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430Y1 - 배합원료의 분포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배합원료의 분포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430Y1
KR200254430Y1 KR2019970017272U KR19970017272U KR200254430Y1 KR 200254430 Y1 KR200254430 Y1 KR 200254430Y1 KR 2019970017272 U KR2019970017272 U KR 2019970017272U KR 19970017272 U KR19970017272 U KR 19970017272U KR 200254430 Y1 KR200254430 Y1 KR 200254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control
surge hopper
distribution
control plate
compound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674U (ko
Inventor
박상덕
이상희
김종련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70017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430Y1/ko
Publication of KR199900036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6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4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01Positioning the charge
    • F27D2003/0002Positioning the charge involving positioning devices, e.g. buffers, buffer z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M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OF THE CHARGES OR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 F27M2003/00Type of treatment of the charge
    • F27M2003/04Sin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결광을 생산하는 공정중 왕복운동을 하며 서지호퍼에 배합 원료를 장입하는 셔틀컨베이어에 부착하여 컨베이어벨트에서 서지호퍼 안으로 떨어지는 배합원료의 낙하궤적을 변경함으로써 서지호퍼 안에서의 분포를 조절하는 배합원료 분포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셔틀컨베이어 일측단에 설치된 실린더 지지대 위에 핀으로 결합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조인트로 결합되고 앞회전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앞분포조절판과, 상기 앞회전축에 벨트로 연결된 뒤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뒤분포조절판으로 구성되어 배합원료의 분포를 바람직하게 조절할 수 있고, 누풍을 방지하여 소결광의 품질과 성품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합원료의 분포조절장치
본 고안은 소결광을 생산하는 공정중 왕복운동을 하며 서지호퍼에 배합원료를 장입하는 셔틀컨베이어에 부착하여 컨베이어벨트에서 서지호퍼안으로 떨어지는 배합원료의 낙하궤적을 변경함으로써 서지호퍼안에서의 분포를 조절하는 배합원료 분포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로에서 생산되는 용선의 원료인 소결광의 생산공정은 다음과 같다.
드럼믹서(미도시)에서 혼합되어 이송된 배합원료(A)가 셔틀컨베이어(3)의 컨베이어벨트로 떨어지면 셔틀이 왕복운동하며 서지호퍼(1)안으로 배합원료를 뿌리고 서지호퍼(1) 안에 쌓여진 배합원료(A)는 구동모터(5)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피더(4)에 의해 소결팔레트(6)에 장입되어 소결기(미도시)를 지나면서 소결이 이루어진다.
배합원료(A)가 소결팔레트(6)에 장입될 때 소결팔레트(6)의 양 벽면쪽으로 굵은 입도의 입자가 장입되면 이부분에서 누풍이 심하여 소결이 빨리 진행됨으로 열손실이 많고 성품 회수율이 낮아진다.
따라서, 굵은 입자는 소결팔레트(6)의 중간부분에 장입되고 소결팔레트(6)의 양쪽 벽부분에는 가는 입도의 입자가 장입되도록 하여 소결팔레트(6) 전부분에서 골고루 소결이 이루어 지도록 해야한다.
서지호퍼(1)안에 쌓여진 배합원료(A)는 드럼피더(4)에 의해 소결팔레트(6)에장입되는데, 드럼피더(4)는 모터(5)에 의해 회전하면서 서지호퍼(1)안의 배합원료(A)입자를 직하방의 소결팔레트(6)에 떨어뜨리므로, 결국 서지호퍼(1)안의 배합원료(A)의 입도분포가 소결팔레트(6)의 입도분포를 결정하게된다.
그러므로 서지호퍼(1)안에서의 배합원료(A)의 형상을 "V"자 형상으로 유도하면 서지호퍼(1) 양쪽 벽면에 떨어지는 굵은 입도의 입자가 중간으로 굴러 떨어짐으로 배합원료(A)가 "V"자 형상을 갖도록 분포를 조절해주는 수단이 필요하게된다.
종래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셔틀컨베이어(3)가 서지호퍼(1) 위에서 왕복운동을 할 때 서지호퍼(1)의 양쪽 끝부분에서 셔틀이 정지하는 시간을 길게하여 이부분에서 뿌려지는 배합원료(A)의 양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지호퍼(1)의 전진쪽(F)에는 효과가 있으나, 후진쪽(B)에서의 배합원료(A)의 낙하궤적이 전진쪽(F)에서의 낙하궤적과 같으므로 후진쪽(B) 벽면근처에 배합원료(A)를 뿌려줄수 없어 서지호퍼(1) 안에서의 배합원료(A)의 분포가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되며 서지호퍼(1)의 후진쪽(B) 벽근처에는 굵은 입도의 입자가 쌓이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배합원료 분포조절장치를 도 2에 나타낸다.
셔틀컨베이어(3)에 분포조절판(11)을 설치하고 셔틀컨베이어(3)가 서지 호퍼(1) 위에서 후진쪽(B)으로 움직이면 와이어(12)가 당겨지고 롤러(13)에 의해 추받침(15)이 들어올려지먼서 추(14)를 하나씩 들어올린다. 셔틀컨베이어(3)가 계속 후진쪽(B)으로 움직이면 추받침(15)에 올려지는 추(14)가 많아지고 이 추(14)의 무게에 의해 분포조절판(11)이 회전축(1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배합원료(A)의낙하궤적을 변경시키고 전진쪽(F)에서는 추받침(15)이 추(14)를 다 놓게되므로 분포조절판(11)이 배합원료(A)에 닿지 않게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서지호퍼(1)안에 쌓인 배합원료(A)의 레벨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서지호퍼(1)안에 쌓인 배합원료(A)의 높이에 따라 배합원료(A)의 낙하궤적을 조절해 주어야하는데, 종래의 장치에서 분포조절판의 각도는 와이어에 매달리는 추의 수에 따라 정해지므로 서지호퍼(1) 안의 배합원료(A)의 낙하궤적을 조절하려면 추의 무게나 수를 변경시켜야하는 어려움이 있을뿐 아니라, 서지호퍼(1)의 전진쪽(F)에서의 배합원료(A)의 낙하궤적은 전혀 조절할수 없다.
또한, 와이어(12)에 매달린 추의 수가 일정하여도 컨베이어벨트로 떨어지는 배합원료(A)의 양에 따라 분포조절판이 받는 힘이 달라지게 되므로 분포조절판의 각도도 달라지게되어 결국 배합원료(A)의 낙하궤적을 정확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본 고안은, 셔틀컨베이어의 위치측정장치와 배합원료 장입레벨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셔틀컨베이어의 위치와 장입상태를 파악한 후 배합원료의 낙하궤적을 변경함으로써 서지호퍼내의 분포를 조절하여, 소결광제조의 생산성을 높이고 누풍을 방지할수 있는 배합원료 분포조절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셔틀컨베이어 일측단에 설치된 실린더 지지대위에 핀으로 결합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조인트로 결합되고 앞회전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앞분포조절판과, 상기 앞회전축에 벨트로 연결된 뒤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뒤분포조절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배합원료 분포조절장치가 없는 셔틀컨베이어와 배합원료의 분포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배합원료 분포조절장치를 나타난 개략도
도 3은 배합원료 장입레벨에 따른 바람직한 배합원료의 낙하 궤적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 장치와 셔틀컨베이어 위치측정장치가 부착된 셔틀컨베이어의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 장치의 부분설명도
도 6은 본 고안 장치의 사시도
도 7 (가)(나)(다)는 본 고안 장치의 작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서지호퍼 3: 셔틀컨베이어
100: 분포조절장치 101: 앞분포조절판
102: 실린더 103: 모터
104: 핀 105: 지지대
106: 앞회전축 108: 조인트
109: 뒤분포조절판 110: 뒤회전축
112: 벨트 A: 배합원료
본 고안은 셔틀컨베이어(3)의 컨베이어벨트앞에 설치되어 배합원료(A)의 낙하궤적을 변경시키는 두 개의 분포조절판(101, 109)과, 핀으로 결합되어 지지대위에 설치되고 앞분포조절판(101)을 구동하는 모터가 부착된 실린더와, 뒤분포조절판(109)을 구동하는 벨트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셔틀컨베이어 위치측정장치(9)가 부착되고 본 고안 배합원료 분포조절장치(100)가 설치된 셔틀컨베이어(3)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배합원료 장입레벨측정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서지호퍼(1)안의 배합원료(A)의 레벨을 측정하고 셔틀컨베이어 위치측정장치(9)로 셔틀컨베이어(3)의 위치를 측정한후, 셔틀컨베이어(3)의 위치와 배합원료의 장입레벨에 따라 두 개의 배합원료 분포조절판(101, 109)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서지호퍼(1) 안에서의 배합원료의 분포를 조절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 배합원료 분포조절장치(100)를 상세히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셔틀컨베이어(3)의 일측단에 지지대(105)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105)위에 구동 모터(103)가 부착된 실린더(102)를 핀(104)으로 결합설치한다.
앞분포조절판(101)은 실린더(102)에 조인트(108)로 결합되고 실린더(102)의전후진 운동에 의해 앞회전축(106)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뒤분포조절판(109)은 앞회전축(106)에 벨트(112)로 연결된 뒤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6은 본 고안 배합원료 분포조절장치(100)가 설치된 셔틀컨베이어(3)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고안 배합원료 분포조절장치의 작용상태를 설명한다.
앞분포조절판(101)은 셔틀컨베이어(3)가 서지호퍼(1)의 중간이후 후진쪽(B)의 위치에 있을 때 작용하며, 뒤분포조절판(109)은 셔틀컨베이어(3)가 서지호퍼(1)의 중간이전의 전진쪽(F)의 위치에 있을 때 작용하여, 셔틀컨베이어(3)의 위치에 따라 그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배합원료가 서지호퍼(1)안으로 떨어지는 낙하궤적을 조절한다.
실린더(102)는 모터(103)의 구동에 의해 앞회전축(106)을 중심으로 앞분포조절판(101)을 회전시켜서 각도를 변경시키는 작용을 하며, 앞분포조절판(101)을 구동할 때 핀(104)을 중심으로 약간 회전한다.
뒤분포조절판(109)은 벨트(112)에 의해 앞회전축(106)이 회전하는 각도만큼 회전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같이 셔틀컨베이어(3)가 전진쪽 정지위치(P)에 있을때는 실린더(102)의 피스톤이 전진하여 앞분포조절판(101)과 뒤분포조절판(109)이 각각 그 회전축(106, 11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뒤분포조절판(109)만이 컨베이어벨트에서 떨어지는 배합원료에 닿게되고, 이 경우 배합원료는 전진쪽(F)벽근처에 떨어진다.(도 7 (가) 참조)
셔틀컨베이어(3)가 서지호퍼(1)와 중간부분(Q)에 있을때는 실린더(102)의 피스톤이 약간 후진하고, 두 개의 배합원료 분포조절판(101, 109)은 각각 그 회전축(106, 11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두 개의 분포조절판(101, 109)의 끝이 약간씩 닿게되고, 이 경우 배합원료는 서지호퍼(1) 안에서 수직으로 떨어진다. (도 7 (나) 참조)
셔틀컨베이어(3)가 서지호퍼(1)의 후진쪽 정지위치(R)에 있을때는 실린더(102)의 피스톤은 더 후진하고, 앞분포조절판(101)은 앞회전축(106)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지면서 컨베이어벨트에서 떨어지는 배합원료에 많이 닿게되고, 뒤분포조절판(109)에는 배합원료가 닿지 않게되며, 이 경우 배합원료는 서지호퍼(1)의 후진쪽(B) 벽근처에 떨어진다. (도 7(다) 참조)
위와같이 셔틀컨베이어(3)의 위치에 따라 두 개의 분포조절판(101, 109)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컨베이어벨트에서 떨어지는 배합원료의 낙하궤적을 변경하여 원하는 위치에 떨어뜨릴수 있게된다.
한편, 서지호퍼(1)안의 배합원료의 분포가 낮을때는 셔틀컨베이어(3)의 전진쪽 정지위치(P)에서의 뒤분포조절판(109)의 각도와 후진쪽 정지위치(R)에서의 앞분포조절판(101)의 각도를 작게하여 작동하고, 배합원료의 분포가 높을때는 셔틀컨베이어(3)의 전진쪽 정지위치(P)에서의 뒤분포조절판(109)의 각도와 후진쪽 정지위치(R)에서의 앞분포조절판(101)의 각도를 크게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서지호퍼(1)안의 배합원료의 장입레벨변화에 따라 적정하게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서지호퍼(1)안의 배합원료의 분포를 "V"자 형상으로 만들 때 중간부분의 골의 깊이를 깊게하려먼 양쪽 끝 정지위치(P, R)에서의 셔틀의 정지시간을 길게한다.
그리고, 배합원료 분포조절판(101, 109)이 배합원료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표면강화라이닝을 부착하여 마모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배합원료 분포조절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배합원료의 낙하궤적을 변경하여 서지호퍼안에서의 배합원료의 분포를 바람직한 "V"자 형상으로 만들 수 있고, 그 결과 중간부분에는 굵은 입도의 입자가 양벽면쪽에는 가는 입도의 입자가 소결팔레트에 장입되어 소결이 이루어질 때 누풍을 방지함으로써 소결광의 품질과 성품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셔틀컨베이어(3) 일측단에 설치된 실린더 지지대(105) 위에 핀(104)으로 결합된 실린더(102)와,
    상기 실린더(102)에 조인트(108)로 결합되고 앞회전축(106)에 의하여 회전되는 앞분포조절판(101)과,
    상기 앞회전축(106)에 벨트(112)로 연결된 뒤회전축(1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뒤분포조절판(109)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합원료의 분포조절장치.
KR2019970017272U 1997-06-30 1997-06-30 배합원료의 분포조절장치 KR200254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272U KR200254430Y1 (ko) 1997-06-30 1997-06-30 배합원료의 분포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272U KR200254430Y1 (ko) 1997-06-30 1997-06-30 배합원료의 분포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674U KR19990003674U (ko) 1999-01-25
KR200254430Y1 true KR200254430Y1 (ko) 2002-02-28

Family

ID=5389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272U KR200254430Y1 (ko) 1997-06-30 1997-06-30 배합원료의 분포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43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801B1 (ko) * 2002-09-17 2009-03-30 주식회사 포스코 세립 소결원료의 대차 가장자리 장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674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50017B (zh) 机制天然砂级配调整系统及天然砂的制作方法
KR200254430Y1 (ko) 배합원료의 분포조절장치
EP02863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sintering raw mix
CN208012375U (zh) 烧结机平料机构
USRE33935E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sintering raw mix
CN201220156Y (zh) 一种高效均匀混合物料的设备
US4648900A (en) Suction sinte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N220750797U (zh) 一种烧结机宽皮带布料结构
KR20120035753A (ko) 성형 장치 및 방법
CN219114357U (zh) 一种用于生产陶瓷岩板的布料装置
CN115890893B (zh) 干法制粉制备陶瓷砖的方法及其装置
CN108548419A (zh) 烧结机平料机构和烧结机平料方法
KR102239242B1 (ko) 원료 장입 장치 및 그 방법
KR101387341B1 (ko) 회전슈트를 이용한 고로빈 연원료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95759Y1 (ko) 소결용 배합원료의 입도별 편석 유도장치
CN217868953U (zh) 布料溜槽进料调节结构
JP2947052B2 (ja) 焼結原料の装入装置
CN218132295U (zh) 一种电极糊生产用球磨机磨料入磨装置
CN217971687U (zh) 一种石灰石入库装置
JPH0341277Y2 (ko)
JPH0221759Y2 (ko)
KR20120074770A (ko) 셔틀 컨베이어용 원료분포 조절장치
JP2735839B2 (ja) 焼結原料の装入装置
JPH02195193A (ja) 焼結原料の装入装置
KR20000021405U (ko) 소결원료 장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