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035Y1 -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 - Google Patents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035Y1
KR200256035Y1 KR2020010025111U KR20010025111U KR200256035Y1 KR 200256035 Y1 KR200256035 Y1 KR 200256035Y1 KR 2020010025111 U KR2020010025111 U KR 2020010025111U KR 20010025111 U KR20010025111 U KR 20010025111U KR 200256035 Y1 KR200256035 Y1 KR 2002560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file box
portable fil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양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영진금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영진금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영진금형
Priority to KR2020010025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0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0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035Y1/ko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에 관한 것으로, 본체(100)의 양쪽 측면 테두리부(110)에는 요철부(111)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편, 커버(200)가 본체(100)의 뒷쪽 테두리면에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메인 커버(210)와, 메인 커버(210)에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 커버(220)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보관홈(A)에 파일 등의 물품들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 필요에 따라서는 파일박스(1) 자체를 독서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Portable file box having the function of the reading-stand}
본 고안은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일이나 기타 물품들을 손쉽게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독서대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된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용 파일박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홈(A)이 형성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어느 한쪽 테두리면에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커버(200)로 구성되어서, 커버개폐기구(300)를 매개로 본체(100)에 커버(200)가 개폐가능하게 고정되는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파일박스(1)의 본체(100)와 커버(200)가 투명한 합성수지류를 재질로 일체 성형되어진 것을 이용하였으며, 본체(100)와 커버(200)에는 각각 체결용 돌기(101,201)를 형성하여, 커버개폐기구(300)의 힌지 고정부(301)가 본체(100)의 체결용 돌기(10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고정되고, 커버개폐기구(300)의 후크부(302)가 커버(200)의 체결용 돌기(201)에 착탈되도록 하였다. 한편, 커버개폐기구(300)는 불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류로 성형되어진 것을 이용하여, 힌지 고정부(301)가 재질의 탄성에 의해서 본체(100)의 체결용 돌기(101)에 압입되어 힌지 고정되고, 후크부(302)가 재질의 탄성에 의해서 커버(200)의 체결용 돌기(201)에 착탈가능하게 맞물리도록 하였다.
종래 휴대용 파일박스(1)의 사용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해 보면, 커버개폐기구(300)의 후크부(302)를 커버(200)의 체결용 돌기(201)로부터 분리시키고, 커버(200)를 상방향으로 열어 젖힌 후, 파일이나 기타 물품들을 본체(100)의 보관홈(A)으로 집어넣어서 이를 보관하거나, 본체(100)의 보관홈(A)에 보관되어진 파일이나 기타 물품들을 끄집어내고, 이후 커버(200)를 하방향으로 젖혀서 본체(100)와 커버(200)의 테두리부분이 상호 접하도록 한 후, 커버개폐기구(300)의 후크부(302)와 커버(200)의 체결용 돌기를 상호 맞물려서, 파일박스(1)가 닫혀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파일박스(1)는, 파일이나 기타 물품들을 보관하는 기능 이외에는 어떠한 추가적인 기능도 갖추고 있지 못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파일이나 기타 물품들을 손쉽게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보편적으로 널리 이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은 커버개폐기구(300)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파일박스(1)를 떨어뜨리게 되면, 고정성이 약한 커버개폐기구(300)가 본체(100)와 커버(200)로부터 분리되어 파일박스(1)가 열려지면서, 파일박스(1)에 보관되어진 보관물이 외부로 쏟아져 나오게 되어, 외부의 이물질들에 의해서 보관물들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능이 보다 다양화되고, 보관물들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일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V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박스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독서대로 사용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W부 및 X부를 각각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Y부 및 Z부를 각각 확대 도시한 요부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박스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파일박스로 사용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 ; 파일박스, 100 ; 본체,
100a,100b ; 체결구멍, 110 ; 측면 테두리부,
110a,110b ; 안착홈, 111 ; 요철부,
111a ; 요부, 111b ; 철부,
120 ; 정면 테두리부, 121a,121b,121c ; 격벽,
122 ; 격벽, 123 ; 유동억제용 돌기,
131a,131b,131c,132,133 ; 격벽, 141,142 ; 커버고정부재,
141a,142a ; 탄성 코드, 141b,142b ; 고정클립,
200 ; 커버, 210 ; 메인 커버,
210a ; 확인창, 211,212,213 ; 격벽,
214 ; 책받침부, 220 ; 보조 커버,
221 ; 정면 테두리부, 221a ; 메인 커버 오픈용 홈,
222 ; 측면 연결부, 223 ; 측면 지지부,
A ; 보관홈, B ; 제1보조 보관홈,
C ; 제2보조 보관홈, D ; 홈,
E ; 보조 커버 오픈용 홈, W ; 접철부,
X ; 접철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파일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홈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어느 한쪽 테두리면에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휴대용 파일박스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정면 테두리부와, 이에 접한 양쪽 측면 테두리부의 일부분이 전후방으로 절개되어서, 본체의 뒷쪽 테두리면에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메인 커버와, 메인 커버에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 커버로 구분되고, 이 커버의 뒷쪽 테두리면에는 외부로 돌출되어진 책받침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본체의 양쪽 측면 테두리부에는 요철부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을 도시하고 있는 바,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파일박스(1)는, 파일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홈(A)이 형성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뒷쪽 테두리면에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커버(200)로 이루어지되, 커버(200)의 정면 테두리부(221)와, 이에 접한 양쪽 측면 테두리부(222,223)의 일부분(223)이 전후방으로 절개되어서, 본체(100)의 뒷쪽 테두리면에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메인 커버(210)와, 메인 커버(210)에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 커버(220)로 구분되고, 이 커버(200)의 뒷쪽 테두리면에는 외부로 돌출되어진 책받침부(214)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본체(100)의 양쪽 측면 테두리부(110)에는 요철부(111)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파일박스(1)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닫혀진 상태의 파일박스(1)를 필요시 열어젖히기 위해서는 커버(200)를 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커버개폐기구가 필요하다. 상기 커버개폐기구로는 공지의 모든 것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커버고정부재(141,142)는, 신축이 자유로운 탄성 코드(141a,142a)와, 탄성 코드(141a,142a)의 양쪽 선단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클립(141b,142b)로 이루어진 커버고정부재(141,142)를 이용하였다. 상기 고정클립(141b,142b)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체결구멍(100a,100b)으로 관통 삽입된 후에 측면 테두리부(110)의 안착홈(110a,110b)에 안착 고정되어, 탄성 코드(141a,142a)가 본체(100)의 저면 외부로 노출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파일박스(1)의 사용예를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파일들을 파일박스(1)에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파일들을 본체(100)의 보관홈(A)에 집어넣고, 메인 커버(210)와 보조 커버(220)를 하방향으로 젖혀 닫은 후, 본체(100)의 저면 외부로 노출된 탄성 코드(141a,142a)를 잡아당겨서 반대방향으로 젖혀 놓으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코드(141a,142a)에 의해서 메인 커버(210)와 보조 커버(220)가 본체(100)에 소정 압력으로 눌려지게 되어, 파일박스(1)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파일들이 안전하게 보관된다.
이와 같이 닫혀진 파일박스(1)를 사용자가 휴대하다가 떨어뜨리더라도, 메인 커버(210)와 보조 커버(220)가 탄성 코드(141a,142a)의 복원력에 의해서 순간적으로 잠시 열져진 후에 다시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보관홈(A)에 보관중인 파일이 외부로 쏟아져 나오지 않게 되어, 외부의 이물질에 의한 파일의 오염이 충분히 방지되고, 이의 파손 또한 가능한 한 억제된다.
반면, 파일박스(1)에 보관중인 파일을 끄집어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닫힌 상태의 파일박스(1)의 탄성 코드(141a,142a)를 잡아당겨서 탄성 코드(141a,142a)가 본체(100)의 저면 외부 위치로 복귀시키고, 메인 커버(210)와 보조 커버(220)를 상방향으로 열어젖힌 후, 본체(100)의 보관홈(A)에 보관중인 파일을 끄집어내면 된다.
한편, 파일박스(1)를 독서대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커버(210)와 보조 커버(220)를 열어 놓은 상태에서, 보조 커버(220)를 하방향으로 젖혀서 이의 정면 테두리부(221)와 양쪽 측면 연결부(222)가 접하는 모서리부분을 본체(100)의 양쪽 측면 테두리부(110)에 형성된 요철부(111)의 요부(111a)에 끼워넣으면, 요부(111a)에 삽입되어진 모서리부분이 철부(111b)에 의해 지지되어서, 메인 커버(210)가 소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커버(210) 외부로 돌출된 책받침부(214)에 책이나 서류를 얹어서 독서대로 이용하면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커버(220)의 정면 테두리부(221)에 의해서개폐되는 보조 보관홈(B,C)을 본체(100)의 정면 테두리부(120)에 형성하면, 펜기구나 지우개 등의 소형 사무용품을 파일과 구분하여 편리하게 보관/이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보관홈(B,C)이 격벽(122)에 의해서 제1·2보조 보관홈(B,C)으로 구획되도록 하면, 이들 보조 보관홈(B,C) 내에 보관되어진 물품들이 좌우방향으로 크게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제1보조 보관홈(B)이나 제2보조 보관홈(C), 또는 제12보조 보관홈(B,C) 모두에 유동억제용 돌기(123)를 형성하면, 보조 보관홈(B,C) 내에 보관되어진 물품들이 전후방향으로 크게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양쪽 측면 테두리부(110)와 정면 테두리부(110)로부터 각각 소정 간격만큼 안쪽으로 이격되어진 위치에 격벽(131a,131b,131c,132,133)을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메인 커버(210)의 정면 및 양쪽 측면 선단에는 격벽(211,212,213)을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해서, 파일박스(1)가 닫혀진 상태에서, 메인 커버(210)의 격벽(211,212,213)이 본체(100)의 격벽(131a,131b,131c,132,133)과, 양쪽 측면 및 정면 테두리부(110,120) 사이의 틈새에 끼워지도록 하면, 보관홈(A)에 보관중인 파일이 혹시라도 본체(100)와 커버(200) 사이의 틈새로 빠져나올 위험이 방지되는 잇점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양쪽 측면 테두리부(110)와 정면 테두리부(120)가 접하는 모서리부분에 보조 커버 오픈용 홈(E)을 형성하면, 닫혀진 상태의 보조 커버(220)를 상방향으로 손쉽게 열어젖힐 수 있게 되는 한편, 상기 보조 커버(220)의 정면 테두리부(221)에 메인 커버 오픈용 홈(221a)을 형성하면, 메인 커버(210)를 상방향으로 손쉽게 열어젖힐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일박스(1)는, 본체(100)와 커버(200)가 투명한 합성수지류를 재질로 일체 성형되어진 것을 이용하였으며, 본체(100)와 커버(200)의 접철부(W)와, 측면 연결부(222)와 측면 지지부(223)의 접철부(X)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커버(200)의 확인창(210a) 부분은 내·외면을 모두 매끄럽게 표면처리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외면은 거칠게 표면처리하였는데, 이와 같이 확인창(210a)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외면을 거칠게 표면처리하면, 비록 재질이 투명재질이라고 하더라도, 보관중인 파일들의 내용을 다른 사람이 쉽게 알아볼 수 없는 잇점이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파일등의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 파일박스 자체를 독서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 코드를 갖춘 커버고정부재를 커버개폐수단으로 이용하게 되면, 보관품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1)

  1. 파일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홈(A)이 형성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어느 한쪽 테두리면에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커버(200)로 이루어진 휴대용 파일박스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의 정면 테두리부(221)와, 이에 접한 양쪽 측면 테두리부(222,223)의 일부분(223)이 전후방으로 절개되어서, 본체(100)의 뒷쪽 테두리면에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메인 커버(210)와, 메인 커버(210)에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 커버(220)로 구분되고, 이 커버(200)의 뒷쪽 테두리면에는 외부로 돌출되어진 책받침부(214)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본체(100)의 양쪽 측면 테두리부(110)에는 요철부(111)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 커버고정부재(141,142)가 구비되어, 이 커버고정부재(141,142)를 매개로 커버(200)가 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고정부재(141,142)는, 신축이 자유로운 탄성 코드(141a,142a)와, 탄성 코드(141a,142a)의 양쪽 선단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클립(141b,142b)로 이루어지되, 탄성 코드(141a,142a)가 본체(100)의 저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클립(141b,142b)이 본체(100)의 체결구멍(100a,100b)으로 관통 삽입되어서 측면 테두리부(110)의 안착홈(110a,110b)에 안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정면 테두리부(120)에는 보조 커버(220)의 정면 테두리부(221)에 의해서 개폐되는 보조 보관홈(B,C)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보관홈(B,C)이 격벽(122)에 의해서 제1·2보조 보관홈(B,C)으로 구획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보조 보관홈(B,C)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면에 유동억제용 돌기(123)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양쪽 측면 테두리부(110)와 정면 테두리부(110)로부터 각각 소정 간격만큼 안쪽으로 이격되어진 위치에 격벽(131a,131b,131c,132,133)이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 커버(210)의 정면 및 양쪽 측면 선단에는 격벽(211,212,213)이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파일박스(1)가 닫혀진 상태에서, 메인 커버(210)의 격벽(211,212,213)이 본체(100)의 격벽(131a,131b,131c,132,133)과, 양쪽 측면 및 정면 테두리부(110,120) 사이의 틈새에 끼워지도록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양쪽 측면 테두리부(110)와 정면 테두리부(120)가 접하는 모서리부분에는 보조 커버 오픈용 홈(E)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커버(220)의 정면 테두리부(221)에는 메인 커버 오픈용 홈(221a)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
  10.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와 커버(200)가 투명한 합성수지류를 재질로 일체 성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의 확인창(210a) 부분은 내·외면이 모두 매끄럽게 표면처리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외면은 거칠게 표면처리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
KR2020010025111U 2001-08-20 2001-08-20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 KR2002560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111U KR200256035Y1 (ko) 2001-08-20 2001-08-20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111U KR200256035Y1 (ko) 2001-08-20 2001-08-20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035Y1 true KR200256035Y1 (ko) 2001-12-13

Family

ID=7310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111U KR200256035Y1 (ko) 2001-08-20 2001-08-20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0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4074A1 (en) * 2004-08-02 2006-02-09 Sang-Hoon Rha A reading desk functioning as file ca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4074A1 (en) * 2004-08-02 2006-02-09 Sang-Hoon Rha A reading desk functioning as file 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8466A (ko) 액티비티 센터
KR200256035Y1 (ko)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
KR890009734A (ko) 다목적 콘테이너
JP4781683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6948715B2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収納ケース
US6000537A (en) Housing with readable side walls for a disc-shaped information carrier
KR200378562Y1 (ko) 뚜껑이 구비된 절첩식 상자
KR101021196B1 (ko) 수납 케이스
KR200260070Y1 (ko) 인덱스 클리어 파일
JP6725630B2 (ja) ケース
JP6424017B2 (ja) 連結箱、及びこれを備える包装用容器
JPH01198396A (ja) ファイルボックス
JP2005185723A (ja) ブックスタンド兼用書類フォルダー
KR200311429Y1 (ko) 절첩식 개폐뚜껑을 갖는 수납함
JP2591501Y2 (ja) 精密機器用収納ケース
KR102326584B1 (ko) 접이식 커버가 구비된 위생 종이상자
KR200171811Y1 (ko) 서류 홀더
JP4346435B2 (ja) 家具用部材、家具
KR200255477Y1 (ko) 경사 지지대를 가진 스탠드
KR0123394Y1 (ko) 카세트테이프 상자
JP2000158864A (ja) 書類保管箱
JP2515702Y2 (ja) ファイリング具の差し込み構造
JP3065984U (ja) 書類ホルダ―
JP2007160636A (ja) 収容箱
JPH08140769A (ja) 引き出しの仕切り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