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887Y1 - 입체가상현실 구현장치 - Google Patents

입체가상현실 구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887Y1
KR200254887Y1 KR2020010024503U KR20010024503U KR200254887Y1 KR 200254887 Y1 KR200254887 Y1 KR 200254887Y1 KR 2020010024503 U KR2020010024503 U KR 2020010024503U KR 20010024503 U KR20010024503 U KR 20010024503U KR 200254887 Y1 KR200254887 Y1 KR 2002548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irtual reality
unit
soun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권
Original Assignee
박종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권 filed Critical 박종권
Priority to KR2020010024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8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8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887Y1/ko

Links

Landscapes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한 것으로, 입체가상현실 구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화관 상영을 위해 제작된 동영상 데이터에 맞는 가상현실 데이터를 추가하여 하나의 필림으로 구성하여 영사기를 작동하면, 가상현실 단말기는 수신된 가상현실 데이터에 의해 가상현실 공간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가상현실 구현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를 판독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서 판독한 데이터를 음향, 영상, 가상현실 데이터로 선별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데이터중 음향데이터는 스피커로, 영상 데이터는 스크린으로 가상현실 데이터는 가상현실 단말기로 전송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데이터 발생수단과, 상기 발생수단의 제어부로 부터 가상현실 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가상현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이터 확인부와; 상기 데이터 확인부에 의해 가상현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음향을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서 판독된 데이터에 의해 임의로 가상현실 데이터를 형성하는 데이터 형성부와,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와 임의로 형성된 가상현실 데이터를 가상현실장치로 전송하는 출력부로 구성된 가상현실 단말기와, 상기 가상현실 단말기의 출력부에서 전송받아 가상현실 데이터 또는 임의의 가상현실 데이터에 의해 작동하는 가상현실장치와, 상기 가상현실장치는 체험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 등받이부 및 다리받침부와, 상기 다리받침부에는 다수개의 굴절부와 굴절고정부로 구성되며, 상기 시트,등받이부 및 다리받침부에 내장되어 가상현실 단말기 출력부의 신호에 따라 체험자의 신체에 진동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진동부와, 상기 스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단말기 출력부의 신호에 따라 시트, 등받이부 및 다리받침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단말기 출력부의 신호에 따라 시트, 등받이부 및 다리받침부를 구동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각 구성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가상현실 단말기는 수신되는 가상현실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 음향 데이터를 사람의 대화소리, 배경음악, 효과음악 및 초저음별로 판독하여 임의로 가상현실 데이터를 형성하여 가상현실 장치가 입체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판독부와, 상기 데이터 발생 수단은 영상과 음향 및 가상현실 데이터 정보가 미리 입력된 필름이나 자기테잎, CD등을 읽어 표시하기 위한 영사기, VCR, DVD 등의 영상매체이며, 상기 데이터 발생 수단은 방송국에서 영상과 음향 및 가상현실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면, 수신하여 표시하는 TV장치의 영상매체로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입체가상현실 구현장치{Embodiment method and apparatus of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도 1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입체가상현실 구현 장치의 구성도.
도 2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의 측면도.
도 3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입체가상현실 구현장치의 대략도
도 4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가상현실 구현 장치의 대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데이터 발생수단 12 : 헤드
14 : 선별부 16 : 제어부
20 : 가상현실 단말기 22 : 수신부
24 : 음향데이터 판독부 26 : 데이터 형성부
28 : 출력부 30 : 가상현실 장치
32 : 등받이부 33 : 시트
34 : 다리받침부 35 : 진동부
36 : 회전부 37 : 승강부
38 : 받침대 39 : 굴절부
40 : 굴절 고정부 50 : 영사기
60 : VCR 70 : DVD
80 : 방송국 110 : 스피커
120 : 스크린 130 : TV장치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필림은 물론 VTR, TV 및 DVD와 같은 영상매체로 방영하기 위해 제작된 데이터에 가상현실 데이터를 추가하고, 가상현실 데이터를 실행하는 가상현실 단말기를 구비하여, 시청자들이 보고 듣는것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느끼며, 피곤에 지쳐 뭉친 근육을 풀수 있는 방송매체를 구현함으로써, 획일적인 일상생활에 지친 시청자에게 보다 진보적이고, 생동감 있는 동영상을 즐기게 하고, 피곤에 지쳐 뭉친 근육을 풀어 주게 하는데에 상기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데이터를 판독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서 판독한 데이터를 음향, 영상, 가상현실 데이터로 선별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데이터중 음향데이터는 스피커로, 영상 데이터는 스크린으로 가상현실 데이터는 가상현실 단말기로 전송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데이터 발생수단과, 상기 발생수단의 제어부로 부터 가상현실 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가상현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이터 확인부와; 상기 데이터 확인부에 의해 가상현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음향을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서 판독된 데이터에 의해 임의로 가상현실 데이터를 형성하는 데이터 형성부와,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와 임의로 형성된 가상현실 데이터를 가상현실장치로 전송하는 출력부로 구성된 가상현실 단말기와, 상기 가상현실 단말기의 출력부에서 전송받아 가상현실 데이터 또는 임의의 가상현실 데이터에 의해 작동하는 가상현실장치와, 상기 가상현실장치는 체험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 등받이부 및 다리받침부와, 상기 다리받침부에는 다수개의 굴절부와 굴절고정부로 구성되며, 상기 시트, 등받이부 및 다리받침부에 내장되어 가상현실 단말기 출력부의 신호에 따라 체험자의 신체에 진동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진동부와, 상기 스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단말기 출력부의 신호에 따라 시트, 등받이부 및 다리받침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단말기 출력부의 신호에 따라 시트, 등받이부 및 다리받침부를 구동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각 구성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가상현실 단말기는 수신되는 가상현실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 음향 데이터를 사람의 대화소리, 배경음악, 효과음악 및 초저음별로 판독하여 임의로 가상현실 데이터를 형성하여 가상현실 장치가 입체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판독부와, 상기 데이터 발생 수단은 영상과 음향 및 가상현실 데이터 정보가 미리 입력된 필름이나 자기테잎, CD등을 읽어 표시하기 위한 영사기, VCR, DVD 등의 영상매체이며, 상기 데이터 발생 수단은 방송국에서 영상과 음향 및 가상현실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면, 수신하여 표시하는 TV장치의 영상매체로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입체가상현실 구현 장치의 구성도.
도 2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의 측면도.
도 3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입체가상현실 구현장치의 대략도
도 4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가상현실 구현 장치의 대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데이터 발생수단 12 : 헤드
14 : 선별부 16 : 제어부
20 : 가상현실 단말기 22 : 수신부
24 : 음향데이터 판독부 26 : 데이터 형성부
28 : 출력부 30 : 가상현실 장치
32 : 등받이부 33 : 시트
34 : 다리받침부 35 : 진동부
36 : 회전부 37 : 승강부
38 : 받침대 39 : 굴절부
40 : 굴절 고정부 50 : 영사기
60 : VCR 70 : DVD
80 : 방송국 110 : 스피커
120 : 스크린 130 : TV장치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입체가상현실 구현 장치의 구성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발생수단(10)과 가상현실 단말기(20) 및 가상현실 장치(30)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발생수단(10)과 가상현실 단말기(20) 및 가상현실 장치(3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데이터 발생수단(10)은 헤드(12)와 선별부(14) 및 제어부(16)로 구성되는데, 상기 헤드(12)는 필림, 자기테잎 및 CD의 데이터를 각각의 음향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및 가상현실데이터로 분리하여 인지하게 된다.
이때, 선별부(14)는 상기 헤드(12)에서 분리 인지한 각각의 데이터를 선별하여 제어부(16)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16)는 선별부(14)로 부터 수신받은 데어터 중 음향데이터는 스피커(110)에 전송하여 스피커(110)가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6)는 선별부(14)로 부터 수신받은 데어터 중 영상데이터는 스크린(120)으로 전송하여 스크린(120)에 영상이 만들어지도록 하고, 또한 가상현실 데이터는 가상현실 단말기(20)로 전송하여 단말기가 실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가상현실 단말기(20)를 살펴보면, 수신부(22)와 음향판독부(24), 데이터 형성부(26) 및 출력부(28)로 구성된다.
상기 수신부(22)는 데이터 발생수단(10)의 제어부(16)로 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데, 제어부(16)로 부터 가상현실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부(22)는 수신된 가상현실 데이터를 출력부(28)로 전송하고 상기 출력부(28)는 가상현실 장치(30)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가상현실 장치(30)를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데이터 발생수단(10)의 제어부(16)로 부터 가상현실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음향판독부(24)가 음향을 판독하여 데이터 형성부(26)로 전송하면 상기 데이터 형성부(26)는 수신받은 판독된 음향 데이터로 임의로 가상현실 데이터를 형성하여 출력부(28)로 전송하고, 상기 출력부(28)는 수신된 임의로 형성된 가상현실 데이터를 가상현실 장치(30)로 전송하여, 상기 가상현실 장치(30)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도 2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의 측면도를 참고로 가상현실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상현실 장치(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33), 등받이부(32), 다리받침부(34), 진동부(35), 승강부(37), 회전부(36) 및 받침대(38)로 구성된다.
상기 가상현실 장치(30)는 일측 상단에 등받이부(32)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등받이부(32)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진동부(35)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부(32)의 하단일측으로는 시트(33)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33)는 체험자가 편하게 앉을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진동부(35)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시트(33)의 하단일측으로는 다리받침부(34)가 구성되어 있어 체험자가 시트(33)에 앉았을때 다리를 올리거나 내릴수 있도록 다수개의 굴절부(39)와 굴절고정부(40)가 구성되어 있어, 체험자가 다리를 자신에게 편하게 조정가능 하도록 구성 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진동부(35)가 내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등받이부(32)와 시트(33) 및 다리받침부(34)에 내장되어 있는 다수개의 진동부(35)는 가상현실 단말기(20)의 출력부(28)로 부터 수신된 가상현실 데이터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시트(33)의 중앙 하단으로는 회전부(36)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36)는 기어결합 장치로 구성되어 가상현실 단말기(20)의 출력부(28)로 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으해 좌, 우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36) 하단에는 승강부(37)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부(37)는 실린더로 구성되어 가상현실 단말기(20)의 출력부(28)로 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의해 상, 하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37) 하단에는 가상현실 장치(30)를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38)가 구성되어 있어, 진동부(35)와 회전부(36) 및 승강부(37)가 작동을 할때 안정적으로 가상현실 장치(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직경이 넓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상현실 데이터에 관하여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면, 엘리베이터을 타고 내려가는 장면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면 가상현실 단말기(20)의 출력부(28)는 가상현실 장치(30)의 다수개의 진동부(35)를 작동시키고 승강부(37)를 하강시켜 체험자로 하여금 화면을 보면서 자신이 직접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는 듯한 느낌을 갖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비행기와 자동차 같은 빠른 속도록 진행되는 장면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면, 가상현실 단말기(20)의 출력부(28)는 가상현실 장치(30)의 회전부(36)와 승강부(37) 및 진동부(35)를 각각 작동시켜 속도에 의해 흔들림을 체험자가 직접 느낄수 있도록 하며, 웅장한 음악과 같은 소리만으로 그 웅장함을 느낄수 없으므로 다수개의 진동부(35)를 음향의 크기에 맞게 작동시켜 실제 상황처럼 느낄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만약 가상현실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가상현실 단말기(20)의 음향 판독부(24)가 음향 데이터를 사람의 대화소리, 배경음악, 효과음악 및 초저음별로 판독하여 데이터 형성부(26)로 전송하면, 상기 데이터 형성부(26)는 수신된 데이터에 의해 임의로 가상현실 데이터를 형성하여 가상현실 장치(30)의 시트(33)와 등받이부(32) 및 다리받침부(34)에 내장된 다수개의 진동부(35)를 알맞게 작동시키므로 최대한 현장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3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입체가상현실 구현장치의 대략도를 참고로 본고안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 발생수단(10)은 영상과 음향 및 가상현실 데이터 정보가 미리 입력된 필름이나 자기테잎, CD등을 읽어 표시하기 위한 영사기(50), VCR(60), DVD(70) 등의 영상매체로 사용이 가능하도고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영사기(50), VCR(60), DVD(70) 등의 영상매체가 인식한 음향 데이터는 스피커(110)로, 영상 데이터는 스크린(120)으로 가상현실 데이터는 가상현실 단말기(30)로 전송하여 스피커(110)와 스크린(120) 및 가상현실 장치(30)가 작동되는 것이다.
도 4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가상현실 구현 장치의 대략도를 참고로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국(80)을 이용하여 방영하기 위해 제작된 동영상 데이터에 영상과 음향에 따라 정해진 가상현실 데이터를 입력하여 가상현실 동영상 자료를 데이터 베이스화 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화된 가상현실 동영상 데이터를 위성을 통해 TV장치(130)로 전송하면, 상기 TV장치(130)는 음향데이터와 영상데이터 및 가상현실 데이터별로 구분을 한다.
상기 음향데이터와 영상데이터 및 가상현실 데이터로 구분한 데이터를 각각 음향데이터는 스피커로 전송하면, 스피커는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발생하며, 영상데이터는 스크린으로 전송하면, 상기 스크린은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구분된 데이터중 가상현실 데이터는 가상현실 단말기(20)로 전송하면, 상기 단말기는 가상현실 데이터 포함유무를 확인하여, 가상현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음향데이터를 판독하여 임의로 가상현실 데이터를 형성하고, 형성된 가상현실 데이터를 가상현실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가상현실 장치(30)는 수신된 가상현실 데이터에 의해 작동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통하여 가상현실 장치를 의자의 형상을 갖는 일실시예만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가상현실 장치는 의자뿐만 아니라 매트리스 쇼파와 같은 사람이 휴식을 취할수 있는 모든 편의 시설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필림은 물론 VTR, TV 및 DVD와 같은 영상매체로 방영하기 위해 제작된 데이터에 가상현실 데이터를 추가하고, 가상현실 데이터를 실행하는 가상현실 단말기를 구비하여, 시청자들이 보고 듣는것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느끼며, 피곤에 지쳐 뭉친 근육을 풀수 있는 방송매체를 구현함으로써, 획일적인 일상생활에 지친 시청자에게 보다 진보적이고, 생동감 있는 동영상을 즐기게 하고, 피곤에 지쳐 뭉친 근육을 풀어 줌으로써, 휴식의 시간을 일충 절약할 수 있으므로 휴식이 끝난후 사회에서 보다 열심히 일을 할수 있으므로 소비자에게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데이터를 판독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서 판독한 데이터를 음향, 영상, 가상현실 데이터로 선별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데이터중 음향데이터는 스피커로, 영상 데이터는 스크린으로 가상현실 데이터는 가상현실 단말기로 전송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데이터 발생수단과;
    상기 발생수단의 제어부로 부터 가상현실 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가상현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이터 확인부와; 상기 데이터 확인부에 의해 가상현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음향을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서 판독된 데이터에 의해 임의로 가상현실 데이터를 형성하는 데이터 형성부와;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와 임의로 형성된 가상현실 데이터를 가상현실장치로 전송하는 출력부로 구성된 가상현실 단말기와;
    상기 가상현실 단말기의 출력부에서 전송받아 가상현실 데이터 또는 임의의 가상현실 데이터에 의해 작동하는 가상현실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가상현실구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장치는 체험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 등받이부 및 다리받침부와;
    상기 다리받침부에는 다수개의 굴절부와 굴절고정부로 구성되며, 상기 시트, 등받이부 및 다리받침부에 내장되어 가상현실 단말기 출력부의 신호에 따라 체험자의 신체에 진동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진동부와;
    상기 스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단말기 출력부의 신호에 따라 시트, 등받이부 및 다리받침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단말기 출력부의 신호에 따라 시트, 등받이부 및 다리받침부를 구동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각 구성부를 지지하는 받침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가상현실구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단말기는 수신되는 가상현실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는 판독부가 음향 데이터를 사람의 대화소리, 배경음악, 효과음악 및 초저음별로 판독하여 임의로 가상현실 데이터를 형성하여 가상현실 장치가 입체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가상현실구현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발생 수단은 영상과 음향 및 가상현실 데이터 정보가 미리 입력된 필름이나 자기테잎, CD등을 읽어 표시하기 위한 영사기, VCR, DVD 등의 영상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가상현실구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발생 수단은 방송국에서 영상과 음향 및 가상현실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면, 수신하여 표시하는 TV장치의 영상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가상현실구현 장치.
KR2020010024503U 2001-08-13 2001-08-13 입체가상현실 구현장치 KR2002548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503U KR200254887Y1 (ko) 2001-08-13 2001-08-13 입체가상현실 구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503U KR200254887Y1 (ko) 2001-08-13 2001-08-13 입체가상현실 구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714A Division KR20030011162A (ko) 2001-07-28 2001-07-28 입체가상현실 구현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887Y1 true KR200254887Y1 (ko) 2001-12-01

Family

ID=7306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503U KR200254887Y1 (ko) 2001-08-13 2001-08-13 입체가상현실 구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8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2916B1 (en) Sensory simulator and editor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JP6147749B2 (ja) 振動−運動座席キット
US6585515B1 (en) Multi-sense home entertainment chair transducer system
CA3032603A1 (en) Mixed reality system with spatialized audio
US9764232B2 (en) System for showing image having game function
US11185170B2 (en) Mattress with embedded transducers
KR20210075082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0254887Y1 (ko) 입체가상현실 구현장치
JP2017506008A (ja) 自己回帰モデルを用いて触覚係数を発生するための方法、そのような係数を再生するための信号およびデバイス
KR20180077890A (ko) 입체구동체감형 의자, 의자 번들,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20030011162A (ko) 입체가상현실 구현방법 및 장치
KR20180044006A (ko) 입체진동체감형 의자, 의자 번들,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JP6776342B6 (ja) 音楽鑑賞装置
US20050122067A1 (en) Action seating
KR20140006424A (ko) 음원기반 체감진동 구현방법
JPH0898957A (ja) 立体表示装置および観賞用椅子
CN218219677U (zh) 带动感音响的沙发
JPH10290405A (ja) 体感振動装置付き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1110495B1 (ko) 진동 소자를 이용하여 사운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CN206224131U (zh) 一种3d环幕影院系统
JPH05161521A (ja) 映像・音響再生用椅子装置
KR101398004B1 (ko) 사운드 연동형 진동 모션체어 운용장치
KR20010111600A (ko) 영화 상영시스템
JPH10104551A (ja) 体感型立体表示構造物
CN217307818U (zh) 一种沉浸式体验场景用的音箱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