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7847A - 모니터 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7847A
KR20030057847A KR1020010087938A KR20010087938A KR20030057847A KR 20030057847 A KR20030057847 A KR 20030057847A KR 1020010087938 A KR1020010087938 A KR 1020010087938A KR 20010087938 A KR20010087938 A KR 20010087938A KR 20030057847 A KR20030057847 A KR 20030057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unit
rear cover
spacer
fro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7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7847A/ko
Publication of KR20030057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84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상이 형성되는 유효면과, 상기 유효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지지면을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커버와; 상기 패널의 유효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투시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일 영역에서 상기 패널의 지지면을 접촉지지 하도록 수직 축선에 대해 상기 패널 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각 변으로부터 상기 후방커버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후방커버에 결합되는 스커트부를 갖는 전방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전방커버의 전면부가 패널 측 반대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관이 수려한 모니터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모니터 장치 { Monitor }
본 발명은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커버를 패널 측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더라도 전면부가 패널 측 반대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 장치는 소정의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와, 화상을 형성하는 유효면이 마련된 모니터 본체와, 베이스부재와 모니터 본체를 상호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휴대용 컴퓨터의 경우, 모니터 장치의 베이스부재는 컴퓨터 본체에 해당되며, 모니터 본체는 LCD 조립체로 말할 수 있다. 또한, 링크부재는 컴퓨터 본체와 LCD 조립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부재에 해당된다.
종래의 모니터 본체(1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이 형성되는 패널(120)과, 패널(120)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어 상호 결합되는 전방커버(130) 및 후방커버(140)를 갖는다.
패널(120)은 실질적으로 화상이 형성되는 유효면(121)과, 유효면(12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후술할 전방커버(130)의 접촉부(136)가 접촉 지지되는 지지면(123)을 갖는다.
전방커버(130)에는 유효면(121)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투시개구(131)가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 영역에는 패널의 지지면(123)에 접촉 지지되는 전면부(134)와, 전면부(134)의 각 변으로부터 후방커버(140)를 향해 연장되어 후방커버(140)에 맞닿는 스커트부(133)를 포함한다.
전면부(134)는 도2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부(133)로부터 절곡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연결부(135)와, 연결부(135)로부터 연장되어 패널(120)의 유효면(121)에 접촉되는 접촉부(136) 및 접촉부(136)의 자유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전방으로 노출되는 지지면(123)을 차폐하는 절곡부(137)를 포함한다. 또한, 전면부(134)의 배면에는 스커트부(13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스커트부(133)에 인접하게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보스부(138)가 형성된다.
각 보스부(138)는 전방 및 후방 커버(130, 1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공(139)이 마련된다. 또한, 각 보스부(138)의 측부면은 투시개구(131) 영역에 배치되는 패널(120)의 각 변을 지지하여 패널(120)이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패널(120)은 전방커버(130)와 후방커버(140) 사이에 위치 고정되어 소정의 본체로부터 화상신호를 전달받아 화상을 출력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모니터 본체(1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가 임의의 수직 축선과 평행하게 마련되기 때문에, 패널(120) 측 반대방향으로 전면부(134)를 가압하게 되면, 전면부(134)가 플라스틱 사출물로 마련되기 때문에 가압 방향으로 쉽게 변형(휨)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패널과 전방커버(전면부) 사이의 틈새공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렇게 발생된 틈새는 모니터 장치의 외관을현저히 떨어트리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커버의 전면부가 패널 측 반대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관이 수려한 모니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 모니터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의 모니터 본체에 대한 부분 측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도4의 모니터 본체에 대한 부분 측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본체에서 절곡부가 유효면을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모니터 본체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니터장치 10 : 모니터 본체
20 : 패널 21 : 유효면
23 : 지지면 30 : 전방커버
31 : 투시개구 33 : 스커트부
34 : 전면부 35 : 연결부
36 : 접촉경사부 37 : 절곡부
38 : 보스부 40 : 후방커버
50 : 베이스부재 60 : 링크부재
70 : 스페이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모니터장치에 있어서, 화상이 형성되는 유효면과, 상기 유효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지지면을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커버와; 상기 패널의 유효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투시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일 영역에서 상기 패널의 지지면을 접촉지지 하도록 수직 축선에 대해 상기 패널 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각 변으로부터 상기 후방커버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후방커버에 결합되는 스커트부를 갖는 전방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부와 상기 패널 사이의 이격공간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전면부의 판면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리브로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부는 수직 축선에 대해 상기 패널 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자유단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패널의 지지면을 차폐하는 절곡부로 마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면부와 상기 스커트부 및 상기 스페이서는 단일재료에 의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며, 각 실시예 중 동일구성에 관해서는 참조부호만 구별하고 그 설명은 부분적으로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50)와, 화상을 형성하는 유효면(121)이 마련된 모니터 본체(10)와, 베이스부재(50)와 모니터 본체(10)를 상호 연결하는 링크부재(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1)가 휴대용 컴퓨터(미도시)에 마련되는 경우, 모니터 장치(1)의 베이스부재(50)는 컴퓨터 본체에 해당되며, 모니터 본체(10)는 LCD 조립체로 말할 수 있다. 또한, 링크부재(60)는 컴퓨터 본체와 LCD 조립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부재에 해당된다.
모니터 본체(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이 형성되는 패널(20)과, 패널(20)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어 상호 결합되는 전방커버 및 후방커버(30, 40)를 갖는다.
패널(20)은 실질적으로 화상이 형성되는 유효면(21)과, 유효면(2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패널(20)의 테두리 영역을 보강하며 후술할 전방커버(30)의 접촉경사부(36)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면(23)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커버(30)는 단일 재질로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조되며, 유효면(21)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는 투시개구(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 영역에는 패널(20)의 지지면(23)을 접촉지지 하도록 임의의 수직 축선에 대해 패널(20) 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전면부(34)와, 전면부(34)의 각 변으로부터 후방커버(40)를 향해 연장되어 후방커버(40)에 맞닿는스커트부(33)를 포함한다.
전면부(34)는 도5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부(33)로부터 절곡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연결부(35)와, 연결부(35)로부터 연장되며 임의의 수직 축선에 대해 패널(20) 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접촉경사부(36) 및 접촉경사부(36)의 자유단부로부터 패널 측으로 절곡된 절곡부(37)를 포함한다.
이에, 패널(20) 측을 향해 경사진 접촉경사부(36)가 후술할 보스부(38)와 함께 전방 및 후방커버(30, 40)내로 삽입된 패널(20)의 지지면(23)을 접촉 지지함으로써 패널(20)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절곡부(37)는 전후방커버(30, 40)내로 삽입된 패널(20)의 지지면(23)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폐한다.
또한, 전면부(34)의 배면에는 스커트부(3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스커트부(33)에 인접하게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보스부(38)가 형성된다.
각 보스부(38)는 전방 및 후방 커버(30, 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공(39)이 마련된다. 이에, 나사공(39)내로 체결 스크루(75)가 삽입됨으로써 전방커버(30)와 후방커버(40)를 결합시킨다. 또한, 각 보스부(38)의 측부면는 투시개구(31) 영역에 배치되는 패널(20)의 각 변을 지지하여 패널(20)이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1)에서는 전면부(34)의 접촉경사부(36)가 패널(20) 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짐에 따라, 전면부(34)를 패널(20) 측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더라도 전면부(34)가 가압방향으로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이 수려한 모니터 장치(1)가 제공된다.
여기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34)의 접촉경사부(36) 각도가 임의의 각도를 벗어나거나 또는 접촉경사부(36)의 경사각도에 의해 절곡부(37)가 유효면(21)에 맞닿는 경우, 전면부(34)의 절곡부(37)가 유효면(21)을 가압하여 패널(20)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전면부(34)와 패널(20) 사이의 이격공간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7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34)의 판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리브로 마련된다. 스페이서(70)는 전면부(34)의 접촉경사부(36) 내측에 마련됨으로써, 스페이서(70)가 패널(20)의 지지면(23)과 접촉되어, 전면부(34)의 절곡부(37)가 패널(20)의 유효면(21)을 가압하지 않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70)가 전면부(34)의 판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리브로 상술하였으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패널(20) 측에 마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럴 경우, 스페이서(70)는 패널(20)의 지지면(23)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부의 경사부가 패널 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마련됨으로써, 전면부를 패널 측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더라도 전면부가 쉽게 가압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이 수려한 모니터 장치가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커버의 전면부가 패널 측 반대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관이 수려한 모니터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5)

  1. 모니터장치에 있어서,
    화상이 형성되는 유효면과, 상기 유효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지지면을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커버와;
    상기 패널의 유효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투시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일 영역에서 상기 패널의 지지면를 접촉지지 하도록 수직 축선에 대해 상기 패널 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각 변으로부터 상기 후방커버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후방커버에 결합되는 스커트부를 갖는 전방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와 상기 패널 사이의 이격공간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전면부의 판면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수직축선에 대해 상기 패널 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자유단부에서 절곡연장되어 상기 패널의 지지면을 차폐하는 절곡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상기 스커트부 및 상기 스페이서는 단일재료에 의해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KR1020010087938A 2001-12-29 2001-12-29 모니터 장치 KR20030057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938A KR20030057847A (ko) 2001-12-29 2001-12-29 모니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938A KR20030057847A (ko) 2001-12-29 2001-12-29 모니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847A true KR20030057847A (ko) 2003-07-07

Family

ID=3221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938A KR20030057847A (ko) 2001-12-29 2001-12-29 모니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784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4377A (ja) * 1997-03-07 1998-09-25 Nec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00020702U (ko) * 1999-05-12 2000-12-05 윤종용 터치 스크린의 결착구조
JP2000338467A (ja) * 1999-05-26 200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cdモニタのシャシ固定装置
KR200255361Y1 (ko) * 2001-07-02 2001-12-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4377A (ja) * 1997-03-07 1998-09-25 Nec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00020702U (ko) * 1999-05-12 2000-12-05 윤종용 터치 스크린의 결착구조
JP2000338467A (ja) * 1999-05-26 200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cdモニタのシャシ固定装置
KR200255361Y1 (ko) * 2001-07-02 2001-12-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브라운관과 캐비닛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5131B1 (en) Display device
US717320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manual operation button
US5583743A (en) Appliance housing and speakers mounted thereto
US6678152B2 (en) Assembly in a displaying apparatus
JP5502974B2 (ja) テレビ装置、スタンド、および電子機器
KR20030057847A (ko) 모니터 장치
KR100247584B1 (ko) 씨알티 지지구조물 및 이 씨알티지지 구조물이 구비된 모니터
JP4135296B2 (ja) 鍵盤装置
JP3728392B2 (ja) 携帯情報端末
KR19980072829A (ko) 휴대용 컴퓨터의 액정표시패널 장착장치
JP3419286B2 (ja) 計器ケースの防水構造
JP2019003212A (ja) 表示装置
JP7183768B2 (ja) 楽器
KR102351834B1 (ko) 전자 제어 장치
JP7362511B2 (ja) 取付具および装置取付構造
KR200328705Y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556243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
KR100312489B1 (ko) 모니터의 동작부 덮개장치
JP2010072499A (ja) 電子機器のスタンド取付構造
KR200221125Y1 (ko) 백카바를 이용하여 마이커가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
JP4143220B2 (ja) 操作スイッチ構造
JP3121977U (ja) キャビネットに操作部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209455Y1 (ko) 텔레비젼의 스위치 조립체
JP2003133761A (ja) 基板保持装置及び電子機器
KR0116655Y1 (ko) 텔레비젼 케이싱 틈새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