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746Y1 -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고정구 - Google Patents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746Y1
KR200265746Y1 KR2020010036303U KR20010036303U KR200265746Y1 KR 200265746 Y1 KR200265746 Y1 KR 200265746Y1 KR 2020010036303 U KR2020010036303 U KR 2020010036303U KR 20010036303 U KR20010036303 U KR 20010036303U KR 200265746 Y1 KR200265746 Y1 KR 200265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fixing
groove
fram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김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20010036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7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746Y1/ko
Priority to PCT/KR2002/001214 priority patent/WO2003002219A1/en
Priority to CN 02812223 priority patent/CN1289163C/zh

Links

Landscapes

  • Dow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의 바퀴들이 장착되는 프레임을 부츠 샤시 내지는 부츠의 바닥에 고정결합시키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 고정구는,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을 하며 이 볼록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외주면에 인접한 테두리부(R)에 다수의 고정돌기(52A)들 또는 관통홈돌기(52A')들 중의 하나가 구비되고, 테두리부(R)와 2∼3개의 관통공(H)들이 있는 중앙 요홈부(G) 사이에는, 관통공(H)들 사이의 함몰부(C)를 제외하면 테두리부(R)의 외곽 형상과 동일한 외곽 형상을 하는 요철 성형부(D) 또는 "V"형홈(V)이 방사상으로 분산된 요철성형부(D')가 각각 형성된 판상의 와셔(52,52')(6,6')와; 상기 요홈부(G)에 안착되는 판상의 헤드부(51A)와 이 헤드부(51A)의 중앙부에 직립 부착되고 상기 요홈부(G)의 일측에서 관통공(H)들을 통하여 타측으로 관통되며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원통형 몸체(51B)로 이루어진 2∼3개의 고정 너트(51)들과; 상기 고정 너트(51)들의 몸체(51B) 내주면에 각각 나사결합하는 2∼3개의 고정 볼트(53)들로 구성된다.
본 고안 스케이트의 프레임 고정구는 부츠 샤시 내지는 부츠의 내측 바닥면에 박히게 되는 와셔 테두리면의 돌기에 의해 와셔의 회전이나 유동이 방지될 뿐 아니라, 요철 성형부에 의한 접촉면의 증가로 와셔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는 동시에, 상기 요철 성형부가 스프링의 역할을 수행하므로써 외부 하중에 대한 와셔의 변형을 방지해주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도 있다.

Description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고정구{Fixer for the frame of inline skates}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츠 샤시 내지는 부츠의 바닥에 바퀴들이 장착되는 프레임을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요철 성형부와 외주면에 인접한 테두리부에 선단부가 날카로운 다수의 고정돌기들 또는 관통홈돌기들이 구비되고 중앙부에는 고정 너트 몸체가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을 하는 금속 판상의 와셔와, 다수의 고정 너트들 및 고정 볼트들로 구성되고, 상기 와셔의 고정돌기들 또는 관통홈돌기들을 두 결합 대상물의 일측면에 접촉하도록 한 후, 상기 와셔의 각 관통공을 통하여 와셔와 두 결합 대상물을 고정 볼트들과 고정 너트들로조임으로써, 상기 고정돌기들 또는 관통홈돌기들이 결합 대상물의 접촉면에 박히는 동시에, 와셔의 볼록한 부분이 당겨져 상기 와셔의 요철 성형부를 이루는 골의 하면이, 와셔와 결합 대상물의 접촉면에 밀착되어 와셔의 테두리부가 접촉면을 강하게 누르는 상태가 유지되면서 결합 대상물의 접촉면과 상기 와셔의 밀착 면적이 확대되어 두 결합 대상물을 강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스케이트는 크게 얼음위를 지치기 위한 아이스 스케이트와, 바퀴가 구비되어 땅에서 아이스 스케이트를 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롤러 스케이트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스케이트는 아이스 링크가 세워짐에 따라 여름철에도 즐길 수 있게 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겨울철에 집중적으로 이용되는 스포츠 도구인 바, 계절에 관계 없이 즐길 수 있는 롤러 스케이트가 근래 급격한 수요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
상기 롤러 스케이트는 크게 쿼드 롤러 스케이트(quad roller skate)와 인라인 스케이크(inline skate)로 구분된다.
상기 쿼드 롤러 스케이트는 일반적으로 롤러 스케이트라고 불리우는 것으로 통상 가죽으로 만들어지는 스케이트 부츠의 바닥에, 좌우 한쌍의 바퀴가 전후로 배열된, 4개의 바퀴가 직사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는 형태로 장착된 프레임이 직접 고정부착되며, 이러한 롤러 스케이트는 바퀴들이 전후좌후로 위치하기 때문에 몸의 균형을 잡기 쉬워 롤러 스케이트를 처음타는 사람이나 어린이들에게 적합하다.
인라인 스케이트 제작회사의 이름인 롤러블레이드(Rollerblade)로도 널리 알려져 있는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는, 다수의 바퀴가 프레임내에 전후 일열로 배열된 것으로, 상기 쿼드 롤러 스케이트에 비하여 몸의 균형을 잡기 어렵지만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으며 다양한 묘기를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근래에는 쿼드 롤러 스케이트보다 인라인 스케이트가 더욱 선호되고 있다.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는 그 용도에 따라, 일반 주행용으로 바퀴가 크고 속도가 빠른 피트니스(fitness)용, 묘기용으로 바퀴가 작고 속도가 느린 어그레시브(a-
ggressive)용, 하키 경기를 위한 하키(hockey)용, 일반 도로 뿐 아니라 흙길 등에서도 달릴 수 있으며 타이어를 연상시키는 큰 바퀴를 사용하는 오프 로드(off-
road)용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상기와 같은 인라인 스케이트는, 컴퓨터 등의 보급으로 인해 운동량이 적은 요즈음의 학생들에게 상당한 흥미와 함께 적절한 운동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계절에 관계 없이 이용할 수 있는 매우 좋은 운동 및 놀이 기구로서 초등학생을 비롯하여 대학생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인기를 얻고 있으며, 다양한 동호회의 활동도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라인 스케이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츠(11)와, 부츠(11)를 지지하며 부츠의 외피 역할을 하는 부츠 샤시(chassis)(12)와, 부츠 샤시의 바닥에 부착되는 프레임(13)과, 프레임에 일열로 장착되는 다수의 바퀴(14)와, 프레임 후부에 부착되는 브레이크(15)로 구성된다.
일반용으로 제작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부츠 샤시와 프레임은, 통상적으로적절한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작되며, 선수용과 같은 특수 목적용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부츠가 부츠 샤시에 분리 가능토록 삽입되는 형태가 아닌 하나의 전용 부츠로 구성되기도 하고, 아이스 스케이트와 같이 상당한 강성을 갖는 부츠의 바닥에 상기 프레임이 직접 결합되기도 한다.
상기 프레임은 바퀴가 결합된 상태로 부츠 내지는 부츠 샤시(이하 '부츠 샤시'라고 함)의 바닥에 고정결합되어 사람의 몸무게를 지지하는 동시에 진행중 지면과 바퀴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받게 될 뿐 아니라, 진행중이거나 회전시 부츠 샤시와 프레임 및 바퀴의 지름 방향이 지면에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프레임과 부츠 샤시의 결합부에는 결합부를 분리시키려고 하는 밴딩력이 강하게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은 상기와 같은 외력에 견딜 수 있도록 부츠 샤시의 바닥에 단단히 고정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종래의 고정구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3)의 상부에는 전후 두 개의 평평한 결합편(13A)이 구비되며, 이 두 결합편들의 상면을 부츠 샤시의 바닥에 밀착시킨 후, 상기 결합편에 형성된 통상 4개의 관통공을 통하여 결합편과 부츠 샤시의 바닥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함께 고정구인 볼트/너트 또는 리벳으로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4개의 고정구를 사용하는 프레임 고정 방법은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의 각 결합편 중앙부에 하나의 결합공을 형성시키고 각 결합편당 하나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프레임과 부츠 샤시를 결합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때, 사용되는 고정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다소 볼록하며, 중앙부에 고정 볼트(32) 헤드부(32A)의 두께와 비슷한 깊이를 갖고 중앙 관통공(H)이 구비되며 상기 볼록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가 되는 원형의 요홈부(31A)가 형성된 원판상 와셔(31)와, 고정 볼트(32)와, 사각 형상의 헤드부(33A)를 갖는 고정 너트(33)로 구성된다.
상기의 고정구는, 원판상 와셔의 볼록한 일측면 최고점(P)과 외주면 최저점
(B) 사이의 높이 차가 상기 최고점(P)부터 중앙부 요홈부 하면(S)까지의 거리와 대략 비슷하다.
따라서, 고정 너트의 몸체(33B) 길이를, 부츠 샤시(12)와 프레임(13')의 결합부 두께보다 짧게하여 조이게 되면 와셔의 중앙 요홈부 하면(S)과 고정 너트 헤드부의 상면(U)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프레임 결합편과 부츠 샤시 접촉면이 밀착고정된다.
이때, 부츠 샤시는 다소의 연성이 있는 합성수지이므로, 고정 너트를 강하게 조이게 되면 상기 와셔의 중앙 요홈부 하면(S)과 함께 와셔의 외주면 모서리부도 부츠 샤시 내측 바닥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와셔는 단지 고정 볼트와 고정 너트의 조이는 힘에 의해 부츠 샤시 내측 바닥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진동과 충격 등에 의해 고정 너트가 풀리게 되면 와셔의 밀착 상태가 곧바로 느슨하게 되고, 와셔의 형태가 원형으로서 적은 힘으로도 쉽게 회전이 가능하며 이 회전은 고정 볼트와 너트를 풀어주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부츠 샤시 내측 바닥면에 대한 와셔의 접촉부 면적이 작아 외력 집중에 의한 와셔의 변형이 쉬워 부츠 샤시에 대한 프레임의 유동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판형 와셔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이 아닌 비원형 와셔(4)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비원형 와셔(4)는, 외력 작용시 쉽게 회전하는 원판형 와셔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는 있으나, 장축부에 힘이 집중되어 원판형 와셔보다 더욱 쉽게 변형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종래의 프레임 고정구들이 갖는 결합 구조의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인은 새로운 형태의 고정구를 개발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제01-19397호)하였으나, 이 고정구는 고정 볼트를 사용하기 위한 관통공이 단지 1개만이 구비된 원판형의 와셔로 구성되어 특히 면적이 넓은 부츠 바닥의 앞 부분에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조임력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스케이트의 금속날 내지는 바퀴가 부착되는 프레임을 부츠 샤시에 고정시키는 종래 고정구들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와셔 자체의 회전이 방지되며, 탄성력에 의해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츠 샤시 내측 바닥면과의 접촉 면적은 작으나,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와셔의 접촉면에 집중되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므로써 와셔의 변형이 억제되고, 넓은 면적의 바닥에도 적절한 조임력을 가질 수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고정용 고정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인라인 스케이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부분 단면도.
도 3은 종래 프레임 고정구를 보인 것으로,
(가)는 분해 사시도이고,
(나)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다른 종류의 프레임 고정구를 구성하는 와셔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프레임 고정구를 보인 것으로,
(가)는 관통공이 2개 있는 고정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나)는 관통공이 3개 있는 고정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고정 볼트를 제외한 관통공이 2개 있는 와셔와 고정 너트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와셔에 구비된 일실시예 고정공과 고정돌기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은 와셔에 구비된 다른 실시예 관통홈과 관통홈돌기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프레임 고정구를 보인 것으로,
(가)는 관통공이 2개 있는 고정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나)는 관통공이 3개 있는 고정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6,31,52. 와셔 11. 부츠
12. 부츠 샤시 13. 프레임
14. 바퀴 15. 브레이크
51. 고정 너트 53. 고정 볼트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판상의 와셔 외주면을 따라 외주면에 근접한 일측 테두리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들 또는 관통홈돌기들 중의 하나와, 상기 와셔가 놓여지는 접촉면에서 와셔가 조여지기 전에는 접촉면에 접촉되지 않으나 볼트들에 의해 와셔의 중앙부가 조여지면서 당겨지게 되면 상기 접촉면에 밀착, 접촉하게 되도록 와셔의 외주면 외곽 형상과 대략 동일한 외곽 형상으로 형성된 요철 성형부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고정구는 전체적으로 다소 볼록한 판상의 금속제 와셔와, 다수의 고정 너트들 및 고정 볼트들로 구성되며, 상기 판상 와셔에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돌기들 또는 관통홈돌기들과 요철 성형부에 본 고안의 구조적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고정구를 구성하는 판상 와셔의 단면 형상은 전체적으로 볼 때 볼록한 형상을 하며, 와셔에 형성된 상기 요철 성형부가 와셔의 강성을 향상시켜 주는 동시에 스프링의 역할을 수행하게 됨에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와셔의 중앙부에 고정 너트들을 결합시킨 후, 이 고정 너트들을 부츠 샤시와 프레임이 개재된 상태에서 고정 볼트들로 강하게 조이게 되면, 부츠 샤시의 내측 바닥에 접촉된 와셔의 테두리부 일측면에 직립한 고정돌기들 또는관통홈돌기들이 부츠 샤시의 내측 바닥 속으로 박히게 되면서 와셔의 회전과 움직임을 방지하게 되고, 고정 볼트들로 조이기 전에는 부츠 샤시의 내측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인 와셔의 요철 성형부를 이루는 골의 하면이 부츠 샤시의 내측 바닥에 밀착되어 부츠 샤시의 내측 바닥에 대한 와셔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와셔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게 되어 와셔의 변형을 억제해 준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5에 본 고안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고정구를 구성하는 다양한 형상의 와셔들과 고정 너트들 및 고정 볼트들의 분리 사시도들을, 도 6에 와셔와 너트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정구는 2∼3개의 고정 너트(51)들과 볼록한 형상의 판상 와셔(52)(52')와, 2∼3개의 고정 볼트(53)들로 구성되며, 이들 중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있는 고정 너트(51)와 와셔(52)(52')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고정구를 구성하는 와셔(52)(52')의 외곽 형상은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며, 그 면적에 따라 2∼3개의 고정 너트(51)들용 관통공(H)들이 중앙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셔(52)(52')의 테두리부와 관통공(H)들이 형성되는 와셔의 중앙 요홈부(G)사이에는 와셔의 테두리부(R) 외곽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의 궤적을 갖는 요철부(D)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요철부(D)의 궤적은 부분적으로 상기 관통공(H)들 사이로 볼록한 함몰부(C)를 형성하므로써 관통공이 2개인 경우에는 그 외곽 형상이 상하가 비슷한 오뚜기와 유사한 형상을 하게 되며, 이와 같이 함몰부(C)를 형성시키는 것은 요철부(D)의 길이를 증가시켜 와셔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스프링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와셔 중앙의 요홈부(G) 저면은 본 고안의 고정구를 구성하는 고정 너트들의 헤드부(51A)들이 안착되는 곳으로서, 고정 너트들의 몸체(51B)들이 각각 관통되는 2∼3개의 관통공(H)들이 구비되고, 그 방향은 와셔의 볼록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 너트의 헤드부(51A)가 와셔의 일측면상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요홈부(G)의 깊이는 대략 헤드부(51A)의 두께와 같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요홈부(G)의 깊이가 깊게 되면, 요홈부의 하면(S')과 고정돌기(52A)가 형성된 테두리부(R) 하면(S") 사이의 높이 차이가 작게 되고, 따라서 테두리부 하면(S")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요홈부 하면(S')을 테두리부 하면(S")과 같은 높이로 만들기 위해 요홈부(G)를 잡아당기는데 필요한 힘도 작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와셔(52)를 놓은 상태에서 상기 요홈부의 하면(S')과 테두리부 하면(S")이 모두 바닥에 닿도록 요홈부(G)를 눌러 고정시킨 경우, 눌러지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가려고 하는 와셔의 탄성력은, 와셔가 놓여지는 부츠 샤시의 내부 바닥면을 고정 볼트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측으로 미는 힘, 즉 프레임과 부츠 샤시의 밀착력이 된다.
따라서, 상기 밀착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와셔의 탄성 범위 내에서 상기 요홈부 하면과 테두리면 사이의 높이 차이를 가능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헤드부의 두께가 얇은 고정 너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의 일실시에 고정구에서는 두께가 얇은 판상의 헤드부(51A)와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원통형 몸체(51B)로 이루어진 고정 너트(51)를 사용하였다.
상기 고정 너트(51)는, 프레임과 부츠 샤시 및 와셔가 개재된 상태에서 고정 볼트를 조이거나 조여진 상태에서 진동 등의 외부 힘을 받게 되는 경우, 고정된 와셔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너트의 헤드부를 와셔에 한 몸체를 이루도록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헤드부가 두꺼운 종래의 고정 너트를 와셔에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는 어렵기 때문에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예 고정구를 구성하는 고정 너트(51)는, 얇은 판상의 헤드부(51A)를 갖는 펨너트를 사용하였는 바, 이 고정 너트의 헤드부(51A)는 압착가공에 의해 와셔의 요홈부 저면에 손쉽게 압착고정이 가능하며, 본 고안의 일실시예 고정구에서도 상기 고정 너트(51)를 와셔(52)(52')에 압착, 고정시켜 일체화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헤드부(51A)는 몸체(51B)의 중공 일측단부를 밀폐시키는 판상의 형태이거나, 중공이 헤드부(51A)를 관통할 수 있도록 헤드부(51A) 몸체(51B)의 중공과 일치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파이프 형상의 상기 몸체(51B)의 일측단부에 중공 원판상의 플렌지 형태(도면 미도시)를 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 고정구를 구성하는 판상 와샤(52)(52')는 전체적인 형상을 볼 때, 일측으로 볼록한 형상이며, 외주면에 인접한 상기 볼록한 반대 방향의 테두리부 하면(S")에는 끝이 날카로운 고정돌기(52A)들이 내주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고정공(h)들이 다수 구비되며, 상기 테두리부 하면(S")과 중앙 요홈부(G) 사이는 와셔(52)(52')의 외주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요철 성형부(D)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들 중 하나인 상기 테두리부(R)의 상기 고정돌기(52A)들은, 테두리부(R)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고정공(h)들을 이루었던 재료가 천공시 찢겨져 직립한 것으로, 판상의 재료에 구멍을 뚫을 경우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며, 이 고정돌기(52A)들이 부츠 샤시의 바닥면을 뚫고 들어가게 되므로써 와셔의 회전과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공(h)과 고정돌기(52A) 부분의 확대 사시도를 도 7에 도시하였으며, 이 고정공(h)과 고정돌기(52A)의 다른 실시예 확대 사시도를 도 8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공(h)과 고정돌기(52A)의 다른 실시예는 테두리부(R)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앙부를 향하는 삼각형상의 관통홈(h')과 관통홈돌기(52A')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관통홈돌기(52A)는 삼각형상의 관통홈(h')을 펀칭하여 형성시킬 때 관통홈(h')을 이루었던 재료가 찢겨져 관통홈(h')의 일측부에 직립한 것으로, 그 역할은 상기 고정돌기(52A)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특징인 상기 와셔(52)(52')의 요철 성형부(D)는 와셔의 전체적인 형상이 볼록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테두리면(S")을 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지면에 대한 골 부분의 하면(S1) 높이가 테두리부 하면(S") 보다 높으나 요홈부 하면(S')보다는 낮은 위치에 있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본 고안의 고정구를 구성하는 와셔(52)는 스프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과 부츠 샤시에 본 고안의 고정구를 결합시켜 고정 볼트(53)들을 조이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52A)들이 부츠 샤시의 내부 바닥에 박히게 되고, 와셔의 테두리부 하면(S")이 고정된 상태에서 요철 성형부(D)를 이루는 골의 하면(S1)도 부츠 샤시의 바닥에 밀착되므로써 와셔의 접촉면을 증가시키게 되어 와셔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게 된다.
상기 판상 와셔(52)(52')의 다른 실시예를 도 9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 와셔(6)(6')는 테두리부(R)의 외주단부로부터 중심을 향하며, 고정돌기(52A) 또는 관통홈돌기(52')의 직립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다수의 "V"형홈(V)들이 형성되고, 이 "V"형홈들은 와셔(6)의 중심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면서 와셔의 중앙 요홈부(G) 테두리 부근까지 연장형성된다.
즉, 상기 실시예 와셔(52)(52')의 요철성형부(D)와 달리 본 실시예 와셔(6)(6')는 다수의 "V"형홈들이 방사상으로 분산된 요철성형부(D')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방사상의 "V"형 요철성형부는 와셔의 강성을 한층 높여 주게 되어, 상기 와셔(6)(6')는 전술한 일실시예 와셔(52)에 비하여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스케이트의 프레임 고정구는 테두리부 일측면에 직립한 돌기들에 의해 와셔의 회전이나 유동이 방지될 뿐 아니라, 요철 성형부에 의한 접촉면의 증가로 와셔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는 동시에 상기 요철 성형부가 스프링의 역할을 수행하므로써 외부 하중에 대한 와셔의 변형을 방지해주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고정 너트를 와셔에 압착하여 고정 너트와 와셔를 손쉽게 일체화 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관리가 용이하고, 조립이 간편하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도 있다.

Claims (5)

  1. 판상의 와셔와 고정 너트 및 고정 볼트로 구성된 고정구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을 하며 이 볼록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외주면에 인접한 테두리부(R)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고정공(h)들 또는 외주면으로부터 중앙부를 향하는 삼각형상의 관통홈(h')들 중의 하나와, 상기 고정공(h)들 또는 관통홈(h')들의 형성시 테두리부(R)의 일측면에 직립하도록 각각 만들어지는 다수의 고정돌기(52A)들 또는 관통홈돌기(52A')들이 구비되고, 테두리부(R) 외주면과 2∼3개의 관통공(H)들이 있는 중앙 요홈부(G) 사이에는, 관통공(H)들 사이의 함몰부(C)를 제외하면 테두리부(R)의 외곽 향상과 동일한 외곽 형상을 하는 요철 성형부(D) 또는 다수의 "V"형홈(V)들이 방사상으로 분산된 요철성형부(D') 중의 하나가 형성된 판상의 와셔(52,52')(6,6')와;
    상기 요홈부(G)에 안착되는 판상의 헤드부(51A)와 이 헤드부(51A)의 중앙부에 직립 부착되고 상기 요홈부(52B)(6B)의 일측에서 관통공(H)들을 통하여 타측으로 관통되며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원통형 몸체(51B)로 이루어진 2∼3개의 고정 너트(51)들과;
    상기 고정 너트(51)들의 몸체(51B) 내주면에 각각 나사결합하는 2∼3개의 고정 볼트(53)들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볼트의 헤드부(51A)는 와셔의 중앙 요홈부(G) 저면에 압착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 고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성형부(D)는, 와셔의 테두리면(S")이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골의 하면(S1) 높이가 테두리면(S") 보다 높으나 요홈부의 하면(S')보다는 낮은 위치에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 고정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성형부(D')를 구성하는 "V"형홈(V)은 그 폭이 요홈부(G)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 고정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51)를 구성하는 판상의 헤드부(51A)는 중앙부에 헤드부(51A) 몸체(51B)의 중공과 일치하는 통공이 형성된 중공 원판상의 플렌지 형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 고정구.
KR2020010036303U 2001-06-27 2001-11-24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고정구 KR200265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03U KR200265746Y1 (ko) 2001-11-24 2001-11-24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고정구
PCT/KR2002/001214 WO2003002219A1 (en) 2001-06-27 2002-06-26 Fixing assembly for wheel frame of in-line skates
CN 02812223 CN1289163C (zh) 2001-06-27 2002-06-26 用于单列式冰鞋的轮架的固定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03U KR200265746Y1 (ko) 2001-11-24 2001-11-24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746Y1 true KR200265746Y1 (ko) 2002-02-25

Family

ID=7307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303U KR200265746Y1 (ko) 2001-06-27 2001-11-24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7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0086A (en) In-line roller skate assembly
US4273345A (en) Roller skate
CA1305730C (en) In-line roller skate with axle aperture plugs for simplified wheel installation
US4932675A (en) Skate assembly
US4657265A (en) Convertible skate
US3082549A (en) Slanted cleat assembly for athletic shoes
US4107857A (en) Athletic shoe construction
US5390958A (en) Track/roller skate
US5320366A (en) Assembly for converting inline roller skate to ice skate
US4922636A (en) Shoe spike/receptacle assembly
JP2000189210A (ja) 十字型のゴルフスパイク構造
US6050006A (en) Shoe system and method
CA1150743A (en) Skates
KR200265746Y1 (ko)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고정구
US6098997A (en) In-line roller skate with two-piece frame for wheels
KR200248312Y1 (ko) 스케이트의 프레임 고정구
US5456477A (en) Skate with in-line wheels including an arrangement for sealing the bearings thereof
US7032330B2 (en) Grind rail apparatus
US20040232633A1 (en) Low profile roller skate
US20090184481A1 (en) Unitary quad roller skate
KR200256799Y1 (ko)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
CN1289163C (zh) 用于单列式冰鞋的轮架的固定组件
KR200345631Y1 (ko) 빙상 주행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JP2000245505A (ja) ゴルフシューズ用スパイク補助突起付プレート
JP3887439B2 (ja) スポーツシューズ用スタ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