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442Y1 - 도로표지병의 반사판 - Google Patents

도로표지병의 반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442Y1
KR200257442Y1 KR2020010028155U KR20010028155U KR200257442Y1 KR 200257442 Y1 KR200257442 Y1 KR 200257442Y1 KR 2020010028155 U KR2020010028155 U KR 2020010028155U KR 20010028155 U KR20010028155 U KR 20010028155U KR 200257442 Y1 KR200257442 Y1 KR 200257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road
reflecting
road sign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배
Original Assignee
김익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익배 filed Critical 김익배
Priority to KR2020010028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4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44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표지를 운전자에게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자 도로의 중앙선이나 가장자리 차선에 설치되는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운전자에게 식별력을 주기 위해 구성되는 반사판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반사판에 가해지는 외압이나 충격에 의해 반사판이 균열되거나 파손으로부터 방지하고자 반사판으로 구성되는 반사부와 고정부 사이의 공간에 소정의 에폭시를 충진하여 반사판에 가해지는 외압이나 충격이 이완되도록 함으로써 반사판의 균열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표지병의 반사판{The reflected plate of a road-beacon bottle}
본 고안은 도로표지병의 반사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도로의 표지를 운전자에게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반사의 능력을 갖도록 구성되어지는 반사판을 외압에 의해 발생되는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오랫동안 원상태 그대로 보존하고자 하는 도로표지병의 반사판에 관한 것이다.
도로표지병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가장자리 차선에 고정시켜 운전자들이 도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표지병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벽에 요입홈을 구성하여 반사판을 구성하고, 상기 몸체의 저면에는 몸체와 일체로 고정구를 구성하고 있으며, 도로의 중앙선이나 가장자리 차선이 있는 위치의 도로에 도로표지병의 고정구를 매설하여 도로표지병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로표지병은 몸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몸체의 측벽에 있는 반사판에서 차량의 전조등에 의해 불빛이 반사되어 운전자들에게 도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로표지병의 반사판은 광택이 있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몸체에 형성된 요입홈에 결합하게 되는 바, 상기 몸체의 요입홈에 요입되는 반사판과 요입홈의 바닥과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반사판의 표면은 약간의 외압에 의한 충격에도 균열이 발생되어 반사판의 반사능력을 상실하게 되고, 때에 따라서는 반사판이 파손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여 반사판을 새로이 교체하거나 심지어는 도로표지병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측면이 있어 실용적이지 못한 결점이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로표지병에 적용되는 반사판에서 반사부와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에폭시를 충전하여 반사부에 가해지는 외압이나 충격에도 반사판이 균열되지 않음은 물론 파손되지 않게 하여 오랫동안 원상태 그대로 유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로의 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벽에 형성된 요입부에 요입되어 운전자로부터 반사력을 주어 식별력을 갖도록 하는 반사판과; 상기 몸체를 지지하고, 도로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몸체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구로; 구성되는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반사부와 고정부로 구성되게 하며, 상기 반사부의 이면에는 알루미늄진공증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는 소정의 배출공과 투입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에 반사부를 압착 고정한 후 고정부와 반사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투입공으로 에폭시를 충전하여 이를 응고시켜서 구성되는 반사판을 구현하여 도로표지병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기술이 적용된 도로표지병의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도로표지병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반사판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반사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도로표지병 10. 몸체
10a. 요입홈 20. 반사판
21. 고정부 21a. 배출공
21b. 투입공 21c. 경계턱
22. 반사부 22a. 돌출환테
23. 알루미늄진공증착층 24. 에폭시
30. 고정구
이와 같이 구성된 반사판에 충격이나 외압에도 반사판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와 반사부 사이의 공간에 에폭시가 충전되어 있어 충격이나 외압을 완화해 줄 뿐만 아니라 반사부의 충격을 바로 뒤에서 받쳐주게 되는 구성으로 반사판이 균열되거나파손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의해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하는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도로표지병에서 반사판을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반사판을 세부적으로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반사판을 보다 더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를 발췌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표지병(1)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되며 도로에 설치시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측벽 양측 또는 사방면에 형성되는 요입홈(10a)에 요입되어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20)과, 상기 도로표지병(1)을 도로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구(30)로 구성된다.
이상에서의 구성에서 본 고안은 위의 반사판(20)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반사판(20)은 반사부(22)와 고정부(21)로 구성되며, 상기 반사부(20)는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빛을 반사시키는 부분으로 전면에는 광택이 있고 이면에는 빛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다이어몬드형의 형상을 구성하고 있고, 반사부(22)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부(21)에 접착 결합하기 위해 돌출환테(22a)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사부(22)는 빛의 반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면에 소정의 얇은 층을 갖는 알루미늄진공증착층(23)을 구성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21)는 반사부(22)를 도로표지병(1)의 요입홈(10a)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부(21)의 외각에 반사부(22)를 끼울 수 있도록 소정의 경계턱(21c)을 형성하고, 한편 고정부(21)의 소정의 위치에 배출공(21a)과 투입공(22b)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부(21)와 반사부(22)를 서로 결합하는 바, 상기 반사부(22)의 돌출환테(22a)가 고정부(21)의 경계턱(21c)을 이루고 있는 부분에 끼워지도록 결합하고, 결합되는 부분에는 초음파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하는데, 고정부(21)와 반사부(2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접합하는데, 접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보다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법이 접합의 효과가 탁월하여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소정의 충전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21)의 투입공(21b)으로 에폭시(24)를 충전하게 되면, 공간 내부의 공기는 배출공(21a)으로 배출되면서 고정부(21)와 반사부(22) 사이의 공간에 에폭시(24)가 밀도 있게 충진되고, 이를 건조시키면 에폭시(24)가 서서히 응고하게 됨에 따라 본 고안의 반사판(20)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사판(20)을 통상과 같은 방법으로 도로표지병(1)의 요입홈(10a)에 반사판을 접합하게 되면, 통상과 같이 반사판(20)을 가진 도로표지병(1)을 완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반사판은 반사부에 소정의 외압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내면에 에폭시가 충전되어 있어 외압이나 충격이 이완되어 균열이나 파손을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도로표지병에 적용되는 반사판에서 반사부와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에폭시를 충전함으로써 반사판에 가해지는 외압이나 충격에도 균열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반사판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반사판의 오랫동안 사용과 함께 도로표지병을 오랫동안 원상태 그대로 보존하면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특징이 있다.

Claims (1)

  1. 도로의 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벽에 형성된 요입부에 요입되어 운전자로부터 반사력을 주어 식별력을 갖도록 하는 반사판과; 상기 몸체를 지지하고, 도로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몸체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구로; 구성되는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반사부와 고정부로 구성하게 되며, 상기 반사부는 외각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돌출환테와 이면에는 알루미늄진공증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는 외각 가장자리에 경계턱을 형성하는 동시에 고정부의 범위내에서 소정의 배출공과 투입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에 반사부를 압착 고정하고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투입공을 통하여 에폭시를 충전하고 이를 응고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의 반사판.
KR2020010028155U 2001-09-13 2001-09-13 도로표지병의 반사판 KR200257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155U KR200257442Y1 (ko) 2001-09-13 2001-09-13 도로표지병의 반사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155U KR200257442Y1 (ko) 2001-09-13 2001-09-13 도로표지병의 반사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442Y1 true KR200257442Y1 (ko) 2001-12-24

Family

ID=73108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155U KR200257442Y1 (ko) 2001-09-13 2001-09-13 도로표지병의 반사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4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682B1 (ko) * 2012-05-02 2013-11-01 신범휴 반사수단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682B1 (ko) * 2012-05-02 2013-11-01 신범휴 반사수단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2979A (en) Pavement marker
JP2695924B2 (ja) 逆反射性の舗装道路マーカー
US4340319A (en) Pavement marker
US4428320A (en) Reflective paving marker
AU639369B2 (en) A pavement marker
KR200257442Y1 (ko) 도로표지병의 반사판
US6572305B2 (en) Reflective pavement marker
CN1769596A (zh) 单体成型的反射式公路标识器
CA1083111A (en) Road marker
KR200304306Y1 (ko) 도로표지병
US6851888B2 (en) Pavement marker
KR200265847Y1 (ko) 도로 반사경
KR20130122992A (ko) 반사지의 훼손방지를 위한 델리네이터 제조방법
JP3122842B2 (ja) 光反射体及び標識構造
KR200434113Y1 (ko) 차선규제용 탄력봉
KR20050006029A (ko) 표지병
KR200348797Y1 (ko) 주차 블록
KR200245981Y1 (ko) 도로 표지병용 반사렌즈
KR100535996B1 (ko) 도로 표시병
KR100845116B1 (ko) 공기층이 형성된 반사체
JP5736132B2 (ja) 道路鋲
KR200271330Y1 (ko) 표지병몸체가 삽입된 도로안전표지병
KR20050006031A (ko) 표지병
KR200339921Y1 (ko) 도로표지병의 반사체 결합구조
KR200280547Y1 (ko) 반사지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