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914Y1 -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 - Google Patents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914Y1
KR200253914Y1 KR2020010022353U KR20010022353U KR200253914Y1 KR 200253914 Y1 KR200253914 Y1 KR 200253914Y1 KR 2020010022353 U KR2020010022353 U KR 2020010022353U KR 20010022353 U KR20010022353 U KR 20010022353U KR 200253914 Y1 KR200253914 Y1 KR 200253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inner tube
sampling
drilling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경식
안달용
유병옥
Original Assignee
지오텍컨설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오텍컨설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오텍컨설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2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9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914Y1/ko

Links

Landscapes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불연속면의 방향성을 측정할 때 편리하게 실시함과 아울러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터널과 사면 등의 시추조사용으로 사용되는 시추기(1)에 결합된 상태에서 워터 쉬벨과 로드 및 시료채취관 등이 연결됨과 아울러 내통(10)과 외통(30)으로 분리된 이중관 방식의 시추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통(10)의 로드(11)를 브래킷(12)으로 고정시켜 회전이 정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작동체로 외통(30)을 회전시켜서 직하방향으로 굴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외통(30)의 하단에 비트(31)를 설치하여 굴착 및 시료채취가 가능하게 하며, 상기 내통(10)인 시료채취 내관(13)의 하측 리프터 케이스(14)에 라인용 돌기(15)를 형성하여 채취되는 코어(암반시료)(16)에 일직선(참고라인; Reference Line))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시료채취 내관(13)의 일정 위치에 결합되도록 리프터 케이스(14)에 회전방지편(17)을 형성하여 일정한 방향으로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 {DRILLING SYSTEM FOR DISCONTINUTY ORIENTATION MEASUREMENTS}
본 고안은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DOM(DISCONTINUTY ORIENTATION MEASUREMENTS) 시스템 시료채취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은 건설현장·토목현장 등에서 구조물의 설계시 이루어지는 암반 시추조사와 관련된 것으로서, 근래까지 이루어지던 터널, 사면 및 기초 등의 시추조사에서는 토목구조물의 안정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하 암반에 분포하고 있는 불연속면(절리, 편리, 층리, 엽리 및 단층 등)의 방향성을 파악하는 것이 큰 과제였으나 지표에 노출된 노두에서의 지표 지질조사에만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와 같이 지하 암반에 분포하는 불연속면의 방향성을 파악하는 것이 최근까지는 불가능한 것이었으나, 최근 BIPS(BOREHOLE IMAGE PROCESSING SYSTEM) 및 ATV(ACOUSTIC TELEVIEWER) 등이 수입되면서 약간의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장비들은 가격이 고가로 인해 외화 낭비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장비들을 이용하여 불연속면을 파악할 때 조사 비용이 많아지게 되면서 일부 특별한 시추공에서만 한정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불연속면의 방향성을 측정할 때 편리하게 실시함과 아울러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시추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워터 쉬벨과 로드 및 시료채취관 등이 연결됨과 아울러 내통과 외통으로 분리된 이중관 방식의 시추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통만 회전되면서 직하방향으로 굴진할 수 있게 외통의 하단에 비트를 설치하고, 상기 내통인 시료채취 내관의 하측 리프터 케이스에 라인용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시료채취 내관의 일정 위치에 결합되도록 리프터 케이스에 회전방지편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 분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D-D선 단면도,
도 7은 도 2의 E-E선 단면도,
도 8은 도 2의 F-F선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분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의 분해도,
도 15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시료 해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시추기 10: 내통
13: 시료채취 내관 14: 리프터 케이스
15: 라인용 돌기 16: 시료
17: 회전방지편 19: 가이드
30: 외통 32: 워터 쉬벨
33: 원형각도기 36: 시료채취 외관
60: 홀더 61: 와이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널과 사면 등의 시추조사용으로 사용되는 시추기(1)에 결합된 상태에서 워터 쉬벨과 로드 및 시료채취관 등이 연결됨과 아울러 내통(10)과 외통(30)으로 분리된 이중관 방식의 시추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통(10)의 로드(11)를 브래킷(12)으로 고정시켜 회전이정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작동체로 외통(30)을 회전시켜서 직하방향으로 굴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외통(30)의 하단에 비트(31)를 설치하여 굴착 및 시료채취가 가능하게 하며, 상기 내통(10)인 시료채취 내관(13)의 하측 리프터 케이스(14)에 라인용 돌기(15)를 형성하여 채취되는 코어(암반시료)(16)에 일직선(참고라인; Reference Line))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시료채취 내관(13)의 일정 위치에 결합되도록 리프터 케이스(14)에 회전방지편(17)을 형성하여 일정한 방향으로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내통(10)인 로드(11) 상측을 워터 쉬벨(32)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로드(11)에 참고선(18)을 직하방향으로 형성하여 굴진수 주입 및 참고선(18)의 방향을 외부에서 항상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라인용 돌기(15)의 대향지점 양측에 가이드(19)를 형성하여 라인용 돌기(15)를 통한 참고라인의 형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라인용 돌기(15)가 참고라인을 형성할 때 각각의 가이드(19)가 암반시료(16)를 지지하면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라인용 돌기(15)는 로드(11)의 참고선(18) 및 회전방지편(17)과 일직선상을 형성함으로써 참고선(18)과 참고라인이 같은 방향을 지시하게 되는 것이며, 시추 조사중 한 런(Run; 한번에 굴진하는 굴진 장)의 굴진을 완료한 후 시료(암반시료)(16)를 회수하기 직전에 라인용 돌기(15) 및 회전방지편(17)의 방향과 경사를 측정하면 참고라인의 방위각과 굴진 경사각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워터 쉬벨(32) 상측의 로드(11)에 원형각도기(33)를 설치하여브래킷(12)에 고정된 로드(11)의 회전각도를 판별(자북(N)과 참고라인의 방위각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상기 원형각도기(33)는 참고라인의 방향을 일정한 한 방향으로만 그어지도록 고정하는 안내 장치로서 시추기(1)의 스핀들이나 시추탑(34)에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고, 상기 원형각도기(33)는 시추의 시작부터 종료시까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만 참고라인이 그어져 시료(16)의 방향성 해석시에 일관성을 가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내통(10)의 각지점에 베어링(20)과 4방향으로 날개형 스페이스를 설치하여 내통(10)이 항상 외통(3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함과 아울러 외통(30)이 자유스럽게 회전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스페이스 사이로 굴진수(Drilling Water)가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내통(10)은 로드(11)의 연결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도록 외통(30)내에서 상하로 약 5-10 ㎝ 정도를 자유스럽게 왕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내통(10)인 로드 내관(21) 연결을 로드 커플링(22)으로 함으로써 각각의 로드 내관(21)이 회전되지 않으면서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로드 커플링(22)은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눈사람형, 사다리꼴형, 키홈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35는 참고선 고정대이고, 36은 시료채취 외관이며, 37은 시료채취 헤드이고, 38은 로드 외관이며, 39는 워터(굴진수)배출홀이고, 40은 중심조절체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는 불연속면의 방향성을 측정할 때 편리하게 실시함과 아울러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내통(10) 외측의 외통(30)이 회전되도록 함과 아울러 내통(10) 중의 리프터 케이스(14)에 라인용 돌기(15)와 가이드(19)를 형성하고, 상기 리프터 케이스(14)의 단부에 회전방지편(17)을 대칭 또는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시료채취 내관(13)에 일정 방향으로 연결하며, 워터 쉬벨(32)의 상측으로 참고선(18)이 형성된 로드(11)를 돌출시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방지편(17)은 양측이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내통(10)과 외통(30)은 베어링(20) 등을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통(10)은 리프터 케이스(14)와 시료채취 내관(13) 및 로드 내관(21)을 연결하여 형성한 것이고, 상기 외통(30)은 비트(31)와 시료채취 외관(36) 및 로드 외관(38)과 워터 쉬벨(32)을 연결하여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로드 커플링(22)을 여러가지 형태로 형성하여 연결함으로써 각각의 로드 내관(21)이 일정 방향으로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워터 쉬벨(32) 상측의 로드(11)에 원형각도기(33)를 부착하여 자북(N)과 참고라인의 방위각을 파악하는 것이고, 상기 자북과 참고라인의 방위각이 판별됨에 따라 정확한 굴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외통(30)을 회전시켜 비트(31)가 회전되게 하면, 비트(31)의 굴착으로 인해 직하방향으로 굴진이 이루어지고, 상기 굴진이 이루어짐에 따라 시료채취 내관(13) 내측으로 시료(암반시료)(16)가 점차적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시료채취 내관(13) 내측으로 유입되는 암반시료(16)는 라인용돌기(15)에 의해서 참고라인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참고라인은 로드(11)의 참고선(18)과 일치되는 것이며, 상기 시료채취 내관(13)으로 적정 길이의 암반시료(16)가 충진되면 암반시료(16)를 리프팅하는 것이다.
상기 리프팅은 리프터 케이스(14)의 돌기(미도시)에 의해서 암반시료(16)가 절단되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리프팅된 암반시료(16)를 시료채취 내관(13)에서 분리한 후 불연속면의 방향성을 계산하는 것이고, 상기 불연속면을 계산하기 위하여 각 불연속면의 최상부점과 최하부점의 차(Distance)를 구함과 아울러 참고라인과 최상부점 또는 최하부점의 방위각차를 알아내는 것이다.
상기 방향성 등의 판별은 도 15로 해결하는 것으로서, 절리의 발달 형태(a)와 사인커브(b)를 통해 파악하는 것이며, a에서 Azimuth는 암반시료(16)에 발달하는 절리면의 최고점이 나타내는 방향이고, 암반시료(1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볼때 Azimuth의 반대방향이 절리의 경사방향이 된다. 상기 암반시료(16)에 발달한 각 절리면에 대한 Azimuth의 방향은 참조라인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때 절리의 경사 방향은 [Azimuth + 180°또는 Azimuth - 180°]가 되며, 이것으로부터 주향(Strike)은 [경사방향 - 90°]가 된다. 절리의 경사는 암반시료(16)에 발달한 [절리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차(H)]와 [원통형인 암반시료의 직경(D)]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경사방향(Dip Direction) : [Azimuth + 180°] 또는 [Azimuth - 180°]
경사(Dip) : [Tan-1(H/D)]
여기서, 주향(Strike)은 [경사방향 - 90°]가 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널과 사면 등의 시추조사용으로 사용되는 시추기(1)에 결합된 상태에서 워터 쉬벨과 로드 및 시료채취관 등이 연결됨과 아울러 내통(10)과 외통(30)으로 분리된 이중관 방식의 시추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통(10)의 로드(11)를 브래킷(12)으로 고정시켜 회전이 정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작동체로 외통(30)을 회전시켜서 직하방향으로 굴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외통(30)의 하단에 비트(31)를 설치하여 굴착 및 시료채취가 가능하게 하며, 상기 내통(10)인 시료채취 내관(13)의 하측 리프터 케이스(14)에 라인용 돌기(15)를 형성하여 채취되는 코어(암반시료)(16)에 일직선(참고라인; Reference Line))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시료채취 내관(13)의 일정 위치에 결합되도록 리프터 케이스(14)에 회전방지편(17)을 형성하여 일정한 방향으로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외통(30)인 시료채취 외관(36)의 상측에 자기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자기장 방지로드(50)를 연결하고, 상기 자기장 방지로드(50) 내측인 내통(10)에 방향을 자동적으로 측정하는 이지샷(EZ-SHOT)(51)과 자기장 방지내관(52)을 순서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자기장 방지내관(52)의 하측에 시료채취 헤드(37)와 시료채취 내관(13)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이지샷(51)은 장심도에서 정확한 방향을 파악하는 것이며, 상기 이지샷(51)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기장 방지로드(50)와 자기장 방지내관(52) 등을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이지샷(51)은 보호케이스(53)로 커버링됨과 아울러 커플링(54)에 의해서 자기장방지내관(52)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는 장심도에서 불연속면의 방향성을 측정할 때 편리하게 실시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차이되는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시료채취 헤드(37) 상측에 이지샷(51)이 연결된 자기장 방지내관(52)을 연결하고, 상기 이지샷(51)의 외측에 자기장 방지로드(50)를 위치시켜 시료채취 외관(36)에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자기장 방지내관(52) 및 자기장 방지로드(50)는 자장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알미늄 또는 스테인레스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외통(30)을 회전시켜 비트(31)가 회전되게 하면, 비트(31)의 굴착으로 인해 직하방향으로 굴진이 이루어지고, 상기 굴진이 이루어짐에 따라 시료채취 내관(13) 내측으로 시료(암반시료)(16)가 점차적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시료채취 내관(13) 내측으로 유입되는 암반시료(16)는 라인용 돌기(15)에 의해서 참고라인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참고라인은 로드(11)의 참고선(18)과 일치되는 것이며, 상기 시료채취 내관(13)으로 적정 길이의 암반시료(16)가 충진되면 암반시료(16)를 리프팅한 후 방향성을 판별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는 도 12에서 참조되고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널과 사면 등의 시추조사용으로 사용되는 시추기(1)에 결합된 상태에서 워터 쉬벨과 로드 및 시료채취관 등이 연결됨과 아울러 내통(10)과 외통(30)으로 분리된 이중관 방식의 시추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통(10)의 로드(11)를 브래킷(12)으로 고정시켜 회전이 정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작동체로 외통(30)을 회전시켜서 직하방향으로 굴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외통(30)의 하단에 비트(31)를 설치하여 굴착 및 시료채취가 가능하게 하며, 상기 내통(10)인 시료채취 내관(13)의 하측 리프터 케이스(14)에 라인용 돌기(15)를 형성하여 채취되는 코어(암반시료)(16)에 일직선(참고라인; Reference Line))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시료채취 내관(13)의 일정 위치에 결합되도록 리프터 케이스(14)에 회전방지편(17)을 형성하여 일정한 방향으로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외통(30)인 시료채취 외관(36)의 상측에 자기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자기장 방지로드(50)를 연결하고, 상기 자기장 방지로드(50) 내측인 내통(10)에 방향을 자동적으로 측정하는 이지샷(EZ-SHOT)(51)과 자기장 방지내관(52)을 순서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자기장 방지내관(52)의 하측에 시료채취 내관(13)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이지샷(51)은 장심도에서 정확한 방향을 파악하는 것이며, 상기 이지샷(51)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기장 방지로드(50)와 자기장 방지내관(52) 등을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이지샷(51)은 보호케이스(53)로 커버링됨과 아울러 커플링(54)에 의해서 자기장 방지내관(52)에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통(10)인 이지샷(51) 상측의 보호케이스(53) 단부에 시료채취 헤드(37)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시료채취 헤드(37) 상측에 와이어(61)의 일단부가 고정된 홀더(60)를 연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61)의 타단부를 시추기(1)의 권취롤러(62)에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권취롤러(62)는 시추기(1)의 작동 단속에 의해서 와이어(61)를 당기거나 놓는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61)를 당기게 되면 시료(16)의 리프팅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와이어(61)를 놓게 되면 시료(16)의 충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는 장심도에서 불연속면의 방향성을 측정할 때 편리하게 실시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제 1, 2 실시예와 차이되는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시료채취 외관(36) 상측에 이지샷(51)이 연결된 자기장 방지내관(52)을 연결하고, 상기 이지샷(51)이 커버링된 보호케이스(53) 상측에 시료채취 헤드(37)를 연결하며, 상기 시료채취 헤드(37) 상측에 홀더(60)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이지샷(51)의 외측에 자기장 방지로드(50)를 위치시켜 시료채취 외관(36)에 연결하는 것이며, 상기 홀더(60)는 와이어(61)를 통해 권취롤러(62)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외통(30)을 회전시켜 비트(31)가 회전되게 하면, 비트(31)의 굴착으로 인해 직하방향으로 굴진이 이루어지고, 상기 굴진이 이루어짐에 따라 시료채취 내관(13) 내측으로 시료(암반시료)(16)가 점차적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시료채취 내관(13) 내측으로 유입되는 암반시료(16)는 라인용 돌기(15)에 의해서 참고라인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참고라인은 로드(11)의 참고선(18)과 일치되는 것이며, 상기 시료채취 내관(13)으로 적정 길이의 암반시료(16)가 충진되면 권취롤러(62)를 작동시켜 와이어(61)가 당겨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61)가 당겨짐과 동시에 홀더(60)와 시료채취 헤드(37) 및 이지샷(51)과 시료채취 내관(13) 등이 리프팅되는 것이고, 상기 시료채취 내관(13)이상승될 때 암반시료(16)도 리프팅됨으로써 암반시료(16)의 방향성을 간단하게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리프터 케이스에 라인용 돌기를 형성하여 암반시료에 참고라인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라인용 돌기의 대향지점에 가이드를 형성함으로써 라인용 돌기의 참고라인이 일직되게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리프터 케이스의 단부에 회전방지편을 형성하여 시료채취 내관에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됨에 따라 참고라인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고, 워터 쉬벨 상측으로 돌출되게 로드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로드에 참고선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에서 굴진방향을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하 암반내의 불연속면의 발달상태(방향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터널 및 사면의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설계 및 시공의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고, 터널의 굴착시 이루어지는 선진 시추에 의한 조사시에도 터널 붕괴의 원인이 되는 불연속면의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어 굴착전 선보강(Pre-Supporting)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오염된 지하수의 이동에 대한 검토시 오염원의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고, ATV나 BIPS에서 장비의 해상도 문제로 인식하지 못하는 미세한 불연속면에 대해서도 인식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최근 국내에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는 사면의 붕괴현장에 적용하여 사면붕괴 가능성을 파악하여 시공함으로써 사면 붕괴로 인한 피해 및 재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터널에 적용시 선보강을 수행할 수 있어 터널붕괴로 인한피해 및 추가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암반내 불연속면의 방향성을 파악하기 위한 특정한 조사비의 추가없이 필요한 자료를 취득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암반내 불연속면의 방향성을 파악하기 위한 장비의 도입을 줄일 수 있어 외화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시추기(1)에 결합된 상태에서 워터 쉬벨과 로드 및 시료채취관 등이 연결됨과 아울러 내통(10)과 외통(30)으로 분리된 이중관 방식의 시추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통(30)만 회전되면서 직하방향으로 굴진할 수 있게 외통(30)의 하단에 비트(31)를 설치하고, 상기 내통(10)인 시료채취 내관(13)의 하측 리프터 케이스(14)에 라인용 돌기(15)를 형성하며, 상기 시료채취 내관(13)의 일정 위치에 결합되도록 리프터 케이스(14)에 회전방지편(1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10)인 로드(11)를 워터 쉬벨(32)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로드(11)에 참고선(1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용 돌기(15)의 대향지점 양측에 가이드(19)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쉬벨(32) 상측의 로드(11)에 원형각도기(33)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30)인 시료채취 외관(36)의 상측에 자기장 방지로드(50)를 연결하고, 상기 자기장 방지로드(50) 내측인 내통(10)에 이지샷(51)과 자기장 방지내관(52)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자기장 방지내관(52)의 하측에 시료채취 내관(13)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지샷(51)은 보호케이스(53)로 커버링됨과 아울러 커플링(54)에 의해서 자기장 방지내관(5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10)인 이지샷(51) 상측에 시료채취 헤드(37)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시료채취 헤드(37) 상측에 와이어(61)가 고정된 홀더(60)를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61)의 단부를 시추기(1)의 권취롤러(62)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10)인 로드 내관(21) 연결을 로드 커플링(22)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
KR2020010022353U 2001-07-24 2001-07-24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 KR200253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353U KR200253914Y1 (ko) 2001-07-24 2001-07-24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353U KR200253914Y1 (ko) 2001-07-24 2001-07-24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406A Division KR100409048B1 (ko) 2001-07-24 2001-07-24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914Y1 true KR200253914Y1 (ko) 2001-11-23

Family

ID=7310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353U KR200253914Y1 (ko) 2001-07-24 2001-07-24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9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33105A1 (zh) 一种深井跨孔地下水流速流向及地质参数测定装置与方法
CN102162234B (zh) 一种岩土体表面位移实时监测装置及监测方法
CN110030939B (zh) 一种围岩线性位移测量装置及方法
CN110118516B (zh) 开采沉陷区地表裂缝测量方法
CN105700039A (zh) 一种城市道路勘探施工中探测地下管线的方法
US5553677A (en) Survey process for cable core borings and device for implementing it
CN113551637B (zh) 基于tbm施工隧洞全过程围岩变形的监测装置及方法
KR100409048B1 (ko)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
CN214427614U (zh) 一种基于bim的基坑周边管线与锚索碰撞检测的辅助装置
CN102183230B (zh) 一种钻孔内基准点锚固装置
KR200253914Y1 (ko)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
JP3271751B2 (ja) 沈下計測装置
CN110847141B (zh) 一种基于深部位移变形监测的边坡下滑推力计算方法
JP3772872B2 (ja) 原位置地盤の鉛直方向透水試験装置
CN110440696B (zh) 一种边坡深部连续位移监测装置和方法
JP3599925B2 (ja) 削孔情報計測装置および削孔管理方法
CN112612053A (zh) Tgp检波探头安装组件及安装方法
JP6696934B2 (ja) 地面から杭要素を引き抜く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0078585A (ja) 磁性材料埋設物の位置探査方法
JP2736689B2 (ja) 地層調査方法
CN220318602U (zh) 一种地基坑道倾斜度计量装置
CN212747775U (zh) 一种观测点空间位置监测装置
JPH0234244Y2 (ko)
CN216283544U (zh) Smw工法桩垂直度检测工具
CN213903824U (zh) 一种基于瞬变电磁法的土石坝渗漏诊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