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208Y1 - 조립식 캐비넷 - Google Patents

조립식 캐비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208Y1
KR200257208Y1 KR2020010027008U KR20010027008U KR200257208Y1 KR 200257208 Y1 KR200257208 Y1 KR 200257208Y1 KR 2020010027008 U KR2020010027008 U KR 2020010027008U KR 20010027008 U KR20010027008 U KR 20010027008U KR 200257208 Y1 KR200257208 Y1 KR 200257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lower support
support plate
assembly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부
Original Assignee
박승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부 filed Critical 박승부
Priority to KR2020010027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208Y1/ko

Link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캐비넷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면 각 구석에 하부 지지부재(12)가 설치되는 하부 지지판(10);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양단에 삽입공(22)이 각각 형성되고, 각 일단의 삽입공(22)에 상기 각 하부 지지부재(12)가 끼움 결합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을 제외한 마주보는 모든 면에는 끼움홈(24)이 각각 길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조립부재(20); 각각 서로 마주보는 상기 각 끼움홈(24)에 상부로부터 양단이 지지되도록 삽입 설치되는 각각의 격판(30); 상기 각 조립부재(20)의 삽입공(22)에 끼움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재(42)가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판(40); 및 상기 상,하부 지지판(40,10)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5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각 부품을 용접이나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한 끼움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음으로서 조립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운반 및 포장, 적재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다양한 단면을 갖는 조립부재(20)에 의해 캐비넷의 구조 및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조립식 캐비넷의 상면에 보조 캐비넷(60)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보조 캐비넷(60)를 회전시켜 모니터, 텔레비젼 등을 다양한 각도에서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캐비넷{prefabricated a cabinet}
본 고안은 조립식 캐비넷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부 지지판은 물론 각 격판을 용접이나 나사 등으로 결합시키지 않고 단순 끼움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캐비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비넷은 각종 사물을 보관하도록 된 것으로, 철재로 된 각 부품을 서로 나사로 결합시키거나 용접을 하여 결합시키고 있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1)과 기둥(2)이 용접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있었기 때문에, 상판이나 하판 또는 각 격판(1)과 기둥(2)을 서로 용접을 하는 작업이 불편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각각의 부품을 볼트와 너트 또는 나사 등으로 결합시킬 경우에도 많은인력을 필요로 하였고, 조립작업이 불편하였음은 물론, 조립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캐비넷은 대부분 용접에 의해 조립되도록 철재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동을 하거나 또는 도어, 서랍 등을 여닫는 작동을 할 경우에 많은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의한 캐비넷은 상호 용접이나 나사에 의해 조립된 상태였기 때문에 운반시 완성된 캐비넷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운반되었고, 이로 인하여 부피가 커져 대량운반이 곤란하였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큰 관계로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캐비넷을 구성하는 각 부품을 용접이나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한 끼움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형태의 캐비넷을 조립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립식 캐비넷을 다단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캐비넷을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캐비넷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캐비넷을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
도 4a,4b는 본 고안에 의한 캐비넷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 4a는 캐비넷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4b는 조립부재와 상,하부 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5a,5b,5c,5d,5e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조립된 캐비넷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캐비넷에 보조 캐비넷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보조 캐비넷의 회전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보조 캐비넷의 회전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 지지판 12 : 하부 지지부재
20 : 조립부재 22 : 삽입공
24 : 끼움홈 26 : 지지단
30 : 격판 40 : 상부 지지판
42 : 상부 지지부재 44 : 축봉
50 : 도어 60 : 보조 캐비넷
62 : 회전봉 70 : 스러스트 베어링
80 : 이탈방지부재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 각 구석에 하부 지지부재가 수직으로 각각 고정 설치된 하부 지지판;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양단에삽입공이 각각 형성되고, 각 일단의 삽입공에 상기 각 하부 지지부재가 끼움 결합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을 제외한 마주보는 모든 면에는 끼움홈이 각각 길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조립부재; 각각 서로 마주보는 상기 각 끼움홈에 상부로부터 양단이 지지되도록 삽입 설치되는 각각의 격판; 상기 각 조립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삽입공에 끼움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재가 저면 각 구석에 직하방으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 지지판; 및 상기 하부 지지판과 각 격판 및 상부 지지판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일측의 상,하면이 상기 상,하부 지지판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캐비넷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끼움홈은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조립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단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부재는 원형 단면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 지지판의 상면에 보조 캐비넷을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상부 지지판의 중앙에는 축봉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상부 지지판의 상면에는 원형의 띠 구조를 갖는 스러스트 베어링을 설치하며, 상기 보조 캐비넷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축봉이 끼워지는 회전봉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 캐비넷의 저면에는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이 회전중심을 유지하여 회전되도록 스러스트 베어링의 외측을 지지하는 원통형의 이탈방지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각각의 격판이 조립부재의 끼움홈에 끼워져 조립되고 상,하 지지판이 각 조립부재에 끼움 결합됨으로, 각각의 부품이 단순 끼움에 의해결합되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고, 각 부품을 적층하여 운반한 후 설치할 장소에서 조립할 수 있음으로 부피가 작아 운반이 용이하고 물류비가 절감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립부재를 다양한 구조로 형성하게 되면 캐비넷 자체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캐비넷 부품이 끼움에 의해 결합됨으로 각 부품을 철재가 아닌 합성수지재로도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다양한 형태의 캐비넷을 제공할 수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적이 사각박스 형상의 캐비넷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캐비넷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캐비넷을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4a,4b는 본 고안에 의한 캐비넷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 4a는 캐비넷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4b는 조립부재와 상,하부 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캐비넷은 하부 지지부재(12)를 구비한 하부 지지판(10)과, 상기 각 하부 지지부재(12)에 끼움 결합되고 끼움홈(24)을 구비한 조립부재(20)와, 상기 조립부재(20)의 끼움홈(24)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각각의 격판(30)과, 상기 각 조립부재(20)의 상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상부 지지판(40)과, 상기 각 조립부재(20) 사이에 설치되는 도어(50)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부 지지판(1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저면의 각 구석에는 지지다리가 설치되고, 상면 각 구석에는 하부 지지부재(12)가 수직으로 각각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부 지지부재(12)는 원통형 또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의 단면을 갖는 하부 지지부재(12)가 사용된다.
이러한 하부 지지부재(12)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다. 그 길이가 너무 길게 되면 상기 조립부재(20)의 조립이 곤란하고, 너무 짧을 경우에는 조립부재(20)를 지지하는 힘이 저하된다.
상기 조립부재(20)는 도 5a,5b,5c,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사각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필요한 길이만큼을 절단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양단에는 삽입공(22)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부재(42) 또는 하부 지지부재(12)가 끼워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조립부재(20)의 일면에는 한 쌍의 지지단(26)이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각 지지단(26) 사이에 끼움홈(2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조립부재(20)는 상기 끼움홈(24)이 하나만 형성된 것과, 두개 형성된 것으로 구분된다.
즉, 사각으로 단면으로 형성된 몸체의 일면에 상기 각 지지단(26)이 형성되어 하나의 끼움홈(24)이 형성된 조립부재(20)와 상기 각 지지단(26)이 서로 근접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어 두개의 끼움홈(24)이 형성된 조립부재(20)로 구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립부재(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단면구조 및 끼움홈(24)의 구조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지지단(26)이 한 쌍 또는 도 5a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다수개의 끼움홈(24)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각 면에 지지단(26)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사각으로 형성되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단(26) 또는 두 쌍의 지지단(26)이 각 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을 육각형으로 형성하여 각 면에 지지단(26)을 형성할 수도 있는것이다.
또한,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부재(20)는 상기 끼움홈(24)이 삽입공(22)의 중심측으로 함몰되어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립부재(20)는 그 단면구조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끼움홈(24)도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삼각형상, 보다 정확하게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조립부재(20)를 이용하여 캐비넷을 구성하게 되면 조립된 전체 단면이 원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끼움홈(24)이 이루는 각도를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직각을 유지하도록 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립부재(20) 중에서 하나의 끼움홈(24)이 형성된 조립부재(2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0)가 설치되는 캐비넷의 전방부 양측의 하부 지지부재(12)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24)이 각각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하부 지지부재(12)와 결합시키되, 상기 각 조립부재(20)의 삽입공(22)에 상기 하부 지지부재(12)를 삽입시켜 결합시킨다.
한편, 캐비넷의 후방부 양측에 설치된 각 하부 지지부재(12)에는 상기 끼움홈(24)이 서로 90°각도를 유지하여 형성된 조립부재(20)를 결합시킨다. 이때에도 상기 조립부재(20)의 삽입공(22)에 각 하부 지지부재(12)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되, 일측의 끼움홈(24)은 전방부에 설치된 조립부재(20)의 끼움홈(24)과 마주보도록 하고,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24)은 하부 지지판(10)의 후방부 타측에 설치되는 조립부재(20)의 끼움홈(24)과 마주보도록 설치한다.
상기 각각 격판(30)은 각 측면용 격판과 배면용 격판으로 구분되어 캐비넷의 의 측면과 배면을 커버하도록 된 것으로, 각 격판(30)은 도 2 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끼움홈(24)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 격판(30)은 상기 각 끼움홈(24)의 상부로부터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지지판(40)은 캐비넷의 상부를 이루는 것으로, 그 저면 구석에는 상기 각 하부 지지부재(12)와 끼움 결합된 각 조립부재(20)의 상단부측 삽입공(22)에 끼움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재(42)가 직하방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50)는 캐비넷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를 개폐하도록 된 것으로, 각 도어(50)의 일단 상하부가 상기 상,하부 지지판(40,10)의 상,하면에 각각힌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도어(50)는 전방부에 설치된 양측의 조립부재(20)에 힌지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고, 개방된 각 도어(50)를 수납공간의 내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수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판(10)의 전방부에 설치된 하부 지지부재(12)에 끼움홈(24)이 하나만 형성된 조립부재(20)를 끼움홈(2$)이 후방을 향하도록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하부 지지부재(12)가 각 조립부재(20)의 하단부에 위치한 삽입공(22)에 삽입시킨다.
이어서, 상기 하부 지지판(10)의 후방부에 위치한 각 하부 지지부재(12)가 두개의 끼움홈(24)이 형성된 각 조립부재(20)의 삽입공(22)에 삽입되도록 하여 조립부재(20)를 결합시킨다. 이때, 각 끼움홈(24)은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각 서로 마주보는 끼움홈(24)에 각 격판(30)을 끼워서 결합시키되, 측면용 격판(30)은 전방부 측의 조립부재(20)와 후방부 측의 조립부재(20)에 형성된 끼움홈(24)에 양단을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배면용 격판(30)은 후방부 양측에 설치된 조립부재(20)의 각 끼움홈(24)에 양단을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어서, 수직으로 세워지고 각 격판(30)이 결합된 각각의 조립부재(20) 상단부 삽입공(22)에 상부 지지판(40)의 저면 구석에 설치된 상부 지지부재(42)를 삽입시켜 결합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캐비넷의 양측과 배면에 각각 격판(30)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부 지지판(4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50)를 상,하부 지지판(40,10)의 전방부 측에 힌지 결합하여 그 내부 공간을 개폐하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50)를 한 쌍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도어(50)는 손잡이와 연동되는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나의 캐비넷이 각 부품을 끼움방식으로 조립을 하게 됨으로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립부재(20)의 구조를 다양하게 구성하게 됨으로 캐비넷의 형상을 보다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부품자체는 작은 부피를 갖기 때문에 서로 적층시켜 포장 및 운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각각의 격판(30)과 상,하부 지지판(40,10)은 적층시키고, 각 조립부재(20)와 상,하부 지지부재(42,12)는 서로 묶어서 포장하거나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캐비넷의 상면에 보조 캐비넷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각각 단순한 끼움방식으로 조립된 두개의 캐비넷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캐비넷에 보조 캐비넷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보조 캐비넷의 회전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보조 캐비넷의 회전구조를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캐비넷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지지판(10)과 상부 지지판(40) 사이에 각각의 격판(30)이 각 조립부재(20)에 의해 결합되어 설치되어 이루어진 하나의 캐비넷 상면에 보조 캐비넷(60)을 설치하되, 상기 상부 지지판(30)의 상면 중앙에는 축봉(44)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축봉(44)의 주변에는 원형의 띠 형상을 갖는 스러스트 베어링(70)을 설치한다.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70)은 고리 형상으로 연결된 지지체에 레이디얼 볼 베어링을 다수개 설치한 구조로 형성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의 띠 형상을 갖는 베어링이면 족하다.
한편, 상기 보조 캐비넷(60)의 하부 지지판 저면 중앙에는 상기 축봉(44)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중공형 구조의 회전봉(62)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회전봉(62)의 주변에는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70)이 회전중심을 유지하도록 원형의 띠 형상을 갖는 이탈방지부재(80)를 고정 설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지지판(40)의 상면에 스러스트 베어링(70)을 설치하되 그 중심에 상기 축봉(44)이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보조 캐비넷(60)의 저면에 돌출 설치된 회전봉(62)에 상기 축봉(44)이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이탈방지부재(80)의 내측에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70)이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지지판(40)의 상면에 보조 캐비넷(60)이 결합되면, 상기 보조 캐비넷(60)은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70)에 그 무게가 지지되면서 회전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봉(62)과 축봉(44)의 결합에 의해 회전중심을 유지하면서 좌,우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70)은 상기 이탈방지부재(8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보조 캐비넷(60)은 그 구조가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립식 캐비넷으로 구성될 수 있고, 조립식이 아닌 일반적인 캐비넷이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상기 조립식 캐비넷의 상면에 보조 캐비넷(60)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게 됨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캐비넷에는 비디오 또는 디브이디와 같은 재생장치를 설치하고, 보조 캐비넷(60)의 내부에는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비를 설치하여, 각 장비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모니터가 설치된 보조 캐비넷(60)을 회전시켜 다양한 각도로 시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캐비넷은 상,하부 지지판과 각각의 격판이 끼움홈을 구비한 다수개의 조립부재에 의해 끼움형식으로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캐비넷을 구성하는 각 부품을 용접이나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한 끼움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음으로서 조립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반 및 포장, 적재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단면을 갖는 조립부재에 의해 캐비넷의 구조 및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며, 또한 조립식 캐비넷의 상면에 보조 캐비넷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보조 캐비넷에 모니터, 텔레비젼 등을 설치하게 되면 다양한 각도에서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6)

  1. 상면 각 구석에 하부 지지부재(12)가 수직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하부 지지판(10);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양단에 삽입공(22)이 각각 형성되고, 각 일단의 삽입공(22)에 상기 각 하부 지지부재(12)가 끼움 결합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을 제외한 마주보는 모든 면에는 끼움홈(24)이 각각 길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조립부재(20);
    각각 서로 마주보는 상기 각 끼움홈(24)에 상부로부터 양단이 지지되도록 삽입 설치되는 각각의 격판(30);
    상기 각 조립부재(20)의 타단에 형성된 삽입공(22)에 끼움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재(42)가 저면 각 구석에 직하방으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 지지판(40); 및
    상기 하부 지지판(10)과 각 격판(30) 및 상부 지지판(40)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일측의 상,하면이 상기 상,하부 지지판(40,10)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캐비넷.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24)은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조립부재(20)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단(26)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캐비넷.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24)은 상기 삽입공(22)의 중심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캐비넷.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20)는 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캐비넷.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20)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캐비넷.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판(40)의 상면에 보조 캐비넷(60)을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상부 지지판(40)의 중앙에는 축봉(44)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상부 지지판(40)의 상면에는 원형의 띠 구조를 갖는 스러스트 베어링(70)을 설치하며,
    상기 보조 캐비넷(60)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축봉(44)이 끼워지는 회전봉(62)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 캐비넷(60)의 저면에는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70)이 회전중심을 유지하여 회전되도록 스러스트 베어링(70)의 외측을 지지하는 원통형의 이탈방지부재(8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캐비넷.
KR2020010027008U 2001-09-04 2001-09-04 조립식 캐비넷 KR200257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008U KR200257208Y1 (ko) 2001-09-04 2001-09-04 조립식 캐비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008U KR200257208Y1 (ko) 2001-09-04 2001-09-04 조립식 캐비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208Y1 true KR200257208Y1 (ko) 2001-12-24

Family

ID=73108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008U KR200257208Y1 (ko) 2001-09-04 2001-09-04 조립식 캐비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2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725Y1 (ko) 2016-09-05 2017-10-18 김충연 다용도 모니터 거치수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725Y1 (ko) 2016-09-05 2017-10-18 김충연 다용도 모니터 거치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9205B1 (fr) Liaison d&#39;angle pour armoire, et armoire électrique comportant de telles liaisons
US7765942B2 (en) Interlocking component assembly for an expandable rack assembly
US7543540B2 (en) Assembly structure
EP2590405A1 (en) Flat panel display having storable pedestal
JP2007507862A (ja) 電気キャビネット/パネルを製造するための金属構造の改良
US20080164787A1 (en) Joint device for assembled furniture and foldable cabinet using the joint device
US20120024811A1 (en) Rack frame assembly
JP4192188B2 (ja) 蝶番
KR200257208Y1 (ko) 조립식 캐비넷
US20040005189A1 (en) Fastening device
KR101416970B1 (ko) 개별회전이 가능한 적층식 수납박스
KR101306720B1 (ko) 조립식 캐비넷
JP2008020007A (ja) ジョイント部材、組立構造体
US9726273B2 (en) Connecting device of pellet chamber and gearbox
US20030152421A1 (en) Table corner strengthener
KR200382566Y1 (ko) 이동카트의 수직파이프 구조
KR101891286B1 (ko) 가구 조립구조
JP2000283126A (ja) 収納家具の部材結合構造
US20050217543A1 (en) Tool cabinet fixing and supporting structure
KR200291212Y1 (ko) 조립식 가구의 체결장치
KR100484390B1 (ko) 조립식 가구의 체결장치
US6591572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floors and walls of shelves or box cabinets
KR102565902B1 (ko) 창고형 멀티 힌지마운트 브래킷
KR102610154B1 (ko) 수납 가구
JP4422015B2 (ja) 水槽等の設置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