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894Y1 - 봉상물 조출부재 - Google Patents
봉상물 조출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2894Y1 KR200252894Y1 KR2020010023500U KR20010023500U KR200252894Y1 KR 200252894 Y1 KR200252894 Y1 KR 200252894Y1 KR 2020010023500 U KR2020010023500 U KR 2020010023500U KR 20010023500 U KR20010023500 U KR 20010023500U KR 200252894 Y1 KR200252894 Y1 KR 20025289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support
- shaped
- feeding member
- shaped artic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8—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the writing-cores fed by scre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turn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 B43L19/0075—Hand-held holders of the pencil type
- B43L19/0081—Hand-held holders of the pencil type of the mechanical pencil typ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봉상물의 후진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나사부와, 나사부의 한쪽 끝부분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중앙에는 나사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봉을 형성하고 지지봉에는 지름방향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하나이상의 지지날개가 돌출하여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봉상물 조출부재를 제공한다.
지지날개는 부채꼴형상으로 형성하고, 1단 또는 2단이상으로 배열하여 형성하거나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2단이상으로 형성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봉상물 조출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봉의 끝부분에 지지날개를 형성하여 봉상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봉상물 조출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풀, 지우개, 크레용, 연필 등의 봉상물을 조금씩 노출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조출작동이 이루어지는 봉상물 조출용기를 사용한다.
종래의 봉상물 조출용기는 도 7∼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봉상물(1)이 설치되며 양쪽 끝이 개방된 외통(2)과, 상기한 외통(2)의 한쪽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기구(4)와, 상기한 외통(2)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한 회전기구(4)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한 외통(2)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이동하도록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에는 봉상물(1)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하는 조출부재(10)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외통(2)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상기한 봉상물(1)의 노출되는 부분을 외부와 차단하여 보호하며, 외면 일부에 옷깃이나 주머니깃 등에 꽂을 수 있는 클립(9)이 형성되는 뚜껑(8)이 조립된다.
상기한 회전기구(4)는 상기한 외통(2)의 한쪽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부재(5)와, 상기한 회전부재(5)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한 외통(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한 조출부재(10)가 내부에 조립되는 작동부재(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조출부재(10)는 소정의 길이로 수나사가 형성되는 나사부(11)와, 상기한 나사부(11)와 일체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한 봉상물(1)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2)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회전기구(4)의 작동부재(6) 내면에는 상기한 나사부(11)의 나사홈에 삽입되는 하나이상의 작동돌기(7)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외통(2)의 내면에는 상기한 조출부재(10)의 지지부(12) 옆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안내홈(13)에 삽입되어 조출부재(10)의 회전을 구속하면서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3)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돌기(7)와 안내돌기(3)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회전기구(4)를 회전시키면 상기한 작동부재(6)가 상기한 외통(2)에 길이방향의 이동이 구속된 상태로 조립되므로 상기한 작동돌기(7) 제자리에서 회전하고, 상기한 작동돌기(7)와 나사부(11)가 결합된 조출부재(10)는 상기한 안내돌기(3)에 의하여 회전이 구속된 상태이므로 상기한 조출부재(10)는 회전기구(4)의 회전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조출작동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조출부재(10)가 조출작동을 수행함에 따라 조출부재(10)의 지지부(12)에 지지된 봉상물(1)이 외통(2)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은폐되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조출부재(10)의 지지부(12) 내면에는 봉상물(1)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돌기(14)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돌기(14)를 돌출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지지부(12)의 충전공간(15)에 채워지는 봉상물(1)의 일부가 지지돌기(14)에 걸려 이동이 구속되고 조출부재(10)와 일체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충전공간(15)에 채워지는 봉상물(1)의 일부에는 봉상물(1)의 충전시에 팽창되었다가 수축되는 지지부(12)의 탄성력에 의한 지지력도 함께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봉상물 조출용기에 있어서, 회전기구(4)의 회전에 따라 조출부재(10)가 전진이동하는 경우에는 봉상물(1)이 지지부(12)에 의하여 밀어올려지므로 봉상물(1)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조출부재(10)가 후진이동하는 경우에는 봉상물(1)이 조출부재(10) 지지부(12)의 탄성력 및 지지돌기(14)에 의하여 지지되어 이동하게 되는 데, 봉상물(1)이 고형풀과 같이 연질인 경우에는 봉상물(1)과 외통(2)의 내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봉상물(1)이 변형되면서 지지돌기(14)를 타넘게 되고, 봉상물(1)이 지지부(12)로 이탈되어 후진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특히 봉상물(1)의 지름이 10㎜이내로 작은 경우에는 상기한 지지돌기(14)에 의한 지지력이 작아지므로, 봉상물(1)의 이탈현상이 심화된다.
상기와 같이 봉상물(1)이 지지부(12)로부터 이탈되어 후진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봉상물(1)의 끝부분이 외통(2)의 외부로 크게 노출된 상태로 존재하여 뚜껑(8)을 닫는 경우에 뚜껑(8)에 봉상물(1)이 부착됨은 물로, 봉상물(1)의 형상이 크게 손상되며, 주변을 오염시키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봉상물의 전후 이동시 지지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봉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기둥형상의 지지봉을 형성하고 그 외면에 지지날개를 형성하는 봉상물 조출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봉상물 조출부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봉상물 조출부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봉상물 조출부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봉상물 조출부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봉상물 조출부재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종래 봉상물 조출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종래 조출부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봉상물 조출부재는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한 나사부의 한쪽 끝부분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중앙에는 나사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봉을 형성하고 상기한 지지봉에는 지름방향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하나이상의 지지날개가 돌출하여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지지부의 나사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봉상물 조출용기의 외통에 형성하는 안내돌기가 삽입되는 안내홈을 형성한다.
상기한 지지날개는 부채꼴형상으로 형성하고, 1단 또는 2단이상으로 배열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지지날개의 부채꼴형상 각도는 대략 30∼120°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지지날개의 각도가 30°보다 작으면 지지력이 약하며, 120°보다 크면 분할금형방식의 사출성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어렵다.
상기한 지지날개는 상기한 지지봉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90°이내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지지날개는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2단이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봉상물 조출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봉상물 조출부재의 제1실시예는 도 1∼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나사부(20)와, 상기한 나사부(20)의 한쪽 끝부분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중앙에는 나사부(20)와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봉(34)을 형성하고 상기한 지지봉(34)에는 지지날개(36)가 지름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지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지지부(30)는 상기한 나사부(20)와 지지봉(34)이 위아래로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지지판(31)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봉상물 조출부재의 제1실시예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봉상물 조출용기에 있어서 종래의 조출부재(10) 대신에 교체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지지부(30)의 지지판(31)의 외주면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봉상물 조출용기의 외통(2)에 형성하는 안내돌기(3)가 삽입되는 안내홈(32)을 형성한다.
상기한 안내홈(32)은 종래 조출부재(10)의 안내홈(13)과 마찬가지로 외통(2)의 안내돌기(3)가 삽입됨에 따라 조출부재의 회전을 구속하여 나사부(20)와 회전기구(4)의 작동부재(6)에 형성된 작동돌기(7) 사이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전후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지지날개(36)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를 갖는 부채꼴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지지날개(36)의 부채꼴형상 각도는 대략 30∼120°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지지날개(36)의 각도가 30°보다 작으면 지지력이 약하며, 120°보다 크면 분할금형방식의 사출성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지지날개(36)의 부채꼴형상 각도는 대략 30∼120°범위에서 설정하는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90°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지지날개(36)는 상기한 지지봉(34)과 수직(90°)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한다.
상기한 지지날개(36)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단이상으로 배열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지지날개(36)를 2단이상으로 배열하는 경우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지지날개(36)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지지봉(34)과 90°이내의 각도(예를 들면 30°, 45°, 60° 등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지지날개(36)는 지지봉(34)과 대략 30∼90°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에서 지지날개(36)와 지지봉(34)이 이루는 각이 30°보다 작으면, 지지력이 작아지고 봉상물(1)을 뚫고 나올 우려가 있다.
상기한 지지날개(36)를 90°이내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으로 경사지는 지지날개(36)와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지지날개(36)를 조합하여 함께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봉상물 조출부재의 일실시예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봉상물 조출용기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회전기구(4)를 정회전시켜 봉상물(1)을 전진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한 지지날개(36) 및 지지판(31)에 의하여 봉상물(1)이 밀어올려지고, 회전기구(4)를 역회전시켜 봉상물(1)을 후진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한 지지날개(36)에 의하여 봉상물(1)이 지지되어 잡아당겨진다.
즉 지지날개(36)가 봉상물(1)의 지름방향으로 넓은 면적으로 보유하며, 지지날개(36)의 아래쪽에 봉상물(1)의 일부가 존재하므로 일체로 형성된 봉상물(1)이 지지날개(36)의 압력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봉상물 조출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봉상물 조출부재에 의하면, 봉상물의 후진이동중에도 봉상물이 넓은 면적을 갖는 지지날개에 의해 지지되므로 지지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조출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항상 봉상물의 보관시에 안전하게 외통안에 봉상물을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봉상물의 손상이나 뚜껑 등의 오염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5)
-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나사부와,상기한 나사부의 한쪽 끝부분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중앙에는 나사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봉을 형성하고 상기한 지지봉에는 지지날개가 지름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봉상물 조출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날개는 30∼120°의 각도를 갖는 부채꼴형상으로 형성하는 봉상물 조출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날개는 상기한 지지봉과 30∼90°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는 봉상물 조출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날개는 2단이상으로 배열하여 형성하는 봉상물 조출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지지날개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2단이상으로 형성하는 봉상물 조출부재.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3500U KR200252894Y1 (ko) | 2001-08-02 | 2001-08-02 | 봉상물 조출부재 |
US10/010,353 US20030026939A1 (en) | 2001-08-02 | 2001-11-13 | Core guide assembly for stationery article |
DE10156000A DE10156000A1 (de) | 2001-08-02 | 2001-11-15 | Kernführungsvorrichtung für einen Schreibwarenartikel |
CN01144301A CN1401506A (zh) | 2001-08-02 | 2001-12-14 | 文具用芯体导向组件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3500U KR200252894Y1 (ko) | 2001-08-02 | 2001-08-02 | 봉상물 조출부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52894Y1 true KR200252894Y1 (ko) | 2001-11-26 |
Family
ID=1970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3500U KR200252894Y1 (ko) | 2001-08-02 | 2001-08-02 | 봉상물 조출부재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030026939A1 (ko) |
KR (1) | KR200252894Y1 (ko) |
CN (1) | CN1401506A (ko) |
DE (1) | DE1015600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3925Y1 (ko) | 2011-03-17 | 2011-06-02 | 주식회사모나미 | 봉상물 출납부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633175A4 (en) * | 2003-09-29 | 2009-11-11 | Ibiden Co Ltd | INSULATION INTERIOR FOR PRINTED CONNECTION CARD, PRINTED CONNECTION C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496158A (en) * | 1921-09-15 | 1924-06-03 | Hyman E Golber | Pencil |
JP3560842B2 (ja) * | 1998-08-27 | 2004-09-02 | 壽印刷紙工株式会社 | 回転式棒状物繰り出し具 |
-
2001
- 2001-08-02 KR KR2020010023500U patent/KR20025289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11-13 US US10/010,353 patent/US2003002693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1-11-15 DE DE10156000A patent/DE10156000A1/de not_active Withdrawn
- 2001-12-14 CN CN01144301A patent/CN1401506A/zh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3925Y1 (ko) | 2011-03-17 | 2011-06-02 | 주식회사모나미 | 봉상물 출납부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156000A1 (de) | 2003-02-20 |
CN1401506A (zh) | 2003-03-12 |
US20030026939A1 (en) | 2003-0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13661B1 (en) | Retractable felt-tipped pen | |
EP3225127A1 (en) | Tubular container comprising applicator | |
US7059796B2 (en) | Self-sealing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 |
WO2002045780A3 (en) | Syringe barrel and plunger assembly having ellipsoidal configurations | |
US3989392A (en) | Dispensing device | |
KR101159243B1 (ko) | 자동 밀폐 구조를 갖는 원터치식 겔 용기 | |
KR200252894Y1 (ko) | 봉상물 조출부재 | |
JPH062787Y2 (ja) | 塗布具 | |
US9301590B2 (en) | Retractable cosmetic pencil | |
KR200252880Y1 (ko) | 봉상물 조출부재 | |
US6200048B1 (en) | Stable propel/repel mechanism | |
KR940006144B1 (ko) | 봉상물조출용기 | |
JP2003159119A (ja) | 棒状化粧材繰出容器 | |
JP2006219174A (ja) | 内容物押出し容器 | |
CN215603749U (zh) | 一种用于棒状物的容器 | |
JPH0747053Y2 (ja) | 液状化粧料容器 | |
CN100491137C (zh) | 具有速开盖的棒形粘胶分配器 | |
KR200255932Y1 (ko) | 고형상 도포구 | |
GB2104848A (en) | Writing instrument | |
KR930005402Y1 (ko) | 녹크 형태의 화장품 용기 | |
JP4620496B2 (ja) | 棒状化粧料容器及び棒状化粧料繰出容器 | |
KR200171350Y1 (ko) | 펜형 지우개 사용 기구 | |
JP6511325B2 (ja) | 回転繰出容器 | |
JP4559717B2 (ja) | 棒状化粧材両軸繰出容器 | |
EP0209361A3 (en) | Material applic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928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