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344Y1 -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344Y1
KR200365344Y1 KR20-2004-0019954U KR20040019954U KR200365344Y1 KR 200365344 Y1 KR200365344 Y1 KR 200365344Y1 KR 20040019954 U KR20040019954 U KR 20040019954U KR 200365344 Y1 KR200365344 Y1 KR 200365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rame
load
fixing part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호
Original Assignee
(주)김광호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김광호통상 filed Critical (주)김광호통상
Priority to KR20-2004-0019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3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3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인라인스케이트용 프레임이 개시된다. 본 인라인스케이트용 프레임은 본체의 전방과 후방 상부에 구비되어 부츠의 앞꿈치부와 뒤꿈치부 저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나사 결합되는 전방 고정부 및 후방 고정부; 및 바퀴가 축으로 설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로 각각 서로 쌍을 이루어 연장 형성되는 각각의 지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고정부 및 후방 고정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긴밀하게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단의 중간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진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부츠의 돌출부가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그 접촉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비틀림 하중이나 횡하중에 의한 변형이 방지됨은 물론, 하중이 손실없이 프레임에 전달될 수 있으며, 프레임에 전달된 하중이 지지부를 통하여 축의 중심부 1점에 집중되므로 인라이너에 의해 발생된 힘(하중)이 손실없이 바퀴에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FRAME FOR AN INLINE SKATE}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츠와 프레임의 결합부위를 보다 긴밀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부츠와 프레임의 일체화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부츠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바퀴에 전달할 수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인라인 스케이트는 다수의 바퀴가 프레임 내에 전,후 일열로 배열된 것으로, 균형을 잡기가 어렵지만 숙련이 되면 빠른속도를 낼 수 있고 다양한 묘기를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일반주행용, 묘기용, 경기용, 도로용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최근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서 대중화가 급격히 진행되었다.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은 인라인 스케이트의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로 인라이너의 하중을 지지하고 휠들이 원활이 회전할 수 있도록 부츠와 휠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최근까지 폴리우레탄과 나일론, 카본(Carbon), 컴포지트(Composite), 알루미늄(Aluminum), 그 밖에 두가지 이상의 소재를 사용하여 한가지 소재의 장단점을 보완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어 있다.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은 레이싱용은 가속능력과 빠른 속도에서 주행 안정성이 뛰어나도록 길이가 긴 프레임을 사용하며, 하키용은 빠른 기동성과 조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츠길이와 같은 프레임 길이를 사용하며, 휘트니스용은 부츠길이보다 앞,뒤로 약간씩 더 긴 프레임을 사용하는 등 지정된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다른 형상을 가진 프레임을 별도로 다이캐스팅 제작하지 않고 생산성 향상을 위해 바형태의 기본프레임을 제작한 후 이를 절단 등에 의해 상기와 같은 용도에 맞게 다양한 디자인으로 형상 가공하는 제작과정을 통해 완성시키고 있다.
이러한 인라인스케이트용 프레임은 인라이너의 하중을 지지하는 동시에 진행 중 지면과 바퀴간 충격, 주행 방해물과의 충돌 등 각종 방해에 대한 충격 및 외력에 내성을 가지면서도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부담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츠(1)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1-1)와 결합되는 프레임은 본체(2)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부츠(1)과 볼트로 결합되는 고정부(2-2)와, 바퀴(3)가 축에 의해 결합되도록 본체(2)의 하부로 쌍을 이루어 연장 형성되는 지지단(2-3)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기술에 의한 프레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고정부(2-2)와 부츠(1)의 돌출부(1-1)가 면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있었기 때문에, 바퀴(3)에 인엣지, 아웃엣지 등이 작용할 경우에 인라이너의 하중에 의해 돌출부(1-1)와 고정부(2-2) 사이에 유격(T)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인라이너의 푸쉬 행동시 부츠(1)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돌출부(1-1)와 고정부(2-2)의 부정확한 결합에 의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단(2-3)이 본체(2)의 상부에서 직하방으로 단순하게 연장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인라이너의 푸쉬에 의해 발생된 힘(하중)이 바퀴(3)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하방으로 연장된 양측의 지지단(2-3)은 전달되는 하중을 바퀴(3) 축의 양측에 전달하게 됨으로써 하중이 분산되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축과 지지단(2-3)의 접촉부위와 축의 중심부간의 거리(L)가 멀어 지지단(2-3)으로 전달된 하중이 분산되어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프레임과 부츠의 접촉면적을 최대화시킴으로써 그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부츠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보다 효과적으로 바퀴에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종래기술에 의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0A,10B :
12 : 전방 고정부 14 : 후바 고정부
12A,14A : 삽입홈 16 : 지지단
18 : 지지부 20 : 부츠
22 : 앞꿈치부 24 : 뒤꿈치부
26A,26B : 돌출부 30 : 바퀴
40 : 축 60 : 체결볼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의 전방과 후방 상부에 구비되어 부츠의 앞꿈치부와 뒤꿈치부 저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나사 결합되는 전방 고정부 및 후방 고정부; 및
바퀴가 축으로 설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로 각각 서로 쌍을 이루어 연장 형성되는 각각의 지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고정부 및 후방 고정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긴밀하게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단의 중간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진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본체는 서로 대칭인 좌측본체와 우측본체로 나뉘어 형성되고, 상기 전방 고정부와 후방 고정부는 본체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좌측본체와 우측본체 사이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은 부츠의 돌출부가 프레임의 고정부에 형성된 밀착 삽입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돌출부와 고정부의 접촉면이 확대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일체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인라이너에 의해 발생된 힘(하중)이 바퀴에 손실없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단의 중간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진 지지부가 형성됨으로써, 본체의 고정부로 전달된 하중(힘)이 양측의 지지부를 통하여 바퀴의 축의 중심부로 집중되고 있었기 때문에 인라이너에 의해 발생된 힘이 손실없이 바퀴에 전달되고 있었던 것이다.
즉, 하중의 집중에 의한 모멘트가 상쇄되어 1점으로 지지되고, 이로 인하여 하중(피로)이 상기 1점으로 집중 지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은 본체(10)에 형성된 전,후방 고정부(12,14) 및 바퀴(30)가 설치되기 위한 지지단(16), 각 지지단(16)에 형성된 지지부(18)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프레임의 본체(10)는 서로 대칭인 좌측본체(10A)와 우측본체(10B)로 나뉘어 형성되고, 상기 전방 고정부(12)와 후방 고정부(14)는 본체(10)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체결볼트(60)에 의해 상기 좌측본체(10A)와 우측본체(10B) 사이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한 부품이 손상되었을 경우에 그 부품만 교체할 수 있는 것으로 정비성을 향상시켜 재 구입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우측 본체(10A,10B)와 별개로 형성된 전방 고정부(12)와 후방 고정부(14)는 좌측본체(10A)와 우측본체(10B)의 전방부 및 후방부 상부측에 각각 위치하여 체결볼트(6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전,후방 고정부(12,14)의 상면에는 부츠(20)의 앞꿈치부(22)와 뒤꿈치부(24)의 저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돌출부(26A,26B)가 긴밀하게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삽입홈(12A,14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2A,14A)은 상기 돌출부(26A,26B)가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사각형상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 및 원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좌측본체(10A)와 우측본체(10B)의 하부로는 바퀴(30)가 축(40)으로 설치되기 위한 지지단(16)이 쌍을 이루어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각 지지단(16)의 중간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진 지지부(18)가 형성되는것이다.
즉, 상기 지지부(18)는 각각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사진 지지부(18)는 지지단(16)을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을 축(40)의 중심부로 집중시켜 인라이너로부터 발생된 힘(하중)이 바퀴(30)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부(18)가 형성된 지지단(16) 끝단 간의 거리는 바퀴(30)의 폭보다 좁거나 그 폭보다 약간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30)의 중심부를 이루는 허브의 폭과 지지부(18) 끝단 간의 거리가 유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각 지지부(18)의 끝단이 서로 근접하도록 하여 본체(10)의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1점에 집중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고, 각 지지단(16) 끝단 간의 거리가 바퀴(30)의 가장자리 폭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좌,우측 본체(10A,10B)의 각 지지단(16) 끝단 사이에 바퀴(30)를 위치시키고, 축(40)을 이용하여 가 조립한다. 이는 각 지지단(16) 끝단 사이의 거리가 바퀴(30)의 가장자리측 폭보다 좁게 형성되기 때문이고, 만약, 그 거리가 바퀴(30)의 가장자리측 폭과 유사하거나 약간 크다면 굳이 바퀴(30)를 먼저 조립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과정으로 각 바퀴(30)가 각각의 지지단(16) 사이에 설치되면, 상기 좌,우측 본체(10A,10B)의 상부측에 전방 고정부(12) 및 후방 고정부(14)를 체결볼트(6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삽입홈(12A,14A)가 상부를 향하도록 결합시킨다.
이러한 과정으로 본체(10)의 상부에 전,후방 고정부(12,14)가 결합되어 프레임의 형태를 이루고 각 지지단(16)에는 바퀴가 결합된 상태에서, 부츠(20)의 앞꿈치부(22)와 뒤꿈치부(24) 저면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26A,26B)를 상기 삽입홈(12A,14A)에 삽입시킨 후 볼트를 이용하여 전,후방 고정부(12,14)와 부츠(20)를 고정시킨다. 상기 돌출부(26A,26B)가 삽입홈(12A,14A)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로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돌출부(26A,26B)는 삽입홈(12A,14A)의 내부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접촉면이 확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후방 고정부(12,14)(프레임)와 부츠(20)의 볼트에 의한 결합구조는 공지의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에 바퀴(30)가 설치되고, 프레임과 부츠(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인라이너가 부츠(20)를 신고 푸쉬 행동을 개시하게 되면, 인라이너의 하중(힘)은 부츠(20)의 돌출부(26A,26B)의 외측면과 긴밀하게 밀착된 삽입홈(12A,14A)의 내측면을 통하여 손실없이 본체(10)에 전달된다.
즉, 전방 고정부(12)와 후방 고정부(14)의 삽입홈(12A,14A)에 부츠(20)의 돌출부(26A,26B)가 밀착되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접촉면(삽입홈의 내측면과 돌출부의 외측면)이 최대한 확장되어 접촉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바퀴(20)에 인엣지 및 아웃엣지가 걸리더라도 그 결합부위(A)에 틈새가 발생되는 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하중이 손실없이 프레임 본체(10)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방 고정부(12)와 후방 고정부(14)를 통하여 좌,우측 본체(10A,10B)에 전달된 하중은 양측의 지지단(16)을 따라 하부로 전달된 후 각각 내측으로 경사진 지지부(18)를 통하여 축(40)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18)는 지지단(16)의 중간부(하부측으로 치우침)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단(16)의 하단부(끝단) 간의 거리는 상단부 간의 거리보다 현저하게 좁은상태가 된다. 따라서, 지지단(16)의 하단부와 축(40)의 접촉지점에서의 회전 모멘트는 상쇄 되면서 전달된 하중이 축(40)의 중심부(1점)에 집중되는 상태가 된다.
결국, 부츠(20)에서 발생된 하중(힘)은 삽입홈(12A,14A)의 내측면과 돌출부(26A,26B)의 외측면이 모두 접촉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손실없이 프레임 본체(10)에 전달되고, 또한 본체(10)의 지지단(16)으로 전달된 하중은 지지부(18)를 통하여 바퀴(30) 축(40)의 중심점에 근접한 위치에 전달되므로 축(40)의 중심점에 집중되어 인라이너의 푸쉬 행동시 발생한 힘이 손실없이 바퀴(30)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프레임은 삽입홈(12A,14A)가 각각 형성된 상기 전방 고정부(12)와 후방 고정부(14)가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다.
이와 같이 상기 전방 고정부(12) 및 후방 고정부(14)가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후방 고정부(12,14)와 본체(10)를 조립시키는 작업이 해소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인라인스케이트용 프레임은 프레임 측의 전,후방 고정부에 는 부츠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긴밀하게 밀착되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지지단에는 하중을 축의 중심에 집중시키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부츠의 돌출부가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그 접촉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비틀림 하중이나 횡하중에 의한 변형이 방지됨은 물론, 하중이 손실없이 프레임에 전달될 수 있으며, 프레임에 전달된 하중이 지지부를 통하여 축의 중심부 1점에 집중되므로 인라이너에 의해 발생된 힘(하중)이 손실없이 바퀴에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3)

  1. 본체(10)의 전방과 후방 상부에 구비되어 부츠(20)의 앞꿈치부(22)와 뒤꿈치부(24) 저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돌출부(26A,26B)와 나사 결합되는 전방 고정부(12) 및 후방 고정부(14); 및
    바퀴(30)가 축(40)으로 설치되도록 상기 본체(10)의 하부로 각각 서로 쌍을 이루어 연장 형성되는 각각의 지지단(16);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고정부(12) 및 후방 고정부(14)에는 상기 돌출부(26)가 긴밀하게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12A,14A)이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단(16)의 중간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진 지지부(1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서로 대칭인 좌측본체(10A)와 우측본체(10B)로 나뉘어 형성되고,
    상기 전방 고정부(12)와 후방 고정부(14)는 본체(10)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체결볼트(60)에 의해 상기 좌측본체(10A)와 우측본체(10B) 사이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고정부(12)와 후방 고정부(14)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KR20-2004-0019954U 2004-07-13 2004-07-13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KR200365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954U KR200365344Y1 (ko) 2004-07-13 2004-07-13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954U KR200365344Y1 (ko) 2004-07-13 2004-07-13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344Y1 true KR200365344Y1 (ko) 2004-10-20

Family

ID=4935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954U KR200365344Y1 (ko) 2004-07-13 2004-07-13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3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424B1 (ko) 직렬식 롤러스케이트
US5810369A (en) Skate chassis having A-frame construction
KR100991453B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65344Y1 (ko)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US20120056390A1 (en) Skate
EP0995469B1 (fr) Châssis de patin en ligne à flasques latéraux indépendants
EP2226104B1 (en) In-line roller skate, in particular racing skate
KR200392485Y1 (ko)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의 하부구조
KR200256799Y1 (ko)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
CA2181212C (en) In-line skate with slotted midsole
KR200348287Y1 (ko)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
KR200376061Y1 (ko) 인라인스케이트의 프레임
KR200192244Y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20667Y1 (ko)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KR200252702Y1 (ko) 양기능 롤러 스케이트
EP0933104A1 (en) Roller skate, particularly for stunts
KR200414590Y1 (ko) 인라인 스케이팅용 바퀴
US20050146099A1 (en) In-line roller skate
JP2002263238A (ja) 特にインラインスケート靴用のフレーム
KR200441917Y1 (ko)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구조
KR200353330Y1 (ko) 인라인스케이트용 프레임
KR950009670Y1 (ko) 롤러 스케이트용 탄성 트럭
US20010005071A1 (en) Frame for skates
KR200445227Y1 (ko) 인라인 스케이트의 마운트 블럭
KR100439745B1 (ko) 조향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