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759Y1 -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759Y1
KR200255759Y1 KR2020010024609U KR20010024609U KR200255759Y1 KR 200255759 Y1 KR200255759 Y1 KR 200255759Y1 KR 2020010024609 U KR2020010024609 U KR 2020010024609U KR 20010024609 U KR20010024609 U KR 20010024609U KR 200255759 Y1 KR200255759 Y1 KR 2002557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door
button
vehicle
but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김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진 filed Critical 김우진
Priority to KR2020010024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7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759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외부에서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를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해제할 수 있도록 하되, 두 개의 버튼으로 다수 조합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다른 사람이 쉽게 비밀번호를 알지 못하도록 하여 차량의 도난으로부터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잠금 해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키 또는 기타장치 등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장치에 있어서, 운전자측 도어 외부 일측에 구성되어 다수 조합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두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비밀번호 입력부와, 상기 두 개의 버튼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비밀번호를 비교하고 판단하는 제어부와,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액추에이터와,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의하여 도어의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동작을 하는 잠금 해제부를 구성하여, 키를 분실하였거나, 차내에 두고 내렸을 경우 등, 키 또는 기타장치 등의 정상적인 도어 잠금 해제수단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도난의 방지와 함께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게 한,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장치.{A Unlock Device For Door Of Automobile}
본 고안은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 또는 기타장치 등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장치에 있어서, 차내에 두고 내렸거나 분실하였을 경우와 같이, 키 또는 기타 장치 등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도어를 열고자 할 때, 차량의 외측에 구성하여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하되, 다수 조합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두 개의 버튼을 구성하여 다른 사람이 쉽게 비밀번호를 알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도난으로부터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한,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된 도어 잠금 해제장치는 도난, 침입 방지를 주목적으로 하는 특수성 때문에 보안, 안전성을 추구하는 차원에서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근래에는 키를 사용하는 외에도 무선 송수신장치, 카드판독 등에 의한 잠금 해제수단 등의 기술이 공지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단은 키 등을 분실하거나, 차내에 두고 내렸을 경우, 또는 기타의 경우 등 정상적인 수단을 사용할 수가 없는 경우에, 부득이 유리문틈 사이로 와이어 등 비정상적인 도구를 집어넣어 도어를 열거나, 서비스 요원을 불러서 열게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거기다가 이런 방법들은 종종 면식범들에 의한 차내 침입과 도난사고 등으로 이어져왔다.
따라서 차량의 도어가 잠겨 있을 때, 키 또는 기타 정상적인 잠금 해제수단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용이하되, 다른 사람에게는 난해한 잠금 해제방식이 요구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첫째, 차량의 운전자가 쉽게 외울 수 있도록 비밀번호 방식을 취하고,
둘째, 비밀번호 설정과 변경은 내부에서 용이하게 이뤄지게 하고, 도어의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 입력은 차량의 외부에서 이뤄져야 하며,
셋째, 도어 잠금 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 입력장치는 도어 외측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외관상으로 또는 구조상으로 가능한 한 단순하여야 하고,
넷째, 비밀번호 조합은 다른 사람이 알지 못하도록 가능한 한 많은 조합이 가능하여야 한다.
또한 이 방법이 효과를 보려면 도어 본체 내부의 개폐장치 주요 구성부품과 이에 연결되는 부품을 비정상적인 도구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의하여 도어 외측에 구성한 비밀번호 입력버튼의 구성 예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 잠금 해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제 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 잠금 해제 장치의 블록도.
제 4도는 비밀번호 입력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제 5도는 비밀번호 입력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핸들부 2 : 키홀더
3 : 비밀번호 입력부 3a, 3b : 비밀번호 입력버튼
4 : 제어부 5 : 전원부
6 : 비밀번호 설정부 7 : 디스플레이
8 : 메모리 9 : 액추에이터
10 : 잠금해제부
이러한 점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제 1도와 같이 외부 도어핸들(1) 일측에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두 개의 버튼(3a, 3b)이 구성되며, 상기 버튼의 비밀번호 입력방식은, 다음의 두 가지 방식을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제 4도와 같이, 한쪽 버튼(3a)은 숫자버튼, 다른 쪽 버튼(3b)은 입력버튼으로 사용하여, 한쪽 버튼(3a)을 임의의 수(n)만큼 누르고, 다른 버튼(3b)을 한번 누르면, 디스플레이에 첫 번째 숫자『n』이 생성되고, 다시 먼저의 숫자버튼(3a)을 또 다른 임의의 수(n′)만큼 누르고, 입력버튼(3b)을 한번 누르면 두 번째 숫자『n′』가 생성되는 방식으로, 여러 자릿수까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제 5도와 같은 방식으로, 한쪽버튼(3a)을 임의의 수만큼(n회) 누르면, 제어부(4)의 디스플레이(7)에 첫 번째 숫자 『n』이 생성되고, 또 다른 버튼(3b)을 임의의 수(n′)만큼 누르면 디스플레이(7)에 다음 숫자 『n′ 』가 생성되며, 이것을 교대로 여러 번 하게 되면, 2자릿수 이상의 여러 자릿수까지도 입력이 가능한 것이다.
비밀번호는 사전에 차내에서 제어부(4)에 연결 구성된 비밀번호 설정부(6) 버튼으로 디스플레이(7)를 보면서 상기와 같은 방식을 선택 채용하여 미리 설정하거나 변경하여 메모리(8)에 저장해 두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제 2도와 같은 방식으로, 비밀번호를 사전에 설정 또는 변경한 후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 외부에서 비밀번호의 입력을 받아 제어부(4)의 인가를 거쳐, 틀릴 경우 대기모드로 되어 비밀번호 입력부(3)가 일정시간(n초) 작동되지 않게 하고,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며, 외부에서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맞을 경우 제어부(4)의 제어동작에 따라, 전원부(5)의 전원을 받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9)와 상기 액추에이터(9)의 구동에 따라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을 하는 잠금해제부(10)로 구성된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장치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내의 제어부(4)에서 다섯자리수인 '42567'를 비밀번호로 입력 설정한경우에,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자 외부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할 경우, 먼저 숫자버튼(3a)을 연속적으로 4회 누르고, 입력버튼(3b)을 1회 눌러 첫 번째 자리를, 다시 숫자버튼(3a)을 2회 누르고 입력버튼(3b)을 1회 눌러 두 번째 자리를, 다시 숫자버튼(3a)을 5회 누르고 입력버튼(3b) 1회, 다시 숫자버튼(3a) 6회 누르고 입력버튼(3b) 1회, 다시 숫자버튼(3a) 7회 누르고 입력버튼(3b) 1회를 눌러 비밀번호 입력을 완료한다.
이렇게 하여 비밀번호가 제어부(4)의 메모리(8)에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맞으면 제어부(8)의 인가를 받아 액추에에터(9)가 구동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디스플레이(7)에 '42567'이 표시가 되고 평상시에는 표시가 되지 않다가 설정버튼(6b)을 눌러서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차내에서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어 외부에서 차를 열고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던 방법과 같은 방식으로, 두 개의 버튼을 숫자버튼(6a: 도시되지 않음)과 입력버튼(6b: 도시되지 않음)으로 사용하는 방식과;
또 다른 방법 즉, 왼쪽버튼(6a)을 4회, 오른쪽 버튼(6b)을 2회, 다시 왼쪽버튼(6a)을 5회, 다시 오른쪽 버튼(6b)을 6회, 다시 왼쪽버튼(6a)을 7회 누르고, n초 이내 추가 입력이 없으면 입력완료로 간주 제어부(4)에서 메모리(8)에 비밀번호로 설정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비밀번호를 세자릿수 내지는 네자릿수 등으로 하였다면 비밀번호 입력은 한결 단순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외우기도 한결 쉬워지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원하는 자릿수만큼 운전자 임의대로 정하고, 또 변경할 수 있으므로, 조합이 더 늘어나게 됨으로써 타인이 비밀번호를 알고자 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키 또는 기타장치 등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장치에 있어서, 차내에 두고 내렸거나, 분실하였을 경우와 같이, 키 또는 기타 장치 등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도어를 열고자 할 때, 도어 외부에 구성된 두 개의 버튼만으로 손쉽게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열 수 있게 하되. 다른 사람은 쉽게 비밀번호를 알지 못하도록 비밀번호 입력키를 2개만 사용함으로써, 지문 등의 흔적을 남기지 않도록 하여, 지문이 묻어있는 부위를 판별하여 도어를 열려는 행위를 방지하며, 또한 종래에 도어의 유리틈을 통해 평철이나 갈고리, 와이어등의 비정상적인 도구를 침투시켜 열고자 하는 등, 인위적으로 도어를 열고자 하는 방법을 원천봉쇄하여 도난 또는 침입으로부터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차량의 키 또는 기타장치 등을 이용한 도어의 잠금 해제장치에 있어서 외부도어의 일측에 구성되어 2개의 버튼으로 다수조합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비밀번호 입력부와, 상기 두 개의 버튼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비밀번호를 비교하고 판단하는 제어부와,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비밀번호를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는 비밀번호 설정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따라 도어의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잠금 해제부로 구성된,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2개의 버튼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은 제4도와 같이, 한쪽 버튼(3a)은 숫자버튼, 다른 쪽 버튼(3b)은 입력버튼으로 사용하여, 한쪽 버튼(3a)을 임의의 수(n)만큼 누르고, 다른 버튼(3b)을 한번 누르면, 디스플레이에 첫 번째 숫자『n』이 생성되고, 다시 먼저의 숫자버튼(3a)을 또 다른 임의의 수(n′)만큼 누르고, 입력버튼(3b)을 한번 누르면 두 번째 숫자 『n′』가 생성되며 이것을 반복적으로 하는 방식과, 제 5도와 같은 방식으로, 한쪽버튼(3a)을 임의의 수만큼(n회) 누르면, 제어부(4)의 디스플레이(7)에 첫 번째 숫자 『n』이 생성되고, 또 다른 버튼(3b)을 임의의 수(n′)만큼 누르면 디스플레이(7)에 다음 숫자 『n′』가 생성되며, 이것을 반복하여 여러 자릿수까지 입력이 가능한 방법을 선택 채용하되, 비밀번호의 설정은 사전에 차내에서 제어부(4)에 연결 구성된 비밀번호 설정부(6) 버튼으로 디스플레이(7)를 보면서 상기와 같은 방식을 선택 채용하여 미리 설정하거나 변경하여 메모리(8)에 저장할 수 있게 한,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장치.
KR2020010024609U 2001-08-13 2001-08-13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장치. KR200255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609U KR200255759Y1 (ko) 2001-08-13 2001-08-13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609U KR200255759Y1 (ko) 2001-08-13 2001-08-13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204A Division KR20010070811A (ko) 2001-06-08 2001-06-08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759Y1 true KR200255759Y1 (ko) 2001-12-13

Family

ID=7310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609U KR200255759Y1 (ko) 2001-08-13 2001-08-13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7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6492B1 (en) Keyless entry system
US6127922A (en) Vehicle security system with remote systems control
US7148790B2 (en) System for controlling a valet mode of a vehicle
US20030117261A1 (en) Universal transmitter for controlling multiple keyless entry systems
JPH11264268A (ja) 安全システムの動作方法
WO2001025572A1 (en) Vehicle access system including an electronic key and a valet mode of operation
KR20040021550A (ko) 차량, 특히 자동차용 키리스 로킹 시스템
EP0542906A1 (en) Remote programming of vehicle functions
KR200255759Y1 (ko)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장치.
EP1101670A2 (en) Intelligent valet key
KR20010070811A (ko)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장치.
US20110241829A1 (en) Remote keyless entry device
JP2823447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EP1218228A1 (en) Exterior mounted access device control for a vehicle passive entry system
JPS5865879A (ja) 自動車用電子ロツク
KR100569190B1 (ko) 키 레벨인식 기능을 갖는 이모빌라이저 장치
KR101039895B1 (ko) 차량용 리모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0171780B1 (ko) 자동차의 도어 잠금 장치
KR100535061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고가품 도난 방지장치 및 방법
KR100811756B1 (ko) 차량의 도어 언록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H0452364Y2 (ko)
KR960005227Y1 (ko) 방범용 키이 패드 도어 록킹장치
KR101212428B1 (ko) 도난방지 옵션 변경 기능을 가지는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46239Y1 (ko) 음성합성을 이용한 키 잠금장치
RU2364533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