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538Y1 - 배관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배관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538Y1
KR200255538Y1 KR2020010026086U KR20010026086U KR200255538Y1 KR 200255538 Y1 KR200255538 Y1 KR 200255538Y1 KR 2020010026086 U KR2020010026086 U KR 2020010026086U KR 20010026086 U KR20010026086 U KR 20010026086U KR 200255538 Y1 KR200255538 Y1 KR 200255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pipe
bracket
fixing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남
Original Assignee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6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5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538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 배관 등을 벽 등의 평면 고정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파이프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벽 또는 철골과 같은 고정체에 고정되는 브라켓(12)과; 가스공급배관(1) 등을 상기 브라켓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볼트를 사용하여 상기 브라켓 상에 체결될 수 있는 크램프(6)로 구성되는 배관 고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크램프(6)는 판형상으로서 일측은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크램프의 타측은 고정될 배관의 직각방향으로 상기 브라켓 상에 형성되는 장방형의 크램프 끼움홈(14)과, 상기 크램프의 타측 단부가 상기 크램프 끼움홈에 맞춰 끼워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크램프의 타측 단부에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확장 형성되는 걸림부재(6a)에 의한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 고정기구{Apparatus for fixing a pipe line}
본 고안은 크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 배관을 벽 등의 평면 고정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파이프 설치용 크램프에 관한 것이다.
도시가스의 보급을 위해 가정마다 가스배관이 설치된다. 가스배관은 분배관으로부터 각 건물의 벽을 따라 가정의 가스사용 장소까지 연결되곤 한다. 그러므로 건물의 곳곳에는 배관을 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제공된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크램프(2) 및 브라켓(4)으로 구성되는 형식이 일반적이다.
설치작업자는 브라켓(4)을 벽면의 일정 개소에 고정시키고 배관(1)을 그 브라켓 상에 설치한 후, U크램프, 와셔 및 너트를 사용하여 배관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배관 고정수단에 의한 배관설치작업은 보통 2개의 너트를 채워야 하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이프 또는 가스배관 등을 벽 등의 고정체에 용이하게 설치 고정할 수 있게 하는 파이프 고정용 크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U크램프 방식의 배관고정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기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방향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배관 6 ; 크램프
12 ; 브라켓 6a ; 걸림부재
14 ; 크램프 끼움홈 16a,16b ; 나사구멍
위와 같은 목적은, 벽 또는 철골과 같은 고정체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가스공급배관 등을 상기 브라켓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볼트를 사용하여 상기 브라켓 상에 체결될 수 있는 크램프로 구성되는 배관 고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크램프의 일측은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크램프의 타측은 고정될 배관의 직각방향으로 상기 브라켓 상에 형성되는 장방형의 크램프 끼움홈과, 상기 크램프의 타측 단부가 상기 크램프 끼움홈에 맞춰 끼워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크램프의 타측 단부에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확장 형성되는 걸림부재에 의한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각기 다른 직경의 배관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 상에 형성되는 나사구멍은 나란히 2개 이상으로 제공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기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방향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브라켓(12)은 벽면 또는 철골 기타 고정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브라켓의 양단은 볼트(18) 등을 체결하기 위한 나사구멍이 형성된다. 배관은 브라켓의 상면에 얹혀진 상태로 크램프의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크램프의 일측은 나사결합에 의해 브라켓에 체결되며, 타측은 고리형태로 끼움홈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브라켓(12)의 상면 치우진 위치에는 고정될 배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장방형의 크램프 끼움홈(14)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램프(6)는 원형으로 만곡된 얇은 판형상의 금속재로서 약간의 탄성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볼록부위가 형성되어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형상이다.
또한, 크램프의 타측 단부에는 크램프 끼움홈(14)과 직각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걸림부재(6a)가 일체로 형성된다. 걸림부재와 크램프 본체와의 연결부위는 잘록하게 되어 있다. 잘록한 부위의 폭은 인장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정도를 조건으로 하여 크램프 끼움홈(14)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나치게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사용자는 크램프의 방향을 달리하여 크램프 끼움홈에 끼운후 정상위치로 다시 회전시킴으로써 크램프의 타측을 브라켓에 결합시킬 수 있을 것이다. 크램프의 일측은 배관을 안착시킨 후 볼트(8)를 조임으로써 배관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은 3개의 배관을 나란히 고정시킬 수 있는 형식일 수 있다. 즉, 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3개의 크램프 끼움홈(14)과 3쌍의 나사구멍(16a,16b)이 각각 형성된다. 크램프는 이해의 편이를 위해 단지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다소 큰 직경을 가지는 배관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나사구멍(16a,16b)을 나란히 2개 형성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나사부가 탭가공에 의해 브라켓 자체에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예를 들면 브라켓 저면에 용접 등에 의해 나사를 고정시킬 수 있을것이다.
볼트가 통과되는 크램프의 일단에 형성되는 볼트관통구멍(6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직경의 배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된다. 볼트는 풀림방지를 위해 와셔(10)와 함께 체결된다. 또한 풀림방지를 위한 로크너트(도시생략)가 볼트(8)에 더욱 결합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사항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당업자는 개시된 내용으로부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는 보다 용이하게 배관 설치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품이 단순화되어 제작비용에 있어서도 유익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직경의 배관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3)

  1. 벽 또는 철골과 같은 고정체에 고정되는 브라켓(12)과; 가스공급배관(1) 등을 상기 브라켓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볼트를 사용하여 상기 브라켓 상에 체결될 수 있는 크램프(6)로 구성되는 배관 고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크램프(6)는 원형으로 만곡된 기다란 판형상으로서 일측은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크램프의 타측은 고정될 배관의 직각방향으로 상기 브라켓 상에 형성되는 장방형의 크램프 끼움홈(14)과, 상기 크램프의 타측 단부가 상기 크램프 끼움홈에 맞춰 끼워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크램프의 타측 단부에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확장 형성되는 걸림부재(6a)에 의한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램프와 브라켓을 볼트에 의해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크램프에 형성되는 볼트관통구멍(6b)은 배관의 설치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기다란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램프와 브라켓을 볼트에 의해 나사결합시키기 위해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는 나사구멍(16a,16b)은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기구.
KR2020010026086U 2001-08-28 2001-08-28 배관 고정기구 KR200255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086U KR200255538Y1 (ko) 2001-08-28 2001-08-28 배관 고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086U KR200255538Y1 (ko) 2001-08-28 2001-08-28 배관 고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538Y1 true KR200255538Y1 (ko) 2001-12-13

Family

ID=7306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086U KR200255538Y1 (ko) 2001-08-28 2001-08-28 배관 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5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66452A1 (ja) 管継手ロック装置
US20130071179A1 (en) Fastening Device for Attachment to a Mounting Rail
KR20040053316A (ko)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및 너트체
US6679460B2 (en) Pipe clamp arrangement
JPH05214749A (ja) カランの取付構造
KR101956557B1 (ko) 건축용 파이프 고정장치
KR101766601B1 (ko) 파이프용 지지장치
KR200255538Y1 (ko) 배관 고정기구
EP2156083B1 (en) Clamp for suspending a pipe
JP5096243B2 (ja) 配設体の支持具
JP4851490B2 (ja) 配設体の支持具
JP2003106478A (ja) 管路における不平均力の支持装置
JP5439094B2 (ja) ボルト体への取着体及びナット体
KR200329381Y1 (ko) 배관 연결용 커플링
CA2189103C (en) Plastic valve with inlet conduit extension
JP4676351B2 (ja) 配管類固定具
JPH0640689Y2 (ja) 水栓等の取付装置
US7806375B1 (en) Retaining key
JPH04347085A (ja) 配管支持具
JP2010190331A (ja) 固定具
JP3240670U (ja) 固定具
JPH11193883A (ja) 配管保持装置
KR200382039Y1 (ko) 배관의 연결밴드
KR200394793Y1 (ko) 착탈식 고정부재
KR0138743Y1 (ko) 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