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868Y1 -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868Y1
KR200256868Y1 KR2020010028372U KR20010028372U KR200256868Y1 KR 200256868 Y1 KR200256868 Y1 KR 200256868Y1 KR 2020010028372 U KR2020010028372 U KR 2020010028372U KR 20010028372 U KR20010028372 U KR 20010028372U KR 200256868 Y1 KR200256868 Y1 KR 200256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ers
horizontal
sides
sleeper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병남
Original Assignee
(주)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28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8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868Y1/ko

Links

Landscapes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는, 장치의 중심부에 위치되며, 몸체의 양측 내부에는 암나사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표면에는 침목의 전후좌우 수평 상태의 측정을 위한 적어도 한 개의 기포형 수평측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조정 손잡이부재; 조정 손잡이부재의 몸체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조정 손잡이부재의 몸체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에의 나사결합을 위한 수나사가 그 일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간격 조정봉부재; 및 간격 조정봉부재의 타단에 각각 결합되며, 철도 침목의 상면부 및 측면부에 각각 접촉이 가능하도록 대응하는 상면부와 측면부를 갖는 브라켓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 메커니즘으로 철도 침목 간의 간격 검사는 물론 침목의 전후좌우 수평 상태의 검사도 가능하므로, 철도 침목의 신설시나 유지보수 혹은 침목교환시 철도 침목들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한편 부설되는 침목의 높낮이(수평)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Apparatus for testing distance and level of railroad ties}
본 고안은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도 침목의 신설시나 유지보수 혹은 침목교환시 철도 침목들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높낮이(수평)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가 다른 교통 수단과 특징적으로 다른 점은 일정한 선로 위를 차량이 주행하는 점이다. 철도 선로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고한 노반(101) 위에 도상(102)을 정해진 두께로 포설하고, 그 위에 침목(103)을 일정 간격으로 부설하여 침목(103) 위에 두 줄의 레일(104)을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체결한 것으로, 시공기면 이하의 노반과 함께 열차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상(102) 윗부분을 총칭하여 궤도라고 한다.
이와 같은 궤도는 크게 레일(104), 체결구(미도시), 침목(103) 및 도상(102)으로 구성되는데, 레일(104)은 차량을 직접 지지하는 한편 차량의 주행을 유도한다. 침목(103)은 레일(104)로부터 받은 하중을 도상(102)에 전달하고, 레일(104)의 위치를 유지한다. 도상(102)은 침목(103)으로부터 받은 하중을 분포시켜 노반(101)에 전달하고, 침목 (103)의 위치를 유지하며, 탄성에 의한 충격력을 완화시킨다.
침목(103)은 레일 길이 10m 당 보통 15본∼17본을 배치하는 바, 침목과 침목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고, 그 높낮이(수평)도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만일, 침목 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거나 높낮이가 틀리면, 열차의 하중이 균등하게 분포되지 않아 레일(104)이 휘거나 침목(103)에 균열이 발생하고, 레일 (104)이나 차륜의 마모가 일정하지 않게 되어 소음과 진동이 심해지게 된다. 또한,그로 인해 레일(104)이나 차륜의 보수비가 증가하고 열차의 노후화가 가속화되는 문제가 있고, 열차 주행시 승차감이 나빠진다.
본 고안은 상기의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철도 침목의 신설시나 유지보수 혹은 침목교환시 철도 침목들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높낮이(수평)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철도 선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노반 102...도상
103,210...침목 104...레일
201...조정 손잡이부재 202...간격 조정봉부재
203...브라켓부재 201d...수평측정부
201h...간격 설정용 관통공 201p...핀부재
201s...암나사 202s...수나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는,
장치의 중심부에 위치되며, 몸체의 양측 내부에는 암나사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표면에는 침목의 전후좌우 수평 상태의 측정을 위한 적어도 한 개의 기포형 수평측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조정 손잡이부재;
상기 조정 손잡이부재의 몸체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조정 손잡이부재의 몸체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에의 나사결합을 위한 수나사가 그 일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간격 조정봉부재; 및
상기 간격 조정봉부재의 타단에 각각 결합되며, 철도 침목의 상면부 및 측면부에 각각 접촉이 가능하도록 대응하는 상면부와 측면부를 갖는 브라켓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정 손잡이부재에는 상기 간격 조정봉부재를 조정 손잡이부재의 양측에 결합할 시, 설정된 기준 침목 간격에 상응하여 간격 조정봉부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간격 설정용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간격 조정봉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핀부재가 더 마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전체적인 외관사시도이고, 도 3은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는 크게 조정 손잡이부재(201), 간격 조정봉부재(202) 및 브라켓부재(203)로 구성된다.
상기 조정 손잡이부재(201)는 장치의 중심부에 위치되며, 몸체의 양측 내부에는 암나사(201s)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표면(상면부 및 하면부)에는 침목의 전후좌우 수평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2개의 기포형 수평측정부(201d)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간격 조정봉부재(202)는 상기 조정 손잡이부재(20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조정 손잡이부재(201)의 양측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201s)에의 나사결합을 위한 수나사(202s)가 그 일단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정 손잡이부재(201)의 암나사(201s)와 여기에 나사결합되는 간격 조정봉부재(202)의 수나사(202s)를 형성함에 있어서, 양측 암나사(201s)의 나선형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암나사(201s)를 형성하고, 여기에 결합되는 간격 조정봉부재(202)의 수나사(202s)의 나선형 회전방향은 각 암나사(201s)의 회전방향에 상응하도록 수나사(202s)를 형성한다. 이는 조정 손잡이부재(201)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양측의 간격 조정봉부재(202)가 모두 조정 손잡이부재(201)의 몸체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몸체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규정된 침목 간의 간격에 대응하여 양단의 브라켓부재(203)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브라켓부재(203)는 간격 조정봉부재(202)의 타단에 각각 결합되며, 철도 침목(210)의 상면부 및 측면부에 각각 접촉이 가능하도록 대응하는 상면부와 측면부를 갖는 것으로서, 대략 'ㄱ'자형의 일체형 금속편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정 손잡이부재(201)에는 상기 간격 조정봉부재 (202)를 조정 손잡이부재(201)의 몸체 양측에 결합할 시, 설정된 기준 침목 간격에 상응하여 간격 조정봉부재(202)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간격 설정용 관통공(201h)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201h)에 삽입되어 간격 조정봉부재 (202)를 고정시키기 위한 핀부재(201p)가 더 마련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는 철도 침목의 신설시나 유지보수 혹은 침목교환시 사용되는데, 레일 길이 10m 당 보통 15본∼17본의 침목을 배치하게 되므로, 예를 들어 17본의 침목을 배치하는 경우 침목과 침목 간의 간격(D:일측 침목의 중심선과 타측 침목의 중심선 사이의 거리)은 D=10m/17= 0.588m=588mm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에 이 간격(D)에 의해 설치된 침목(210)과 침목(210) 사이에 본 고안의 검사장치를 안착시켜 양측 브라켓부재(203)가 각 침목(2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조정 손잡이부재 (201)를 돌려 간격 조정봉부재(202)의 길이를 조정한다. 그런 후, 각 핀부재(201p)를 조여 양측의 간격 조정봉부재(202)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렇게 하여 양측의 간격 조정봉부재(202)가 세팅된 상태의 본 고안의 검사장치를 이후의 침목을 부설할 때, 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침목과 침목 사이에 걸침식으로 개재시켜 침목의 위치를 조정하게 되면, 매우 용이하게 침목(210)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조정 손잡이부재(201)에 마련되어 있는 기포형 수평측정부 (201d)에 의해 침목(210)의 전후좌우 수평 상태도 함께 측정하여, 침목(210)의 전후좌우 높낮이를 조정함으로써 침목(210)의 수평 상태도 수월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간격 조정봉부재(202)의 길이 조정에 의한 침목 간 간격 조정에 있어서, 침목을 15본, 16본, 17본을 배치하는 각 경우에 따른 침목 간의 간격을 미리 계산에 의해 산정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각 경우에 양측 간격 조정봉부재(202)의 단부가 조정 손잡이부재(201)에 얼마만큼 삽입되는지를 실험이나 계산을 통해 측정하여, 상기 간격 설정용 관통공(201h)을 조정 손잡이부재(201)에 형성할 시, 그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 경우에 간격 조정봉부재(202)의 단부가 위치하게 되는 지점의 대응되는 각 위치에 복수의 관통공(201h)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관통공(201h) 중 임의의 관통공(201h)에 핀부재(201p)를 충분한 깊이로 삽입하고, 양측 간격 조정봉부재(202)의 단부가 그 핀부재(201p)에 닿도록 간격 조정봉부재(202)를각각 조정함으로써, 15본∼17본의 침목 배치의 각 경우에 있어서의 침목 간의 간격을 수월한 방법으로 일정하게 유지 및 변경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는 간단한 조작 메커니즘으로 철도 침목 간의 간격 검사는 물론 침목의 전후좌우 수평 상태의 검사도 가능하므로, 철도 침목의 신설시나 유지보수 혹은 침목교환시 철도 침목들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한편 부설되는 침목의 높낮이(수평)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장치의 중심부에 위치되며, 몸체의 양측 내부에는 암나사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표면에는 침목의 전후좌우 수평 상태의 측정을 위한 적어도 한 개의 기포형 수평측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조정 손잡이부재;
    상기 조정 손잡이부재의 몸체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조정 손잡이부재의 몸체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에의 나사결합을 위한 수나사가 그 일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간격 조정봉부재; 및
    상기 간격 조정봉부재의 타단에 각각 결합되며, 철도 침목의 상면부 및 측면부에 각각 접촉이 가능하도록 대응하는 상면부와 측면부를 갖는 브라켓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손잡이부재에는 상기 간격 조정봉부재를 조정 손잡이부재의 몸체 양측에 결합할 시, 설정된 기준 침목 간격에 상응하여 간격 조정봉부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간격 설정용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에 삽입되어 간격 조정봉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핀부재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손잡이부재의 몸체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는 양측 암나사의 나선형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암나사들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간격 조정봉부재의 수나사들은 상기 양측의 각 암나사의 회전방향에 각각상응하는 회전방향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
KR2020010028372U 2001-09-14 2001-09-14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 KR200256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372U KR200256868Y1 (ko) 2001-09-14 2001-09-14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372U KR200256868Y1 (ko) 2001-09-14 2001-09-14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792A Division KR100412163B1 (ko) 2002-03-22 2002-03-22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868Y1 true KR200256868Y1 (ko) 2001-12-24

Family

ID=7310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372U KR200256868Y1 (ko) 2001-09-14 2001-09-14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8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804B1 (ko) * 2002-08-26 2005-07-01 (주)신성엔지니어링 방음벽의 지주 설치를 위한 앵커볼트 위치 및 수평 측정장치
KR102588767B1 (ko) 2023-02-22 2023-10-16 (주)홍익기술단 철도 안전진단을 위한 침목 간격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804B1 (ko) * 2002-08-26 2005-07-01 (주)신성엔지니어링 방음벽의 지주 설치를 위한 앵커볼트 위치 및 수평 측정장치
KR102588767B1 (ko) 2023-02-22 2023-10-16 (주)홍익기술단 철도 안전진단을 위한 침목 간격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21036T3 (es) Dispositivo de fijacion de alta elasticidad de carriles de via ferrea sin balasto.
BR112012015312B1 (pt) aparelho fixador de trilho ferroviário
KR200416842Y1 (ko)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
KR100412163B1 (ko)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
KR200256868Y1 (ko)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
US20160138226A1 (en) Rail fastening system
KR20110080824A (ko)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CN209384034U (zh) 轨距杆及道岔处钢轨系统
KR100474255B1 (ko) 레일의 체결구조
JP3829103B2 (ja) まくらぎ取り付け用の軌間調整型床板
JP3655140B2 (ja) タイプレート式レール締結装置
JP3058592B2 (ja) 高さ調節機能付レール締結装置
JP2014066111A (ja) 鉄道線路横断用舗装板及びその舗装構造
JPH0757924B2 (ja) 鉄道用レール固定装置
KR101224136B1 (ko) 철도궤도의 자갈도상용 pc침목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200196602Y1 (ko) 레일 조립대
KR20120056949A (ko) 철도 베이스플레이트 및 레일 체결장치
KR101067836B1 (ko) 횡압력 감쇄장치와 이를 이용한 침목 체결구조 및 방법
ES2617562B2 (es) Dispositivo de maniobra para desvíos ferroviarios con corazón de punta móvil
CN209323270U (zh) 一种道岔轨距锁定装置
JPH10195802A (ja) 縦型まくらぎ
JP2007120127A (ja) 脱線防止構造
CN220284508U (zh) 一种轨枕间距定位尺
KR100684349B1 (ko)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
CN217710113U (zh) 一种轨道连接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