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799Y1 -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 - Google Patents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799Y1
KR200256799Y1 KR2020010026575U KR20010026575U KR200256799Y1 KR 200256799 Y1 KR200256799 Y1 KR 200256799Y1 KR 2020010026575 U KR2020010026575 U KR 2020010026575U KR 20010026575 U KR20010026575 U KR 20010026575U KR 200256799 Y1 KR200256799 Y1 KR 200256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ece
boot
fix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김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20010026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7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799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을 부츠 또는 부츠 샤시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프레임의 위치와 결합 각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프레임 결합구는, 상면(4A)에 대하여 하면(4B)이 폭 방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이 되어 폭 방향 단면이 쐐기 형상을 하며, 볼트 등의 고정 수단을 체결하기 위한 결합공(h)이 구비되고, 부츠의 바닥면(BS)과 프레임 상부 결합편(5A)의 상면에 상·하면(3A)(3B)이 밀착된 상태로 개재되어 부츠(B)의 바닥면(BS)에 대한 프레임(5)의 결합 상태를 기울도록 하여 주는 받침편(4)과; 상면(3A)과 하면(3B)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H)들이 형성되며, 상면(3A)과 하면(3B)이 서로 평행하면서 상면(3A)의 면적이 하면(3B)의 면적보다 작고, 상면과 하면을 이어주는 측면(3C)은 하면에서 상면으로 갈 수록 상면의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지며, 프레임 상부 결합편의 조립공 내주면(GS)에 상기 측면(3C)이 밀착되어 볼트와 같은 프레임 고정 수단에 의해 당겨지는 힘으로 프레임 결합편의 상면(5A)을 받침편의 하면(4B)에 밀착고정시키는 판상의 고정편(3)으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편의 경사면과 고정편의 다수 관통공들에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프레임 결합구를 구성하는 고정편은 하나의 부츠에 대하여 다양한 종류의 프레임을 손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줌으로써 특히, 여러 종류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구비하여야 하는 선수들에게 유용하며, 받침편은 프레임의 결합 각도를 수직한 상태에서 기울도록 하여 고속 주행시 발과 다리에 가해지는 무리를 줄여주는 동시에 속도를 더욱 올릴 수 있게 하여 주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Fixer for combining inline-skate frames with boots or boots chassis}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을 부츠 또는 부츠 샤시(이하 '부츠'라 함)의 바닥면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고정편과 받침편으로 구성된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부츠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상부의 결합편에 형성된 조립공에, 다수의 고정공이 구비되며 경사진 측면으로 이루어진 외주연부가 상기 조립공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고정편을 삽입시키고, 프레임 결합편과 부츠 바닥 사이에 폭 방향 경사면을 갖는 판상의 받침편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부츠 바닥과 상기 받침편 및 고정편을 볼트 등으로 고정시키므로써, 부츠에 결합되는 프레임의 고정 위치와 결합 각도를 손쉽게 바꿔줄 수 있도록 한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에 관한 것이다.
날씨가 따뜻해져 얼음 위에서 스케이팅을 할 수 없는 시기에 아이스 스케이트를 타는 즐거움을 땅 위에서 얻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추정되는 롤러 스케이트는 크게 쿼드 롤러 스케이트(quad roller skate)와 인라인 스케이크(inline skate)로 구분된다.
상기 쿼드 롤러 스케이트는 일반적으로 롤러 스케이트라고 불리우는 것으로 통상 가죽으로 만들어지는 스케이트 부츠의 바닥에 좌우 한쌍의 바퀴가 전후로 배열된, 총 4개의 바퀴가 직사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는 형태로 부착되며, 이러한 롤러 스케이트는 바퀴가 전후좌후로 부착되기 때문에 몸의 균형을 잡기 쉬워 롤러 스케이트를 처음타는 사람이나 어린이들에게 적합하다.
미국에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 제작회사의 이름인 롤러블레이드(Rollerblade)로도 널리 알려져 있는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는, 스케이트 부츠의 바닥에 다수의 바퀴가 전후 일열로 배열, 부착된 것으로, 상기 쿼드 롤러 스케이트에 비하여 몸의 균형을 잡기 어렵지만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으며 다양한 묘기를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는 그 용도에 따라, 일반 주행용으로 바퀴가 크고 속도가 빠른 피트니스(fitness)용, 묘기용으로 바퀴가 작고 속도가 느린 어그레시브(aggressive)용, 하키 경기를 위한 하키(hockey)용, 일반 도로 뿐 아니라 흙길 등에서도 달릴 수 있으며 타이어를 연상시키는 큰 바퀴를 사용하는 오프 로드(off-road)용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상기와 같은 인라인 스케이트는, 컴퓨터 등의 보급으로 인해 운동량이 적은 요즈음의 학생들에게 상당한 흥미와 함께 적절한 운동량을 확보할 수 있는 매우 좋은 운동 및 놀이 기구로서 초등학생을 비롯하여 대학생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인기를 얻고 있으며, 다양한 동호회의 활동도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라인 스케이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츠(11)와, 부츠(11)를 지지하며 부츠의 외피 역할을 하는 부츠 샤시(chassis)(12)와, 부츠 샤시의 바닥에 부착되는 프레임(13)과, 프레임에 일열로 장착되는 다수의 바퀴(14)와, 프레임 후부에 부착되는 브레이크(1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퀴 대신 일자형 금속날이 부착된 것이 아이스 스케이트이다.
일반용으로 제작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부츠 샤시와 프레임은, 통상적으로 적절한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작되며, 선수용과 같은 특수 목적용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부츠가 부츠 샤시에 분리 가능토록 삽입되는 형태가 아닌 하나의 전용 부츠로 구성되기도 하고, 아이스 스케이트와 같이 상당한 강성을 갖는 부츠의 바닥에 상기 프레임이 직접 결합되기도 한다.
상기 프레임은 바퀴가 결합된 상태로 부츠 또는부츠 샤시(이하 '부츠'라고 함)의 바닥에 고정결합되어 사람의 몸무게를 지지하는 동시에 진행중 지면과 바퀴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받게 될 뿐 아니라, 진행중이거나 회전시 부츠와 프레임 및 바퀴의 지름 방향이 지면에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프레임과 부츠의 결합부에는 결합부를 분리시키려고 하는 밴딩력이 강하게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은 상기와 같은 외력에 견딜 수 있도록 부츠의 바닥에 단단히 고정되어야만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3)의 상부에는 전후 두 개의 평평한 결합편(13A)이 구비되며, 이 두 결합편들의 상면을 부츠의 바닥에 밀착시킨 후, 상기 결합편에 형성된 통상 4개의 관통공을 통하여 결합편과 부츠의 바닥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함께 고정구인 볼트/너트 또는 리벳으로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4개의 고정구를 사용하는 프레임 고정 방법은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의 각 결합편 중앙부에 하나의 결합공을 형성시키고 각 결합편당 하나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프레임과 부츠 샤시를 결합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프레임의 결합편에 고정형성된 관통공을 통한 프레임과 부츠의 결합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프레임이 파손되어 프레임을 교체하고자 할 때, 파손된 프레임과 교체 프레임의 결합편에 형성된 관통공의 위치가 다르면 프레임을 교체할 수 없거나, 부츠의 바닥에 새로운 구멍, 즉 새로운 결합공을 뚫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선수용 또는묘기용의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프레임을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프레임마다 관통공의 위치가 달라 프레임만을 교체하기 보다는 부츠까지 함께 교체하는 실정이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프레임의 결합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수의 원형 또는장방형의 관통공을 프레임의 결합편에 형성시켜 부츠의 고정 위치 결합공에 대하여 서로 관통공의 위치가 다른 프레임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경우 프레임의 결합편에 상기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시키기 위한 생산성의 저하를 피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결합 방법은, 프레임의 결합편 상면과 부츠 바닥이 밀착되는 결합 각도가 고정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 인라인 스케이트의 경우에는 발바닥에 밀착되는 부츠의 바닥면에 대하여 프레임이 수직하게 고정결합되고, 다리와 프레임이 지면에 수직한 자세가 이상적인 상태가 되나, 선수가 아닌 기술이 부족한 사람이 인라인 스케이트를 탈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자세를 취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진행시 프레임이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심할 경우에는 부츠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프레임의 지면에 대한 기울기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리를 더욱 세워야만 하기 때문에 많은 힘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그 정도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기술이 미숙할 수록 더욱 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부츠 바닥에 대한 종래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의 결합 방법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프레임의 결합편을 중앙부와 테두리부의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테두리부는 종래와 같이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나, 중앙부는 프레임을 부츠에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고정공들이 형성된 별도의 구성 요소로 분리 제작하고, 프레임 결합편과 부츠의 바닥면 사이에 프레임의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프레임을 부츠에 결합되도록 하여 부츠를 교체하지 않고도 다양한 프레임을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프레임의 부츠에 대한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인라인 스케이트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일실시예 고정편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일실시예 받침편을 보인 것으로,
(가)는 사시도이고,
(나)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고정편을 사용하기 위한 프레임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일실시예 결합구를 사용한 프레임과 부츠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고정편 4. 받침편
6,14. 바퀴 11. 부츠
12. 부츠 샤시 13. 프레임
15. 브레이크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프레임 결합편에 형성된 조립공의 내주면에 그 외주연부인 측면이 밀착되며 다수의 고정공들이 형성된 판상의 고정편과, 폭 방향으로 경사면을 갖는 판상의 받침편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에 대한 설명에 앞서 상호 관계 있는 용어들을 짝지워 보면, 프레임-결합편-조립공, 고정편-관통공, 받침편-결합공 과 같다.
본 고안의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는 고정편과 반침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편은 상하면이 상호 평행하나 측면은 경사면을 이루고, 이 측면이 프레임 상부 결합편의 조립공 내주면에 밀착되어 프레임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에는,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볼트 등의 고정 수단이 관통되는 부츠 바닥의 고정된 결합공에 대하여 상기 본 고안 고정편의 결합 위치를 자유로이 바꿀 수 있도록 고정편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고정공들이 형성된다.
즉, 부츠 바닥의 고정된 결합공에 대하여, 이에 대응하는 상기 고정편의 고정공을 적절히 선택하므로써 부츠 바닥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편의 위치를 손쉽게 바꿀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편의 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조립공이 구비된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의 위치 역시 필요에 따라 고정편과 함께 손쉽게 변경될 수 있음에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결합구를 구성하는 또 다른 금속편인 상기 받침편은 폭 방향으로 상면에 대하여 하면이 경사를 이룸으로써, 그 단면이 쐐기의 형상을 함에 그 특징이 있으며, 상기 받침편이 프레임의 결합편과 부츠 바닥면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프레임이 부츠에 결합된다.
즉, 상기 받침편의 경사각에 의해 부츠 바갇면에 대한 프레임의 결합 각도가결정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에 본 고안 일실시예 고정편의 사시도를, 도 4의 (가)와 (나)에 받침편의 사시도와 정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구성하는 고정편(3)은, 상면(3A)과 하면(3B)이 서로 평행하면서 상면(3A)의 면적이 하면(3B)의 면적보다 작으며, 상면과 하면을 이어주는 측면(3C)은 하면에서 상면으로 갈 수록 상면의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이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3)에는 상면(3A)과 하면(3B)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H)들이 상·하면(3A)(3B)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이때 관통공(H)들은 원형 관통공(H')들과 장방형 관통공(H')들이 함께 형성되나, 두 종류의 관통공 중에서 어느 한 종류의 관통공만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상기 원형 관통공(H')보다는 장방형 관통공(H')의 경우가 고정편의 미세한 위치 조정에 더욱 편리하고, 장방형 관통공(H')보다는 원형 관통공(H')이 고정편을 한 곳에 더욱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는 바, 상기 두 종류의 관통공 모두를 함께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고안을 구성하는 또 다른 요소인 받침편(4)은 부츠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바, 그 외주 형상은 대략 부츠의 바닥면과 비슷한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상면(4A)에 대하여 하면(4B)이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이 됨에 특징이 있으며, 볼트 등의 고정 수단을 사용하기 위하여 받침편(4)에는 부츠의 결합공에 일치되도록 상·하면(3A)(3B)을 관통하되 상면(3a)에 수직한 결합공(h)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편(4)의 상면(4A)과 하면(4B)이 이루는 각도(θ)는 40°이하가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각도가 40°를 초과하게 되면 부츠 바닥에 대한 프레임의 결합 각도가 너무 기울어져 프레임과 부츠의 결합 부위에 과도한 하중이 집중되고,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거나 정지시 발과 다리에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본 고안을 구성하는 고정편(3)이 결합되는 프레임의 결합편 부위를 보인 것이 도 5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3)을 사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프레임(5) 상부의 결합편(5A)에 고정편의 외곽 형상과 동일한 조립공(G)이 구비되어야 하고, 고정편은 프레임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조립공(5A)에 삽입되어 고정편의 측면이 조립공의 내주면(GS)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조립공의 내주면(GS)도 하부에서 상부로 갈 수록 조립공 중앙을 향해 경사져야 하며, 조립공(5A)에 고정편이 완전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편의 상면이 프레임 결합편의 상면(5A)과 동일 평면상에 있거나 밖으로 그 위로 돌출되어서는 안된다.
즉, 볼트와 같은 고정 수단이 고정편의 하면을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고정편의 측면에 밀착된 프레임이 부츠에 결합되기 때문에 고정편의 상면이, 상기 프레임 결합편의 상면(5A)과 동일 평면상에 있거나 밖으로 돌출되면 고정편이 고정 수단에의해 당겨지는 힘이 프레임에 전달될 수 없게 되어 프레임이 유동되기 때문에 고정편이 조립공(5A)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편의 상면은 반드시 결합편 상면(5A)의 아래에 위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고정편과 받침편으로 구성되는 본 고안의 결합구를 이용한 부츠와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부츠(B)의 바닥면(BS)에 받침편(4)과 프레임 결합편(5A)의 상면이 일련의 순서로 밀착되고, 프레임 결합편(5A)에 형성된 조립공에 고정편(3)이 밀착삽입된 상태에서 부츠의 내부 바닥면(BS')으로부터 고정편(3)의 하면을 관통하는 고정 수단(L)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이며, 프레임 결합편(5A)의 상면보다 고정편(3)의 상면이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고정편(3)의 상면과 받침편(4)의 하면 사이에는 공간(S)가 형성된다.
이때, 지면에 수직한 부츠(B)에 대하여 프레임(5)은 발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I)으로 기울게 되기 때문에,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겅우에는 프레임이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 지는 정도가 작아져 효과적인 스케이팅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프레임 결합구를 구성하는 고정편은 하나의 부츠에 대하여 다양한 종류의 프레임을 결합 위치에 관계 없이 손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줌으로써 특히, 여러 종류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구비하여야 하는 선수들에게 유용하며, 발이 크는 상태인 어린이들의 경우 부츠만을 교체하여 인라인 스케이트를 계속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바, 인라인 스케이트 교체 비용을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받침편은 프레임의 결합 각도를 수직한 상태에서 기울도록 하여 고속 주행시 발과 다리에 가해지는 무리를 줄여주는 동시에 주행 속도를 더욱 빠르게 가속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장점이 있어 선수들의 기록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초보자도 쉽게 주행 기술을 습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3)

  1. 바퀴가 장착된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을 부츠의 바닥면에 결합시키는 결합구로서, 상면(4A)에 대하여 하면(4B)이 폭 방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이 되어 폭 방향 단면이 쐐기 형상을 하며, 볼트 등의 고정 수단을 사용하기 위하여 상·하면(3A)(3B)을 관통하되 상면(3a)에 수직한 결합공(h)이 구비되고, 부츠의 바닥면(BS)과 프레임 상부 결합편(5A)의 상면에 상·하면(3A)(3B)이 밀착된 상태로 개재되어 부츠(B)의 바닥면(BS)에 대한 프레임(5)의 결합 상태를 기울도록 하여 주는 받침편(4)과;
    상면(3A)과 하면(3B)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H)들이 형성되며, 상면(3A)과 하면(3B)이 서로 평행하면서 상면(3A)의 면적이 하면(3B)의 면적보다 작고, 상면과 하면을 이어주는 측면(3C)은 하면에서 상면으로 갈 수록 상면의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지며, 프레임 상부 결합편의 조립공 내주면(GS)에 상기 측면(3C)이 밀착되어 볼트와 같은 프레임 고정 수단에 의해 당겨지는 힘으로 프레임 결합편의 상면(5A)을 상기 받침편(4)의 하면(4B)에 밀착고정시키는 판상의 고정편(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3)의 관통공(H)들은 다수의 원형 관통공(H')들과 장방형 관통공(H')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편(4) 상면(4A)에 대한 하면(4B)이 폭 방향 기울기는 40°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
KR2020010026575U 2001-08-31 2001-08-31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 KR200256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575U KR200256799Y1 (ko) 2001-08-31 2001-08-31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575U KR200256799Y1 (ko) 2001-08-31 2001-08-31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799Y1 true KR200256799Y1 (ko) 2001-12-24

Family

ID=73107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575U KR200256799Y1 (ko) 2001-08-31 2001-08-31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7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134B1 (ko) 2005-06-02 2007-10-17 주식회사 참피온 인라인 스케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134B1 (ko) 2005-06-02 2007-10-17 주식회사 참피온 인라인 스케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7265A (en) Convertible skate
US5984328A (en) Two-wheeled skateboard
US8308171B2 (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for supporting a user's foot having multiple transportation attachments
US5390958A (en) Track/roller skate
US6065762A (en) Multidirectional in-line roller skate
US4304417A (en) Adjustable plastic roller skate
US5908196A (en) Apparatus for roller skating and roller blading and method thereof
KR200256799Y1 (ko)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
KR100813306B1 (ko)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보드
KR100991453B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20110100897A (ko) 인라인 스케이트
US20030186785A1 (en) Skateboard simulator
WO2004078288A2 (en) Low profile roller skate
US20090184481A1 (en) Unitary quad roller skate
KR200265746Y1 (ko)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고정구
US6932360B2 (en) Adjustable frame assembly for skates
US11951381B2 (en) Transformable skate
KR200248312Y1 (ko) 스케이트의 프레임 고정구
KR200342328Y1 (ko) 아우트라인스케이트
KR200365344Y1 (ko)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KR200377944Y1 (ko) 인라인 스케이트용 메인 프레임
KR200495451Y1 (ko)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
KR100806643B1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
CN210631653U (zh) 可兼顾不同玩法的滑板
JP2002263238A (ja) 特にインラインスケート靴用の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