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553Y1 - 와이어 인장볼트를 이용한 강재 가교의 하부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와이어 인장볼트를 이용한 강재 가교의 하부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553Y1
KR200253553Y1 KR2020010022961U KR20010022961U KR200253553Y1 KR 200253553 Y1 KR200253553 Y1 KR 200253553Y1 KR 2020010022961 U KR2020010022961 U KR 2020010022961U KR 20010022961 U KR20010022961 U KR 20010022961U KR 200253553 Y1 KR200253553 Y1 KR 200253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bridge
tension bolt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9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김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Priority to KR20200100229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5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55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가교의 하부를 구성하고 있는 강재빔 보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한개 이상의 와이어를 인장볼트를 통해 연결 설치하여 주어, 실사용시 가교의 상부에 고하중이 전가되더라도 이를 구성하고 있는 강재빔 보의 처짐과 비틀림 및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가교의 수명과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강재 가교의 하부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강이나 바다에 교량건설과 같은 해상공사를 취하기 위해 이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대형 중장비 및 작업자와 자재의 진출입 등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강재 가교에 있어서,
가교말뚝의 상부에 안치 고정되는 강재빔 보의 하부 전,후에 설치 고정되어 있되, 작업자에 의해 출몰 조정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인장볼트와; 상기 강재빔 보의 하부 중앙에 돌출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 앵커고리와; 상기 와이어 인장볼트와 와이어 앵커고리를 일정한 장력을 통해 상호간을 연결 유지하여 주는 와이어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인장볼트를 이용한 강재 가교의 하부보강구조{UNDER REINFORCEMENT STRUCTURE OF TEMPORARY BRIDGE USING A WIRE TENSION BOLT}
본 고안은 와이어 인장볼트를 이용한 강재 가교의 하부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교의 하부를 구성하고 있는 강재빔 보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한개 이상의 와이어를 인장볼트를 통해 연결 설치하여 주어, 실사용시 가교의 상부에 고하중이 전가되더라도 이를 구성하고 있는 강재빔 보의 처짐과 비틀림 및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가교의 수명과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와이어 인장볼트를 이용한 강재 가교의 하부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 또는 강이나 바다와 같은 해상에 시공되는 교량은 구조공학 또는 측량공학 분야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서, 이는 통상적으로 상,하부구조로 나누어 설명되어 진다.
여기서, 상부구조라 함은 차량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판 바닥틀과 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구조라 함은 상부구조로 부터의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교대, 교각 및 기초(말뚝 기초,우물통 기초등)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이 구성된 교량을 강이나 바다에 건설하기 위해서는 이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대형 중장비 및 작업자와 자재의 진출입 등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강재 가교의 시공이 필수적으로 먼저 수반되어져야 한다.
참고로 이러한 강재 가교는 소형 가교일 경우에는 경강당 약 6m의 길이를 취하고, 대형 가교일 경우에는 경간거리가 약 30m의 길이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상공사를 취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으로 먼저 수반되어야 하는 강재 가교의 시공은 통상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강이나 바다 깊이보다 긴 수직 강재 말뚝(1)을 수면 상으로 일정부위 노출되도록 고정 설치하고, 이 상부에 강재빔 보(2)를 길이방향으로 거치 시킨 후 상기 강재빔 보(2)의 상부에 발판이라 할 수 있는 복공판(4)을 설치 제작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설치 제작되는 강재 가교는 실사용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순서에 의거하여 나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강재빔 보를 지지하는 수직 강재 말뚝을 경간당 6.0m의 간격으로 한정 시공해야 하므로 재료비와 시공비로 인한 막대한 예산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이와 같이 수직 강재 말뚝을 경간당 6.0m의 간격으로 한정 시공하지 않을 경우 가교의 상부로 통행을 취하는 대형중장비와 같은 운송장비의 고하중에 의해 강재빔 보의 처짐과 비틀림이 심각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 이였다.
둘째,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시공을 취했다할지라도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가교의 상부로 통행을 취하는 대형중장비와 같은 운송장비의 고하중에 의해 강재빔 보에 처짐과 비틀림이 발생하여 잦은 복공판의 유실 및 대형 안전사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가교의 하부를 구성하고 있는 강재빔 보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한개 이상의 와이어를 인장볼트를 통해 연결 설치하여 주어, 실사용시 가교의 상부에 고하중이 전가되더라도 이를 구성하고 있는 강재빔 보의 처짐과 비틀림 및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가교의 수명과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강재 가교의 하부 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는 강이나 바다에 교량건설과 같은 해상공사를 취하기 위해 이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대형 중장비 및 작업자와 자재의 진출입 등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강재 가교에 있어서,
가교말뚝의 상부에 안치 고정되는 강재빔 보의 하부 전, 후에 설치 고정되어 있되, 작업자에 의해 출몰 조정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인장볼트와; 상기 강재빔 보의 하부 중앙에 돌출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 앵커고리와; 상기 와이어 인장볼트와 와이어 앵커고리를 일정한 장력을 통해 상호간을 연결 유지하여 주는 와이어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제시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강재 가교의 하부 보강구조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강재 가교의 하부 보강구조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강재 가교의 하부 보강구조의 요부 구성상태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 강재 가교의 문제점을 나타내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가교 말뚝 12 :강재빔 보
14 :복공판 16 :와이어 인장볼트
18 :와이어 앵커고리 20 :와이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강재 가교의 하부 보강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강재 가교의 하부 보강구조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강재 가교의 하부 보강구조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강재 가교의 하부 보강구조의 요부 구성상태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출몰 조정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되, 가교말뚝(10)의 상부에 안치 고정되는 강재빔 보(12)의 하부 전, 후에 와이어 인장볼트(16)가 설치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강재빔 보(12)의 하부 중앙에는 와이어 앵커고리(18)가 돌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인장볼트(16)와 와이어 앵커고리(18)의 사이에는 일정한 인장력을 통해 연결 유지하여 주는 와이어(20)가 연결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제작 순서와 실사용시 나타나는 작용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작은 가교말뚝(10)의 상부에 거치하기 전에 강재빔 보(12)의 하부 전, 후에 와이어 인장볼트(16)를 설치 고정하고, 하부 중앙에 와이어 앵커고리(18)를 설치 고정하면 된다.
그리고, 이 와이어 인장볼트(16)와 와이어 앵커고리(18)의 사이에 일정한 인장력을 통해 상호간을 연결 유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20)를 연결 제작하면 제작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제작이 완료된 본 고안은 가교말뚝(10)의 상부에 거치 되는 강재빔 보(12)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이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복공판(14)을 견고히 지지함과 동시에 실사용시 전달되어 오는 고하중에 효과적인 대응을 취해 실사용시 강재빔 보(12)의 처짐과 비틀림 및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설치 구조상 강재빔 보(12)의 전, 후는 가교말뚝(10)의 상부에 거치 되어 있어 실사용시 고하중이 전달되어 올 경우에도 피해가 최소로 발생되는 부위라고 할 수 있으나, 중앙 부위는 하중에 가장 취약하게 반응되는 부위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 강재빔 보(12)의 하부에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인장볼트(16)와 와이어 앵커고리(18)를 설치 고정하고, 이 사이에 일정한 인장력을 통해 상호간을 연결 유지하여 주는 와이어(20)를 설치하여 주어, 고하중에 다소 취약하게 반응하는 강재빔 보(12)의 중앙 부위를 인장력을 통해 지지하므로써 결과적으로 강재빔 보(12)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실사용시 강재빔 보(12)의 처짐과 비틀림 및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은 물론이고, 이에 의해 수직 강재 말뚝(10)을 경간당 6.0m의 간격으로 한정 시공하였던 것을 그 이상의 간격으로 시공 가능하게 되어 공사에 소요되는 재료비와 시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공사기 막대한 예산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과 대형 안전사고의 발생 및 복공판(14)의 유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실사용시 와이어(20)의 인장력이 저하되는 변동이 발생하거나 더욱더 지지력을 요하는 경우 등이 발생시에는 작업자가 와이어 인장볼트(16)를 조여 와이어(20)의 인장력을 높이는 등의 가변을 취할 수 있게 되어 수시로 변동하는 작업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은 기존의 강재 가교의 특성 즉, 이송과 설치 및 제작단가 등이 저렴하여야 한다는 기술요건을 모두 충족할 수 있는구성을 취하고 있어 기존의 강재 가교에 매우 저렴하고도 신속, 용이하게 접목을 취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술한 바와 같은 강재 가교의 하부 보강구조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알려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교의 하부를 구성하고 있는 강재빔 보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한개 이상의 와이어를 인장볼트를 통해 연결 설치하여 주어, 실사용시 가교의 상부에 고하중이 전가되더라도 이를 구성하고 있는 강재빔 보의 처짐과 비틀림 및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가교의 수명과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 강재 말뚝을 경간당 6.0m의 간격으로 한정 시공하였던 것을 그 이상의 간격으로 시공 가능하게 되어 공사에 소요되는 재료비와 시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효과 등이 있다.

Claims (1)

  1. 강이나 바다에 교량건설과 같은 해상공사를 취하기 위해 이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대형 중장비 및 작업자와 자재의 진출입 등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강재 가교에 있어서,
    가교말뚝(10)의 상부에 안치 고정되는 강재빔 보(12)의 하부 전, 후에 설치 고정되어 있되, 작업자에 의해 출몰 조정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인장볼트(16)와;
    상기 강재빔 보(12)의 하부 중앙에 돌출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 앵커고리(18)와;
    상기 와이어 인장볼트(16)와 와이어 앵커고리(18)를 일정한 장력을 통해 상호간을 연결 유지하여 주는 와이어(20)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가교의 하부 보강구조.
KR2020010022961U 2001-07-28 2001-07-28 와이어 인장볼트를 이용한 강재 가교의 하부보강구조 KR200253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961U KR200253553Y1 (ko) 2001-07-28 2001-07-28 와이어 인장볼트를 이용한 강재 가교의 하부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961U KR200253553Y1 (ko) 2001-07-28 2001-07-28 와이어 인장볼트를 이용한 강재 가교의 하부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553Y1 true KR200253553Y1 (ko) 2001-11-22

Family

ID=73067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961U KR200253553Y1 (ko) 2001-07-28 2001-07-28 와이어 인장볼트를 이용한 강재 가교의 하부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55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747B1 (ko) * 2002-02-21 2004-06-22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교량의 보수보강장치 및 방법
KR100783593B1 (ko) 2005-11-15 2007-12-11 (주) 대산개발 가설교량의 처짐방지장치
KR100874465B1 (ko) 2008-04-17 2008-12-18 (주)신흥이앤지 조립형 교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747B1 (ko) * 2002-02-21 2004-06-22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교량의 보수보강장치 및 방법
KR100783593B1 (ko) 2005-11-15 2007-12-11 (주) 대산개발 가설교량의 처짐방지장치
KR100874465B1 (ko) 2008-04-17 2008-12-18 (주)신흥이앤지 조립형 교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739B1 (ko)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장지간 교량 시공방법
RU2213187C2 (ru)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напряженная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балка с регулируемой силой натяжения
KR102080492B1 (ko)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KR100931317B1 (ko) 스트럿 및 타이부재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253553Y1 (ko) 와이어 인장볼트를 이용한 강재 가교의 하부보강구조
KR200312173Y1 (ko) 아치형 보가 기울어진 아치교
JP2000328519A (ja) アーチ橋基礎の構造
JP4324085B2 (ja) 既設橋における橋脚の全方向に対する耐震補強工法および耐震補強構造
KR200253552Y1 (ko) 강봉인장볼트와 기둥브라켓을 이용한 가교의 보강구조
KR100388660B1 (ko) 사장교의 주두부 시공 방법
CN210177371U (zh) 一种可打桩的斜拉悬臂式一体化架桥机
KR100487574B1 (ko) 강연선과 새들로 지지되는 거더형 브라켓을 이용한상부구조물 인상공법 및 장치
CN220057668U (zh) 一种桥梁施工加固结构
JPH11269825A (ja) 橋桁の架設方法及び引揚装置
JP3394519B2 (ja) 高架橋のコンクリート連続アーチ構造
KR200267992Y1 (ko) 아치형 강재보를 이용한 가교 구조
CN219195625U (zh) 一种斜拉索与主梁的锚固细部结构
CN212714460U (zh) 一种桥梁组件
KR101458091B1 (ko) 횡방향 프리모멘트 거더부재를 이용한 케이블교의 시공방법
KR200281100Y1 (ko) 긴장력을 이용한 연속식 장지간 강재 가설 교량
CN219117948U (zh) 一种拱桥用装配式锚箱
JP2003213619A (ja) 基礎上部工一体橋梁
CN217517954U (zh) 一种建筑工程用拼接式桁架支撑机构
CN212803275U (zh) 一种分段式预拼主拱架对拉提升装置
CN216074782U (zh) 一种跨河高架桥预制大跨径钢箱梁吊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