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134B1 - 인라인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인라인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134B1
KR100766134B1 KR1020050047030A KR20050047030A KR100766134B1 KR 100766134 B1 KR100766134 B1 KR 100766134B1 KR 1020050047030 A KR1020050047030 A KR 1020050047030A KR 20050047030 A KR20050047030 A KR 20050047030A KR 100766134 B1 KR100766134 B1 KR 100766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unting block
mounting
boot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1633A (ko
Inventor
영 열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참피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참피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참피온
Priority to KR1020050047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134B1/ko
Publication of KR20060121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63C17/067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with adjustable position of the foot plate or shoe relative to the chas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츠의 저면에 내장된 마운팅 블록에 하나 이상의 돌출고정부재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상기 마운팅 블록에 고정되는 다양한 마운팅 간격 (165mm, 190mm, 195mm)을 가진 프레임의 종류에 상관없이 장착할 수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는 통상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기준인 마운팅 간격이 165mm, 190mm, 195mm인 세가지가 있는바 하나이상의 바퀴(20)가 고정된 프레임(32)의 상면과 접촉되면서 프레임(32)을 마운팅 블록(400,410)을 매개로 부츠(120)의 밑창(100)에 고정시켜 이루어진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블록(400,410)은 부츠(120) 밑창(100)내에 내장되고 그 평평한 저면판만이 외측으로 노출되어 프레임(32)의 상면과 접촉되며, 상기 마운팅 블록(400)은 판형 저면상면으로 하나 이상의 돌출고정부재(402,404,406,412,414)가 형성되고, 각각의 돌출고정부재(402,404,406,412,414)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멍(402a,404a,406a,412a,414a)을 가지며,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프레임(32) 상면으로부터 상기 결합구멍(402a,404a,406a,412a,414a)을 관통하여 프레임(32)과 마운팅블록(400,412)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운팅 블록(400,410)과 프레임(32)의 결합시 상기 마운팅 블록(400,410)간의 돌출고정부재들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라인 스케이트 {INLINE SKATE}
도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측면도이다.
도2 는 도1 의 마운팅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 은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측면도이다.
도4 는 도3 의 인라인 스케이트에 사용된 마운팅 블록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 는 도3 의 인라인 스케이트에 사용된 마운팅 블록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6a 및 도6b 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에서 마운팅 블록에 장착되는 프레임에서의 간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2: 프레임
100: 밑창
120: 부츠
400,410: 마운팅 블록,
402,404,406,412,414: 돌출고정부재
402a,404a,406a,412a,414a: 결합구멍
본 발명은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츠의 저면에 내장된 마운팅 블록에 하나 이상의 돌출고정부재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상기 마운팅 블록에 고정되는 프레임의 종류에 상관없이 장착할 수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인라인 스케이트는 종래 스케이트의 날 부분을 바퀴로 대체한 것으로서, 현재 대중화되어 많은 사용자들이 공원등에 마련된 도로에서 속도감을 즐기며 사용하고 있다. 일부 사용자들은 레이싱용으로 인라인 스케이트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자유롭게 사용되는 레이싱용 인라인 스케이트에는 84mm 와 90mm, 100mm 등의 지름을 가진 바퀴를 결합할 수 있는데 바퀴의 크기와 속도는 서로 비례하여 큰 바퀴일수록 미세한 상대적 속도의 우위를 가진다.
도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측면도이고, 도2 는 도1 의 마운팅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통상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 부츠(12)의 밑창(10)부분에 결합된 마운팅 블록(40)(프레임을 부츠에 결합하기 위하여 부츠 저면에 장착된 장치)들 사이의 간격(L1)은 165mm이다. 165mm 마운팅 블록(40)들 간격의 부츠(12)에는 80mm, 84mm, 90mm, 100mm등 여러종류의 지름의 바퀴(20)들이 프레임(32) 및 바퀴고정부재(31)를 매개로 장착되는데, 이용자들은 자신의 스타일에 맞는 프레임(31)을 선택한 후 상기 마운팅 블록(40)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가장 많이 쓰이는 바퀴(20)는 지름 84mm인 바퀴 5개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바퀴(20)는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아 인라인 레이싱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그 높이가 표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84mm 지름의 바퀴(20)를 장착했을 경우 지면과 닿은 바퀴의 저면으로부터 부츠(12)의 밑창(10)저면의 마운팅 블록(40) 상면까지의 높이가(h1,h2,일명 '지상고'라고 말한다) 통상 101mm정도가 된다. 이 높이는 너무 높으면 균형잡기가 불편하고 발목이 힘이 가해지므로 불편할 수 있다.
바퀴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속도가 빨라진다는 것을 감안하여 최근 100mm 지름의 바퀴의 수요가 크게 늘고 있으나 이와같이 165mm 마운팅 간격을 가진 프레임에서 100mm지름의 바퀴를 사용할 경우, '지상고'가 증가하여 101mm를 넘어서게 되고 이용자가 부담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마운팅 블록(40)은 1개의 덩어리 형태의 블록(소재는 철, 알루미늄, 플라스틱, 카본 등)내에 고정금속부재(42)(나사구멍(42)가 형성됨)가 매립형태로 형성되어 부츠(12) 밑창(10)에 붙이는 형식이었다.
'지상고'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마운팅 블록(40)에 결합되는 프레임(32)의 간격을 넓게하여 프레임 2번째 바퀴를 좀더 부츠(12)쪽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 195mm 또는 190mm 마운팅 블록(40) 결합 간격을 가진 프레임(32)이 발명되었으나, 이 프레임(32)을 이미 간격이 165mm 고정된 마운팅 블록(40)을 가진 인라인 부츠에 사용할 수 없으므로 새로이 그에 맞는 마운팅 간격을 가진 부츠가 필요했다.
즉 기존의 165mm의 마운팅 블록(40)의 간격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사용하던 사람들이 지상고가 낮은 100mm바퀴를 경험하기 위해서는 195mm 또는 190mm 마운팅 간격의 부츠를 또 다시 사야하므로 비용발생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부츠의 저면에 내장된 마운팅 블록에 하나 이상의 돌출고정부재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상기 마운팅 블록에 고정되는 프레임 마운팅 간격의 종류에 상관없이 장착할 수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이상의 바퀴가 고정된 프레임의 상면과 접촉되면서 프레임을 마운팅 블록을 매개로 부츠의 밑창에 고정시켜 이루어진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블록은 부츠 밑창내에 내장되고 그 평평한 저면판만이 외측으로 노출되어 프레임의 상면과 접촉되며, 상기 마운팅 블록은 판형 저면상면으로 하나 이상의 돌출고정부재가 형성되고, 각각의 돌출고정부재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멍을 가지며,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프레임 상면으로부터 상기 결합구멍을 관통하여 프레임과 마운팅블록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운팅 블록과 프레임의 결합시 상기 마운팅 블록간의 돌출고정부재들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운팅 블록은 상기 부츠의 밑창에 설치된 마운팅 블록의 형태가 일반적인 판형태의 마운팅 블록이 부착되는 형태가 아니라 각각의 돌출고정부재가 상기 밑창속으로 내장되고 평평한 저면만이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 은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측면도이다. 종래 인라인 스케이트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3 을 참조하면, 인라인 스케이트의 부츠(120) 밑창(100)내에 마운팅 블록(400,410)이 각각 내장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밑창(100)제조시 인서트 제조방법으로 마운팅 블록(400,410)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마운팅 블록(400,410)을 내장하기 위한 설치홈을 별도로 형성하고 내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마운팅 블록(400,410)에 고정되는 프레임(32)은 세가지 타입으로서(이에 한정되지 않음) 종래 165mm의 간격을 가진 L2 및 195mm의 간격을 가진 L3, 190mm의 간격을 가진 L4 형태를 모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4 는 도3 의 인라인 스케이트에 사용된 마운팅 블록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5 는 도3 의 인라인 스케이트에 사용된 마운팅 블록의 일예를 나타낸 사 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운팅블록(410)은 평평한 판형태이고, 저면을 제외한 상면모두 부츠(120)의 밑창(100)에 내장되고 저면만이 부츠(120)의 밑창(100)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마운팅블록(410)의 저면이 프레임(32)의 상면과 접촉되는 구조이다. 참조부호 412 및 414는 상부로 돌출된 돌출고정부재를 나타내며, 나사가 결합되는 결합구멍들(412a, 414a)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마운팅 블록(400) 역시 평평한 판형태로서, 마운팅블록(410)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 돌출고정부재들(402,404,406)이 있고, 각각 나사가 결합되는 결합구멍들(402a,404a,406a)을 가지고 있다.
상기 돌출고정부재들(402,404,406,412,414)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고, 돌출고정부재(412)는 두개의 결합구멍들(412a)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돌출고정부재(414)는 3개의 결합구멍들(414a)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6a 및 도6b 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에서 마운팅 블록에 장착되는 프레임에서의 간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에서 도6a 는 오른쪽 부츠를 나타내며, 도6b 는 왼쪽 부츠를 나타낸다.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블록(400,410)이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165mm의 폭을 가진 프레임(32)을 마운팅 블록(400,410)간의 결합구멍(412a,402a 또는 412a,404a)들을 선택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또 다른 결합구멍들(414a,406a)를 선택하여 195mmm의 폭을 가진 프레임(32)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165mm의 폭을 가진 프레임(32)은 마운팅블록(400)의 두개의 돌출고정부재(402,404)의 결합구멍(402a,404a)과 마운팅블록(410)의 두개의 돌출고정부재(412)의 결합구멍(412a)을 통해 프레임(32)과 결합된다.
190mm의 폭을 가진 프레임의 경우는 마운팅블록(400)의 두개의 돌출고정부재(406)의 결합구멍(406a)과 마운팅블록(410)의 하나의 돌출고정부재(414)의 결합구멍(414a)을 통해 프레임과 결합된다.
195mm의 폭을 가진 프레임의 경우는 마운팅블록(400)의 두개의 돌출고정부재(406)의 결합구멍(406a)과 마운팅블록(410)의 하나의 돌출고정부재(414)의 결합구멍(414a)을 통해 프레임과 결합된다.
즉, 마운팅 간격이 다른 165mm 및 195mm, 190mm 의 프레임을 마운팅블록(400,410)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 프레임과 마운팅블록의 결합구멍에 삽입고정된 나사(고정부재)는 도면에서 생략하였다.
아래 표1 은 프레임(32)의 마운팅 간격과 해당 부츠(120)의 마운팅 간격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간격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프레임 마운팅 간격 해당 부츠의 마운팅간격
165mm 165mm
190mm 190mm
195mm 195mm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에 의하면, 부츠(120) 밑창(100)내에 내장되는 마운팅 블록(400,410)에 다수개의 돌출고정부재를 통해 다양한 마운팅 간격 (165mm, 195mm, 190mm)을 가진, 서로 다른 규격의 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운팅 블록(400,410)의 구조를 프레임(32)과 접촉되는 부분만 평평한 판형태로 제작하고, 결합나사구멍이 형성된 돌출고정부재를 매립시켜 마운팅 블록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이는 종전보다 프레임을 포함한 인라인 스케이트의 전체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2)

  1. 하나이상의 바퀴(20)가 고정된 프레임(32)의 상면과 접촉되면서 프레임(32)을 마운팅 블록(400,410)을 매개로 부츠(120)의 밑창(100)에 고정시켜 이루어진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블록(400,410)은 부츠(120) 밑창(100)내에 내장되고 그 평평한 저면판만이 외측으로 노출되어 프레임(32)의 상면과 접촉되며,
    상기 마운팅 블록(400,410)은 판형 저면상면으로 하나 이상의 돌출고정부재(402,404,406,412,414)가 형성되고, 각각의 돌출고정부재(402,404,406,412,414)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멍(402a,404a,406a,412a,414a)을 가지며,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프레임(32) 상면으로부터 상기 결합구멍(402a,404a,406a,412a,414a)을 관통하여 프레임(32)과 마운팅블록(400,410)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운팅 블록(400,410)과 프레임(32)의 결합시 상기 마운팅 블록(400,410)간의 돌출고정부재들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블록(400,410)은 상기 부츠(120)의 밑창(100)에 설치된 마운팅 블록의 형태가 일반적인 판형태의 마운팅 블록(40)이 부착되는 형태가 아니라 각각의 돌출고정부재(402,404,406,412,414)가 상기 밑창(100)속으로 내장되고 평평한 저면만이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KR1020050047030A 2005-06-02 2005-06-02 인라인 스케이트 KR100766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030A KR100766134B1 (ko) 2005-06-02 2005-06-02 인라인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030A KR100766134B1 (ko) 2005-06-02 2005-06-02 인라인 스케이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760U Division KR200392446Y1 (ko) 2005-05-25 2005-05-25 인라인 스케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633A KR20060121633A (ko) 2006-11-29
KR100766134B1 true KR100766134B1 (ko) 2007-10-17

Family

ID=3770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030A KR100766134B1 (ko) 2005-06-02 2005-06-02 인라인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1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799Y1 (ko) 2001-08-31 2001-12-24 김영환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
KR20040085088A (ko) * 2004-07-24 2004-10-07 김선주 인라인 스케이트의 캔팅 프레임
KR20190000930A (ko) * 2014-05-28 2019-01-03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799Y1 (ko) 2001-08-31 2001-12-24 김영환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
KR20040085088A (ko) * 2004-07-24 2004-10-07 김선주 인라인 스케이트의 캔팅 프레임
KR20190000930A (ko) * 2014-05-28 2019-01-03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633A (ko)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02829A (ko) 보행 및 롤링용 신발
US6565104B1 (en) Skateboard
US6398229B1 (en) Three-wheeled roller skate and method therefor
US6955361B2 (en) Gliding sports equipment, such as a skate, a frame for such sports equipment, and a line of such frames
USD516281S1 (en) Toe cap for athletic footwear equipment
US7516562B2 (en) Multi-function cycling shoe
KR200390119Y1 (ko) 스케이트 보드 기능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US20070063458A1 (en) Inline skate
KR100766134B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92446Y1 (ko) 인라인 스케이트
US10524533B2 (en) Roller skate system having a rail and a boot
US6398230B1 (en) Roller skate with angled wheels
US5752708A (en) In-line skate frame
KR100838294B1 (ko) 전방듀얼포인트기능이 구비된 인라인롤러스케이트의프레임, 부츠 및 인라인롤러스케이트
KR20090005197U (ko) 인라인 스케이트용 슈즈블록과 프레임의 결합구조
WO2006109995A1 (en) Inline skate having ventilating units
KR200373864Y1 (ko) 인라인 스케이트 카본부츠와 인라인 스케이트
US20050093255A1 (en) Roller assembly for an in-line roller skate
US11484771B2 (en) Insertable skate outsole shim for increased attack angle
CA2482166C (en) Roller assembly for an in-line roller skate
KR200233898Y1 (ko) 스케이트 보드
KR100722369B1 (ko) 인라인 스케이트 및 프레임 유니트
KR100898362B1 (ko) 다목적 신발
KR200314181Y1 (ko) 인라인 스케이트 결합용 빙상 스케이트 날
KR20120025838A (ko) 다목적 부츠 고정용 스키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