 등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수분공급부재(50)가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부재(10)는 상기 받침부재(30) 및 수분공급부재(5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필기구 등과 함께 필통에 수납하여 휴대하거나 일반적인 주머니에 넣어 휴대가 가능하도록 대략 두꺼운 필기구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또한 그 상측 외주면에는 상기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주머니 등에 휴대할 시에 임의적인 유동을 방지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단부가 상기 몸체부재(1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하단부는 상기 몸체부재(10)의 외주면을 향해 탄성지게 밀착 형성된 고정부재(20)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몸체부재(10)의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식물 재배기 내에서 성장하는 식물의 성장 속도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대략, 1밀리미터(mm) 정도)으로 눈금(12)이 새겨짐과 더불어, 식물로부터 발생된 향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향기배출홀(18)이 천공되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부재(10)의 하측에 스크류 체결되는 상기 받침부재(30)는 그 내주면의 하단부에 나사산 및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30)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32)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 및 나사홈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나사산 및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32)은 상기 받침부재(30)로부터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분공급부재(50)는 상기 몸체부재(10)의 상측 내주면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분공급부재(50)가 결합되는 상기 몸체부재(10)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부(16)가 형성되어 상기 수분공급부재(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16)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재(10)의 내부에 통풍작용이 행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수분공급부재(50)의 형상은 그 외주면에 다수개의 주름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자바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름진 곳의 하부는 상기 몸체부재(10)의 내주면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재(10) 내주면의 크기와 유사한 크기의 외주면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분공급부재(50)의 하면 중앙부분에는 돌출부(52)가 형성된 후, 그 단부에는 분사홀(54)이 천공되어 상기 수분공급부재(50)의 주름진 부분을 팽창시킴에 따라 상기 분사홀(54)을 통하여 상기 수분공급부재(50)의 내부에 각종 영양분이나수분 등을 저장시킬 수가 있음과 더불어, 상기 수분공급부재(50)를 상기 몸체부재(10)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측에서 가압하여 수축시키므로써, 그 내부에 저장된 각종 영양분이나 수분 등을 상기 분사홀(54)을 통하여 상기 몸체부재(10) 내부에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식물 재배기의 수분공급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분공급부재(50)를 소정 형상의 케이스(60) 내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60)를 상기 몸체부재(10)의 상측에 스크류 결합시키므로써, 상기 수분공급부재(50)가 보다 견고하게 상기 몸체부재(10)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분공급부재(50)를 통하여 상기 식물 재배기 내부에 각종 영양분 및 수분 등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케이스(60)의 형상은 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는 소정 크기의 홀(62)이 천공되며, 상기 홀에는 가압부재(64)가 상ㆍ하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가압부재(64)의 내부에는 상기 수분공급부재(50)의 상부가 끼워진 후 단속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64)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몸체부재(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안착부(14) 상측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된 상기 수분공급부재(50)가 수축되면서 그 내부에 저장된 각종 영양분이나 수분 등을 상기 휴대용 식물 재배기 내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통하여 식물이 재배되는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먼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이용하여 식물(80)을 배양하거나 생장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받침부재(30)의 내부에 식물의 씨앗 및 상기 씨앗의 싹을 틔우기 위하여 수분이 함유된 솜 등을 수납하거나, 상기 받침부재(30)의 내부에 배양토 및 상기 배양토에 작은 식물 등을 심은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재(30) 상부 및 상기 몸체부재(10)의 하부에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나사산 및 나사홈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재(10)의 하측에 상기 받침부재(30)를 스크류 결합시킨다.
그리고, 자바라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수분공급부재(50)를 수축시킨 후, 그 하부의 돌출부(52) 및 분사홀(54)을 통하여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각종 영양분이나 수분 등이 내부로 투입되도록 상기 수분공급부재(50)를 다시 팽창시켜 수분공급부재(50)의 내부에 각종 영양분 및 수분 등이 저장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수분공급부재(50)가 상기 몸체부재(10)의 안착부(14) 상부에 위치된 상태가 되도록 그 상부로부터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시키므로써, 내부에 배양하고자 하는 씨앗이나 작은 식물(80) 등이 들어 있는 휴대용 식물 재배기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휴대용 식물 재배기는 상기 몸체부재(10)의 상측 외주면에 밀착 형성된 고정부재(20)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주머니의 내부에 세워놓은 상태로 고정시키거나 필통이나 가방 등에 수납하므로써 간편하게 휴대할 수가 있게 되며, 상기 휴대용 식물 재배기는 항상 휴대가 가능하므로 그 내부에서 배양되거나 생장되는 씨앗 및 식물(80) 등에 항상 적적한 양의 빛과 통풍작용 등을 제공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수분공급부재(50)의 상부를 가압하여 수축시키면서 그 내부에 저장된 각종 영양분 및 수분 등이 그 내부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통하여 재배되는 식물(80)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면서 배양 및 생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재(10)는 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내부에서 재배되는 씨앗이나 식물(80)의 배양 및 생장과정을 수시로 관찰할 수가 있음과 더불어, 그 일측 외주면에는 눈금(1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눈금(12)을 통하여 상기 식물(80)의 성장속도를 매우 편리하게 인지할 수가 있게 되고, 향기배출홀(18)을 통하여는 상기 식물(80)로부터 발생되는 향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통하여 각종 씨앗이나 식물 등을 재배할 시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몸체부재(10)의 하부에 받침부재(30)를 결합하여 상기 휴대용 식물 재배기 내부에 씨앗이나 식물(80) 등이 구비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수분공급부재(50)의 내부에 각종 영양분 및 수분 등을 저장하고, 상기 수분공급부재(50)를 케이스(60)의 내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60)를 상기 몸체부재(10)의 상부에 스크류 결합시키므로써, 상기 몸체부재(10)의 상부에 보다 견고한 상태로 상기 수분공급부재(5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분공급부재(50)가 수납된 케이스(60)를 상기 몸체부재(10)의 상부에 결합하여 이루어진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식물 재배기의 내부에 각종 영양분 및 수분 등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스(60)의 상부에 형성된 가압부재(64)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가압부재(64)와 연동하는 상기 수분공급부재(50)의 주름진 부분이 수축되면서 그 내부에 저장된 각종 영양제나 수분 등을 그 하단부에 형성된 분사홀(54)을 통하여 상기 휴대용 식물재배기의 내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통하여 재배되는 각종 식물(80)을 소정 크기만큼 성장 시킨 후, 다른 곳에 옮겨 심는 분갈이 작업을 행할 시에는 상기 받침부재(30)의 하부에 스크류 결합된 바닥판(32)을 분리시키므로써, 용이하게 분갈이 작업을 행할 수가 있게 됨과 더불어, 상기 받침부재(30)의 내부에 솜이나 배양토 등을 채우고 다양한 종류의 씨앗이나 식물(80) 등을 투입시킨 후, 상기 받침부재(30)만을 별도로 판매 및 교환하게 되면, 상기 휴대용 식물 재배기의 몸체부재(10) 및 수분공급부재(50) 등은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반복적으로 배양 및 생장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휴대용 식물 재배기의 상부 소정 위치에 다양한 형상의 고리를 결합시키므로써, 상기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열쇠 고리나 핸드폰용 목걸이와 같은 악세서리로 활용할 수도 있는 것이며, 상기 휴대용 식물 재배기의 밑부분을 확장시켜 바닥면에 용이하게 세울 수 있도록 하므로써, 상기 휴대용 식물 재배기가 장식의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식물 재배기는 다양한 용도로 변형하여 활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그 내부에 각종 씨앗이나 식물 등이 구비된 휴대용 식물 재배기는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므로, 항상 그 내부에 구비된 씨앗이나 식물 등에 배양 및 생장에 필요한 최적을 환경을 제공하면서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휴대용 식물 재배기는 그 몸체부분이 투명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 내부에서 생장하는 식물의 재배과정 및 성장속도 등을 수시로 관찰할 수가 있고, 이에 따라 어린이 및 청소년의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어린이 및 청소년 등의 정서함양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휴대용 식물 재배기의 내부에서 재배되는 각종 식물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자란 후에는 그 바닥판만을 분리하여 매우 간편하게 분갈이 작업을 행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더불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식물 재배기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씨앗이나 식물이 들어 있는 받침부재만을 별도로 판매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소망하는 종류의 씨앗이나 식물 등이 구비된 받침부재만을 별도로 구입하여 몸체부재에 결합시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여 유용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반복적으로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으로도 매우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식물을 배양 및 생장시키기 위한 식물 재배기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투명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서 식물이 생장하면서 재배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부재(10)와,
    상기 몸체부재(10)의 하부에 결합되어 그 내부에는 식물을 배양 및 생장시키기 위한 배양토 등이 채워지는 받침부재(30)와,
    상기 몸체부재(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하부에는 돌출부(52)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52)의 하단에는 분사홀(54)이 천공되어 선택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자바라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공간부 내부에 각종 영양분 및 수분 등을 저장시키면서 상기 식물에 영양분 및 수분 등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수분공급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식물 재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10)에는 상기 휴대용 식물 재배기를 주머니 등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상측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탄성지게 형성되는 고정부재(2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재(10)의 외주면의 일측에는 상기 식물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눈금(12)이 표시됨과 더불어, 몸체부재(10)의 내부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향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향기배출홀(18)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식물 재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30)의 바닥판(32)은 상기 받침부재(30)의 측면과 스크류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부재(30)에 심어진 식물의 분갈이 시에 상기 바닥판(32)을 분리시켜 용이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식물 재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재(50)는 하면이 개방되고 상면에는 홀(62)이 천공됨과 더불어, 상기 홀(62)에는 상ㆍ하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한 가압부재(64)가 결합된 케이스(6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60)가 상기 몸체부재(10)의 상측에 스크류 체결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재(10)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부(14) 상측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64)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수분공급부재(50)가 수축되면서 상기 식물에 각종 영양분 및 수분 등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식물 재배기.
KR2020010028373U 2001-09-14 2001-09-14 휴대용 식물 재배기 KR2002574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373U KR200257455Y1 (ko) 2001-09-14 2001-09-14 휴대용 식물 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373U KR200257455Y1 (ko) 2001-09-14 2001-09-14 휴대용 식물 재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768A Division KR20030023988A (ko) 2001-09-14 2001-09-14 휴대용 식물 재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455Y1 true KR200257455Y1 (ko) 2001-12-22

Family

ID=7310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373U KR200257455Y1 (ko) 2001-09-14 2001-09-14 휴대용 식물 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4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492A1 (ko) * 2018-11-30 2020-06-04 이대헌 거치용 식물 재배 장치
KR20200111148A (ko) * 2018-11-30 2020-09-28 이대헌 거치용 식물 재배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492A1 (ko) * 2018-11-30 2020-06-04 이대헌 거치용 식물 재배 장치
KR20200065942A (ko) * 2018-11-30 2020-06-09 이대헌 거치용 식물 재배 장치
KR20200111148A (ko) * 2018-11-30 2020-09-28 이대헌 거치용 식물 재배 장치
KR102210110B1 (ko) * 2018-11-30 2021-02-01 이대헌 거치용 식물 재배 장치
KR102360500B1 (ko) * 2018-11-30 2022-02-08 이대헌 거치용 식물 재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2717B1 (en) Bottom watering-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KR200257455Y1 (ko) 휴대용 식물 재배기
KR20030023988A (ko) 휴대용 식물 재배기
JPH01231826A (ja) 水耕栽培方法及び装置
KR20120079868A (ko) 간편한 식물 재배기
JP3796578B2 (ja) 植物栽培容器、植物栽培方法
CN2323574Y (zh) 一种可观赏植物生长全过程的花盆
KR200274630Y1 (ko) 휴대용 식물 재배기
US20060150498A1 (en) Airtight container for culturing flowers
KR200288931Y1 (ko) 휴대용 선인장 재배기
JP2002058348A (ja) 植物栽培具
KR200395445Y1 (ko) 어항용 받침분이 구비된 농작물재배화분
KR200493686Y1 (ko) 화분 키트
JP2005218422A (ja) 人形型発芽栽培器
CN210298711U (zh) 一种水培与土培相结合的蔬菜种植袋
CN209359093U (zh) 可放在桌面上使用的观赏植物裁培筒
JP2000262151A (ja) 植木鉢・プランター
KR20170004111U (ko) 화분형 씨앗 식재 도구
KR200174547Y1 (ko) 수경작물에 의해 기호, 문자, 도형을 나타낼 수 있게 한개량수반
KR100314887B1 (ko) 수경작물에 의해 기호, 문자, 도형을 나타낼 수 있게 한 개량수반
JP3049362U (ja) 植物栽培用床土セット
KR20080002196U (ko)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
WO2007026417A1 (ja) 花卉植栽構造
KR200344753Y1 (ko) 육묘용 트레이
KR19980017484U (ko) 관상식물의 수경재배용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