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361Y1 -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361Y1
KR200255361Y1 KR2020010019913U KR20010019913U KR200255361Y1 KR 200255361 Y1 KR200255361 Y1 KR 200255361Y1 KR 2020010019913 U KR2020010019913 U KR 2020010019913U KR 20010019913 U KR20010019913 U KR 20010019913U KR 200255361 Y1 KR200255361 Y1 KR 200255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binet
crt
bracket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길
황광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9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3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361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10)과 캐비닛(20) 결합구조는, 캐비닛(20)의 전면 내측으로부터 브라운관(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프레임(22)과, 캐비닛(20)의 전면이 브라운관(10)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프레임(22)에 설치된 상태에서 프레임(22)을 인장하는 브라켓(30)을 포함한다. 브라켓(30)에는 동일 평면상에 복수의 나사 관통공(31)이 형성되고, 프레임(22)에는 나사 관통공(31)에 대응하는 나사 체결공(23)을 갖는 복수의 보스부(24)가 형성되며, 이 보스부(24)들 중 일부가 브라켓(30)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프레임(22)은 그 일부가 함몰된 형상을 가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캐비닛(20)의 전면이 탄성 변형되어 브라운관(10)의 전면을 지속적으로 가압하게 함으로써, 온도 등 주위 환경이 급격히 변화되거나,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브라운관(10)과 캐비닛(20)의 접합부분에 틈새가 벌어질 염려가 없다.

Description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Structure for coupling CRT with cabinet}
본 고안은 브라운관(CRT)과 캐비닛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운관과 캐비닛의 접합부분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브라운관과 캐비닛을 밀착 결합하는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등의 화상표시장치로 사용되는 브라운관은 캐비닛에 장착되며, 캐비닛은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플라스틱은 그 재료의 특성으로 인하여, 텔레비전에서 발생되는 열이나 장기적인 사용에 따른 스트레스에 취약하여 쉽게 변형된다. 따라서, 텔레비전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캐비닛이 변형되어 브라운관과 캐비닛의 접합부분에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아니라, 텔레비전의 내부에 이물질이 침투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브라운관과 캐비닛 사이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브라운관과 캐비닛의 결합구조가 고안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운관(1)의 네 귀퉁이에는 관통공(2a)을 갖는 결합편(2)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캐비닛(3)의 내측에는 결합편(2)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스(4)가 형성되어 있다. 브라운관(1)을 캐비닛(3)에 장착한 상태에서 관통공(2a)을 통하여 보스(4)에 볼트(미도시)를 체결함으로써, 브라운관(1)과 캐비닛(3)이 결합된다.
한편, 브라운관(1)의 전면 테두리와, 이에 접하는 캐비닛(3) 내면 사이에는 4개의 양면테이프(5)가 부착되어, 브라운관(1)과 캐비닛(3)의 접합부위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막게된다. 따라서, 양면테이프(5)를 사용하는 구조에서는, 양면테이프(5)를 먼저 캐비닛(3)의 내면에 부착한 후에 브라운관(5)을 캐비닛(3)에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양면테이프(5)를 캐비닛(3)에 부착할 때 양면테이프(5)가 구겨지는 등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 시에는 양면테이프(5)의 접착력이 저하됨으로써 브라운관(1)과 캐비닛(3) 사이가 벌어질 수가 있으므로 신뢰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브라운관의 수리 등이 필요한 경우 양면테이프(5)를 제거한 후 재조립시 다시 브라운관(1)과 캐비닛(3) 사이에 새로운 양면테이프를 붙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성이 용이하며 장기간 사용 시에도 브라운관과 캐비닛의 접합부분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브라운관과 캐비닛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브라운관과 캐비닛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브라켓을 프레임에 결합한 상태를 발췌하여 보인 일부 절개 평면도.
도 4는 도 2의 브라운관과 캐비닛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I-I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에서 브라켓을 프레임에 결합한 상태를 발췌하여 보인 일부 절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브라운관 20 : 캐비닛
22 : 프레임 23 : 나사 관통공
24 : 보스부 30 : 브라켓
31 : 나사체결공 32 : 나사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캐비닛의 전면 내측으로부터 브라운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이 상기 브라운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을 인장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에는 동일 평면상에 복수의 나사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나사 관통공에 대응하는 나사 체결공을 갖는 복수의 보스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보스부는 상기 브라켓이 상기 프레임에결합될 때 상기 브라켓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스부들 중 일부가 상기 브라켓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는 것은, 상기 보스부들이 상기 프레임의 상기 브라켓과의 결합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결합면은 그 일부가 함몰된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가능해진다.
또는, 상기 보스부들 중 일부가 상기 브라켓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는 것은, 상기 보스부들이 상기 프레임의 브라켓과의 결합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보스부는 다른 보스부들보다 돌출높이가 낮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브라운관과 캐비닛의 결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운관(10)의 네 귀퉁이에는 관통공(11)을 갖는 결합편(12)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캐비닛(20)의 내측에는 결합편(12)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용 보스(21)가 형성되어 있다. 브라운관(10)의 전면과 접촉하게 되는 캐비닛(20)의 전면 내측에는, 브라운관(10)의 외곽을 지지하도록 사각형의 프레임(2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22)은 플라스틱 재료로서 캐비닛(20) 일체로 형성된다.
도면부호 30은 프레임(22)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브라켓을 나타낸다. 이브라켓(30)은 'ㄷ' 채널 형상의 강재(Steel)로 형성되며, 프레임(22)의 단부와 접하는 면에는 복수의 나사 관통공(31)이 소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2)의 하부는 그 중앙부분이 소정 깊이(δ) 만큼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프레임(22)의 하부 단부에는 나사 체결공(23)을 갖는 복수의 보스부(24)들이 브라켓(30)의 나사 관통공(31)에 대응하여 소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형성된다. 브라켓(30)은 나사 관통공(31)을 통하여 보스부(24)의 나사 체결공(23)에 나사(32)가 체결됨으로써 프레임(22)에 결합된다.
이상과 같은 결합구조에서, 브라운관(10)을 프레임(22)에 장착한 상태에서 관통공(11)을 통하여 결합용 보스(21)에 볼트(13)를 체결함으로써, 브라운관(10)이 캐비닛(20)에 결합된다.
한편, 브라켓(30)과 접하는 프레임(22)의 단부는 그 중앙부분이 함몰되어 있으므로, 브라켓(30)이 프레임(22)에 결합되더라도 그 중앙부의 함몰된 부분은 브라켓(30)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나, 함몰된 중앙부분의 보스부(24)에 체결된 나사(32)를 끝까지 조이면, 나사(32)의 체결력에 의해 프레임(22)의 함몰된 중앙부는 브라켓(30)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브라켓(30)의 내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프레임(22)이 변형되는 이유는, 브라켓(30)은 변형이 거의 되지 않는 강재인 반면에, 프레임(22)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플라스틱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2)의 중앙부가 변형되면, 이 프레임(22) 중앙부에 수직한 캐비닛(20)의 전면도 점선으로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브라운관(10)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브라운관(10)이 볼트(13)에 의해 캐비닛(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캐비닛(20)의 전면이 브라운관(10)의 전면을 계속해서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브라운관(10)과 캐비닛(20)은 완전히 밀착되어 그들 사이의 접합부분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브라운관과 캐비닛의 결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22')을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고, 보스부(24')를 프레임(22')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한다는 점에서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브라켓(30)의 내면은 프레임(22')의 단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보스부(24')의 끝단과 접촉하게 된다.
프레임(22')의 중앙부에 위치한 3개의 보스부(24')는 양측에 위치한 보스부(24')들보다 돌출높이가 소정 높이(δ)만큼 낮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의 소정 높이(δ)는 약 0.5mm 정도인 것이 적당하다. 따라서, 브라켓(30)을 프레임(22')에 나사(32)로 체결할 때, 프레임(22')의 중앙부는 0.5 mm만큼 브라켓(30) 방향으로 변형되며, 이 프레임(22') 중앙부에 수직한 캐비닛(20) 전면도 브라운관(10)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도 4 참조).
즉, 본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캐비닛(20)의 전면이 브라운관(10)의 전면을 계속해서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브라운관(10)과 캐비닛(20)은 완전히 밀착되어 그들 사이의 접합부분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캐비닛(20)의 전면이 탄성 변형되어 브라운관(10)의 전면을 지속적으로 가압하게 함으로써, 온도 등 주위 환경이 급격히 변화되거나,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브라운관(10)과 캐비닛(20)의 접합부분에 틈새가 벌어질 염려가 없어 텔레비전 등의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브라켓(30)을 프레임(22)에 나사(32)로 체결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캐비닛(20)의 탄성변형을 유도하므로, 텔레비전 등의 수리를 위하여 브라운관(10)과 캐비닛(20)을 분해ㆍ조립할 때 작업이 용이하며, 텔레비전 등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예로서, 본 실시예들에서는 브라켓(30)을 프레임(22)의 하부에 설치한 것을 개시하였으나, 브라켓(30)은 프레임(22)의 상하 또는 좌우 중 어디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상하 및 좌우 네군데 모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서는 프레임(22)의 중앙부분을 함몰된 형상으로 하거나, 프레임(22')의 중앙부에 위치한 보스부(24')의 돌출높이를 낮게 한 구성을 개시하였으나, 프레임(22)의 좌우측을 함몰된 형상으로 하거나, 좌우측의 보스부(24')의 돌출높이를 중앙부의 보스부(24')의 돌출높이보다 낮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브라운관과, 상기 브라운관의 전면 외주를 감싸는 캐비닛을 결합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 내측으로부터 상기 브라운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캐비닛의 전면이 상기 브라운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을 인장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동일 평면상에 복수의 나사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나사 관통공에 대응하는 나사 체결공을 갖는 복수의 보스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보스부는 상기 브라켓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때 상기 브라켓과 소정 간격 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들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브라켓과의 결합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결합면은 그 일부가 함몰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결합면은 중앙부분이 함몰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들은 상기 프레임의 브라켓과의 결합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보스부는 다른 보스부들보다 돌출높이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에 형성된 보스부가 양측에 형성된 다른 보스부들에 비해 소정 높이만큼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ㄷ 채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이 상기 브라켓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
KR2020010019913U 2001-07-02 2001-07-02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 KR200255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913U KR200255361Y1 (ko) 2001-07-02 2001-07-02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913U KR200255361Y1 (ko) 2001-07-02 2001-07-02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361Y1 true KR200255361Y1 (ko) 2001-12-13

Family

ID=73104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913U KR200255361Y1 (ko) 2001-07-02 2001-07-02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3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847A (ko) * 2001-12-29 2003-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 장치
KR102655018B1 (ko) * 2022-10-11 2024-04-05 주식회사 토비스 들뜸 방지 백 커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847A (ko) * 2001-12-29 2003-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 장치
KR102655018B1 (ko) * 2022-10-11 2024-04-05 주식회사 토비스 들뜸 방지 백 커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79283A (ja) 液晶表示装置
US11272635B2 (en) Frame and electronic frame
KR200255361Y1 (ko)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
KR100224305B1 (ko) 브라운관과 프론트 케이스간의 사이뜸 방지구조를 가진 crt 화상표시장치
US5838534A (en) Electronic appliance having an easy to disassemble fastener cap
CA2053802C (en) Television receiver with deformable cabinet front window for compensating for assembly variation
CN112956285B (zh) 后壳组件与显示装置
JPH0851287A (ja) モニタの主回路基板固定装置
KR200473294Y1 (ko) 연결쇠를 포함하는 등기구 프레임 코너부 결합구조
KR100492145B1 (ko) 액정표시장치
JPH09297550A (ja) 表示パネル額縁の組立構造
JPH0422200Y2 (ko)
JP2555006Y2 (ja) 天板のエッジ材の止着構造
US20070201190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nsulating cap
KR0114103Y1 (ko) 모니터의 메인회로기판 고정장치
KR0138551Y1 (ko) 전면 패널 고정장치
KR200332577Y1 (ko) 내구재 결합용 브라켓
KR20000009062U (ko) 위성방송수신기의 메인pcb 체결장치
KR0116704Y1 (ko) 모니터용 전자파차단휠터의 휠터판결합구조
CN117694747A (zh) 烹饪器具的控制面板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100831295B1 (ko)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
KR200402768Y1 (ko) 창틀용 연결구
KR100651299B1 (ko) 영상표시기기를 위한 백커버 정렬구조
JPH0739019Y2 (ja) 展示装置
KR200142983Y1 (ko)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플레이트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