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811Y1 - 알루미늄창틀용 단열캡 및 그 단열 캡과 결합되는알루미늄 창틀재의 구조 - Google Patents

알루미늄창틀용 단열캡 및 그 단열 캡과 결합되는알루미늄 창틀재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811Y1
KR200254811Y1 KR2020010026619U KR20010026619U KR200254811Y1 KR 200254811 Y1 KR200254811 Y1 KR 200254811Y1 KR 2020010026619 U KR2020010026619 U KR 2020010026619U KR 20010026619 U KR20010026619 U KR 20010026619U KR 200254811 Y1 KR200254811 Y1 KR 200254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ndow frame
aluminum window
cap
insulat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표
Original Assignee
이한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표 filed Critical 이한표
Priority to KR2020010026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811Y1/ko

Link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루미늄창틀용 단열캡 및 그 단열캡과 결합되는 알루미늄창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캡은 내측판(26')과; 외측판(26)과; 저면판(24); 및 상면판(22)에 의해 단열공간(28)을 형성하며, 상기 상면판(22)은 내측판에서 수평 돌출 연장된 뒤 내측판(26')과 평행하게 절곡되는 절곡부(22a)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절곡부 뒷면(22b)과 내측 윗쪽판(26')에 의해 창틀 결합홈(27)이 형성되도록 하되, 창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 윗쪽판(26')을 외측판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저면판(24)은 내측판에서 수평 돌출 연장판(24a)를 가지되 돌출 연장판 내측에 고정용 걸림턱(2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안인 상기 단열캡과 결합되는 알루미늄창틀재의 구조는, 내측벽(12)과 외측벽(12') 사이에 레일(14)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저면부(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알루미늄창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 중 내측벽과 직교하는 부분(11a)에 단열용 캡이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1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창틀용 단열캡 및 그 단열 캡과 결합되는 알루미늄 창틀재의 구조{ADIABATIC CAP FOR ALUMINUM WINDOW FRAME AND STRUCTURE OF ALUMINUM WINDOW FRAME BAR COMBINED THERETO}
본 고안은 알루미늄 창틀의 결로방지용 단열캡과 그 단열캡과 결합되는 알루미늄창틀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캡 없이 실외로 향하는 외측벽(12')과 실내로 향하는 내측벽(12)을 양쪽에 형성하고, 그 사이에 창틀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팍의 레일(14, 18)을 형성하였으며, 내측 레일(14)과 외측레일(18) 사이에는 창틀에 구비된 방풍모가 삽입되도록 방풍모삽입대(16)를 설치하였고, 외측벽 상단부는 방충망프레임이 쉽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뭉툭하게 구성한 알루미늄창틀재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같은 알루미늄창틀재는 그 견고함이나 우수한 내식성에도 불구하고 단열이 되지 않아 외기 온도와 실내 온도차가 클 경우에는 창틀 실내면에 결로가 생겨 실내로 흘러내리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알루미늄과 목재창호를 함께 사용하는 복합창호가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최근에는 합성수지재 창호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알루미늄창틀은 금속이기 때문에 차가운 느낌만 준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당업계에서는 알루미늄창틀 내측벽(12)에 여러가지 무늬결 모양의 필름을 압축로울러를 사용하여 부착하거나(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 1999-0033188; 고안자 임식규), 페인트로써 도색하는 등의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압축로울러를 사용하여 필름을 압축하는 경우에는 창틀재를 출고하여 래핑현장까지 운반하여 래핑작업을 거친 후 이를 다시 창틀제작현장까지 운반하여야 하므로 물류과정이 복잡해지고 래핑표면이 손상될 뿐 아니라, 무엇보다 결로방지효과는 거두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페인트 도색의 경우 역시 결로방지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또한 나무 무늬결등과 같은 질감을 내는데는 한계가 있다.
한편, 합성수지재 창호는 결로등은 발생하지 않으나 열 및 충격에 약하고, 화재시 유독가스가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으며, 이밖에 알루미늄재 창호와 합성수지재 창호는 창틀의 레일의 형상이 다름으로 인해 상호 호환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알루미늄창틀재의 실내측벽면에 결합되는 결로방지 및 다양한 무늬결의 필름의 래핑이 가능한 단열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결로방지용 단열캡과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알루미늄창틀재 및 합성수지재 창문을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알루미늄창틀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시예로서 제작된 창틀재 및 단열캡의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캡의 기본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 3b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재와 단열캡의 조립과정과 조립후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알루미늄창틀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알루미늄 창틀재 11 저면부
11a 직교부 12 내측벽
12' 외측벽 12'a 외측벽상단부
12a 걸림턱 12b 돌출판
12c 내측벽상단부 14 외측레일
16 방풍모삽입대 18 내측레일
20 단열캡 22 상면판
22a 절곡부 22b 절곡부뒷면
22c 방풍모삽입홈 24 저면판
24a 연장판 24' 걸림턱
26 외측판 26' 내측판
26' 내측윗쪽판 27 결합홈
28 단열공간 28a 칸막이
본 고안에 따른 단열캡은 내측판(26')과; 외측판(26)과; 저면판(24); 및 상면판(22)에 의해 단열공간(28)을 형성하며, 상기 상면판(22)은 내측판에서 수평 돌출 연장된 뒤 내측판(26')과 평행하게 절곡되는 절곡부(22a)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절곡부 뒷면(22b)과 내측 윗쪽판(26')에 의해 창틀 결합홈(27)이 형성되도록 하되, 창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 윗쪽판(26')을 외측판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저면판(24)은 내측판에서 수평 돌출 연장판(24a)를 가지되 돌출 연장판 내측에 고정용 걸림턱(2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단열캡은 상기 절곡부(22a) 바깥면에 방풍모 삽입홈(22c)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안인 상기 단열캡과 결합되는 알루미늄창틀재의 구조는, 내측벽(12)과 외측벽(12') 사이에 레일(14)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중간판 및 저면부(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알루미늄창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 중 내측벽과 직교하는 부분(11a)에 단열용 캡이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1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알루미늄창틀의 구조는 상기 걸림턱(12a) 안쪽에 단열캡의 결합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돌출판(12b)이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레일(14,18)은 합성수지재창문에 사용되는 로울러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그 단면을의 모양으로 형성하면 합성수지재창문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단열캡과 이와 결합되는 알루미늄창틀재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단열캡(20)은 알루미늄창틀재의 내측면(12)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로서, 상기 창틀재 내측면(12)에 접하게 되는 내측판(26')과 반대편의 외측판(26) 및 상면판(22), 저면판(24)이 서로 직교하여 상자모양을 형성하면서 단열공간(28)이 구성되도록 성형사출된다. 이렇게 형성된 단열공간(28)이 상기 창틀의 외기와 실내의 온도차가 클 경우에도 결로방지 및 열전달을 막게 되는 것이다. 28a는 단열공간내의 칸막이로서 단열캡의 외측면(26)의 평면상이 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단열캡(20)은 상기 창틀의 내측벽(12)과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갖추고 있는바, 그 상변판(22)이 수평면으로 내측판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다 저면판(24)과 직교하고 내측판(26')과 평행하여 절곡되는 절곡부(22a)를 가지고 있다. 이로써 상기 절곡부(22a)의 뒷면과 상변판(22) 내측 및 내측 윗쪽판(26')이 서로 만나 하방으로 개방되는 창틀결합홈(27)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결합홈(27)은 결합조립작업이 용이하도록 내측 윗쪽판(26')을 외측판(26)쪽으로 경사지게 할 필요가 있다(도 3a 참조).
아울러 단열캡 저면판(24)은 내측판(26')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판(24a)를 구비하되 이 연장판 내측면에 걸림턱(24')을 가지고 있다. 상기 걸림턱은 창틀재 내측벽의 돌출 연장턱인 창틀재 걸림턱(12a)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2b는 단열캡의 다른 실시예를 그린 것으로서, 상기 단열캡의 기본구조에 방풍모 삽입홈(22c)을 추가 형성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풍모 삽입홈(22c)은 절곡부(22a) 바깥면 상부단부에서 상면판을 돌출 연장한 뒤 하방으로 절곡하고, 하부 단부를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상방으로 절곡하되 방풍모 삽입부를 개방한 형상으로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단열캡(20)이 결합되는 알루미늄창틀재의 구조(10)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창틀재의 구조는, 내측벽(12)과; 외측벽(12'); 저면부(11);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에 외측레일(14); 방풍모 삽입대(16); 내측레일(18)이 중간판(도면부호 미부여) 위에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방충망 레일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외측벽 상단부(12'a)가 뭉툭하게 압출성형되어 있음은 종래의 그것과 동일한 구성이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창틀재의 특징은 상기 단열캡(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구조를 새로이 설계한 부분으로서, 내측벽(12)의 하단부에 걸림턱(12a)을 형성한 것이다. 걸림턱은 저면부(11)가 내측벽(12)과 직교하는 부분(11a)에서 내측벽이 저면부와 직교하되 하방으로 내측벽이 약간 돌출되도록 연장하였다.
이 때 저면부(11)를 상방으로 절곡한 뒤 수평 연장하여 도 1상의 A'의 간격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열캡(20)이 창틀재의 내측벽(12)과 각각의 걸림턱(12a, 24')에 의해 결합 조립된 경우, 단열캡의 두께(A;단열캡의 저면 바깥면에서부터 걸림턱까지의 높이)를 고려하여 단열캡의 저면판(24)과 창틀재의 저면부(11)가 턱이 지지 않고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단열캡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12a) 안쪽에 단열캡의 수용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돌출판(12b)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역시 시공상 모르타르 등이 스며나오지 않고, 스미더라도 단열캡 결합공간을 확보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와함께 창틀재(10)의 내측레일(14)과 외측레일(28)의 형상을 합성수지재 창문에 사용되는 로울러 형상에 대응하도록과 같이 형성하면, 알루미늄재 창틀에 합성수지재 창틀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열캡의 조립 방법은, 먼저 단열캡(20)의 결합홈(27)을 창틀재(10)의 외측판 상단부(12c)에 끼우고 단열캡의 외측판 하방을 밀어 억지로 끼우거나 고무망치 등으로 두들겨 억지끼움을 하면 된다. 도 3b는 이렇게 하여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위를 포함함은 명백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결로방지용 단열캡 및 이와 결합하는 알루미늄창틀재가 제공됨으로써, 알루미늄창틀의 결로방지 및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아울러 단열캡 표면에 다양한 무늬목 필름 등을 래핑하여 디자인 시공이 가능하여 알루미늄창틀의 금속성의 차가운 느낌을 원하는 재질의 느낌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단열캡에 래핑시공을 하여 창틀재와 별도로 창틀제작 현장에 운반되므로 래핑표면의 손상을 막을 수 있고, 창틀의 시공후에도 래핑된 단열캡만 갈아끼우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종래의 압출재를 래핑공장으로 운반한 뒤 창틀제작현장으로 이동하는 복잡한 과정을 단순화하여 물류비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알루미늄창틀의 내측벽 외면에 결합조립되는 결로방지용 단열캡으로서,
    상기 단열캡은 내측판(26')과 외측판(26)과 저면판(24) 및 상면판(22)에 의해 단열공간(28)을 형성하며,
    상기 상면판(22)은 내측판에서 수평 돌출 연장된 뒤 내측판(26')과 평행하게 절곡되는 절곡부(22a)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절곡부 뒷면(22b)과 내측 윗쪽판(26')에 의해 창틀 결합홈(27)이 형성되도록 하되, 창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 윗쪽판(26')을 외측판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저면판(24)은 내측판에서 수평 돌출 연장판(24a)를 가지되 돌출 연장판 내측에 고정용 걸림턱(2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창틀용 단열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22a) 바깥면에 방풍모 삽입홈(22c)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창틀용 단열캡
  3. 내측벽(12)과 외측벽(12') 사이에 레일(14)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중간판과 저면부(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알루미늄창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 중 내측벽과 직교하는 부분(11a)에 단열용 캡이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1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캡과 결합되는 알루미늄창틀재의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2a) 안쪽에 단열캡의 결합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돌출판(12b)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캡과 결합되는 알루미늄창틀재의 구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14,18)은 합성수지재창문에 사용되는 로울러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그 단면을의 모양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캡과 결합되는 알루미늄창틀재의 구조
KR2020010026619U 2001-08-31 2001-08-31 알루미늄창틀용 단열캡 및 그 단열 캡과 결합되는알루미늄 창틀재의 구조 KR200254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19U KR200254811Y1 (ko) 2001-08-31 2001-08-31 알루미늄창틀용 단열캡 및 그 단열 캡과 결합되는알루미늄 창틀재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19U KR200254811Y1 (ko) 2001-08-31 2001-08-31 알루미늄창틀용 단열캡 및 그 단열 캡과 결합되는알루미늄 창틀재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811Y1 true KR200254811Y1 (ko) 2001-11-26

Family

ID=73107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619U KR200254811Y1 (ko) 2001-08-31 2001-08-31 알루미늄창틀용 단열캡 및 그 단열 캡과 결합되는알루미늄 창틀재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81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423B1 (ko) * 2012-04-19 2012-11-29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복합단열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1228584B1 (ko) * 2012-04-25 2013-01-31 주식회사 신성하우징 단열성을 높인 미세기 창과 그 미세기 창틀 조립체
KR101528662B1 (ko) * 2012-01-30 2015-06-12 (주)엘지하우시스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662B1 (ko) * 2012-01-30 2015-06-12 (주)엘지하우시스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KR101206423B1 (ko) * 2012-04-19 2012-11-29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복합단열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1228584B1 (ko) * 2012-04-25 2013-01-31 주식회사 신성하우징 단열성을 높인 미세기 창과 그 미세기 창틀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17400C (en) Door panel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852821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rame assembly having stile and rail tabs for coupling stile and rail members together
US8528293B2 (en) Foldable cornerlock for a frame assembly
KR101462001B1 (ko) 착탈식 단열패널을 구비한 복합창호
KR100256390B1 (ko) 조립식벽과 그벽보드 및 프로파일
KR102157195B1 (ko) 조립식 단열패널
KR200254811Y1 (ko) 알루미늄창틀용 단열캡 및 그 단열 캡과 결합되는알루미늄 창틀재의 구조
JP3069310B2 (ja) 断熱形材
KR101657419B1 (ko) 다목적 단열프레임
JP7265339B2 (ja) 断熱建具
JP6591902B2 (ja) 扉体及び建具
KR101760268B1 (ko)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2447524B1 (ko) 원목 자동문 장치
KR101595219B1 (ko)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WO2008131755A1 (en) Window structure with a fitting for assembling the corners of the window sash
KR102031323B1 (ko) 조립식 창호 프레임
KR102511338B1 (ko) 복합 창호 프레임 및 그 체결 방법
KR101930473B1 (ko) 스테인레스 단열창호 프레임 구조
JP5303499B2 (ja) 改装サッシユニット及び改装ユニットの取付方法
JP7068100B2 (ja) ドア、建具及びドアの製造方法
JP6938148B2 (ja) 建具
JP3284079B2 (ja) 複合サッシ
KR101614354B1 (ko) 보강프레임 결합홈을 갖는 문틀
JP7096756B2 (ja) 断熱建具
KR101234396B1 (ko) 조립식 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1230

Effective date: 200410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