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710Y1 - 잉크젯 프린터의 디플렉터 구조_ - Google Patents

잉크젯 프린터의 디플렉터 구조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710Y1
KR200251710Y1 KR2019980028221U KR19980028221U KR200251710Y1 KR 200251710 Y1 KR200251710 Y1 KR 200251710Y1 KR 2019980028221 U KR2019980028221 U KR 2019980028221U KR 19980028221 U KR19980028221 U KR 19980028221U KR 200251710 Y1 KR200251710 Y1 KR 200251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riction roller
plate member
roll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850U (ko
Inventor
최동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28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71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8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8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710Y1/ko

Links

Landscapes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송롤러와 마찰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의 선단이 원활하게 잉크카트리지의 노즐 하부로 이송되도록 하여 용지의 잼 현상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한 잉크젯 프린터 디플렉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송롤러와 마찰롤러 사이를 통해 배출되는 용지를 잉크카트리지의 노즐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마찰롤러가 삽입되어 회동되도록 마찰롤러 삽입공을 구비한 판부재로 이루어진 잉크젯 프린터의 디플렉터 구조에 있어서,
판부재의 삽입공 내벽에는 상기 용지 선단을 판부재의 하면으로 유도하기 위해 용지 유도부를 판부재의 상부면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터의 디플렉터 구조
본 고안은 잉크젯 프린터의 디플렉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롤러와 마찰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의 선단이 원활하게 잉크카트리지의 노즐 하부로 이송되도록 하여 용지의 잼 현상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한 잉크젯 프린터 디플렉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매 이상의 용지(1)가 급지플레이트(2)에 적재된 상태에서 픽업 롤러(미도시)와 세퍼레이터(미도시)에 의해 낱장씩 프린트헤드(3)쪽으로 이송되며, 이송되는 용지(1)에는 헤드(3)에 설치된 잉크카트리지(4)를 통과하면서 프린팅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픽업 롤러와 잉크카트리지(4) 사이에는 용지(1)를 잉크카트리지(4)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 이송수단은 잉크카트리지(4)의 노즐부(41) 하방 후측에 설치되는 이송롤러(6)와, 프린터헤드(3) 후측의 프린터 본체 프레임(5)에 힌지(51)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이송롤러(6)의 축방향 길이 전체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양단이 시소 방식 타입으로 회동하는 회동부재(7)와, 프린터헤드(3) 후측에 대응되는 회동부재(7)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찰롤러(8)와, 마찰롤러(8)가 이송롤러(6)의 외주면에 항상 접촉되는 상태가 되도록 마찰롤러(8)가 설치된 반대편에 해당되는 회동부재(7)의 단부와 프레임(5)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9)으로 이루어져 있다.
회동부재(7)의 단부와 프레임(5)을 코일 스프링(9)으로 연결 설치함으로써, 회동부재(7)는 힌지(51)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마찰롤러(8)가 항상 이송롤러(6)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상태가 되며, 급지 롤러(미도시)에서 급지되어 이송된 용지(1)의 선단을 인입시켜 잉크카트리지(4)의 노즐(41) 하부를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잉크젯 프린터의 동작시 노즐(41)과 용지(1)면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이송롤러(6)와 마찰롤러(8) 사이를 통해 배출되어야 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노즐(41)로부터 분사되는 잉크가 분무되어 용지(1)에 인쇄된 상태가 양호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이송롤러(6)와 마찰롤러(8) 사이를 통해 배출되는 용지(1)의 선단과 잉크카트리지(4)의 노즐(41)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함과 아울러 이송롤러(6)와 마찰롤러(8)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1)의 선단을 안내하는 디플렉터(deflector)를 설치하였다.
더 상세하게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플렉터는 대략 이송롤러(6)의 축방향 길이 전체에 해당되는 크기를 갖는 사각 형상의 판부재(10)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판부재(10)에는 수개의 회동부재(7)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마찰롤러(8)가 삽입되어 회동되는데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마찰롤러 삽입공(10a)이 형성되어 있다.
마찰롤러 삽입공(10a)은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판부재(10)를 회동부재(7)에 설치하는 방법은, 우선, 판부재(10)를 마찰롤러(8)가 설치된 회동부재(7)의 단부에 위치시키되, 마찰롤러 삽입공(10a)과 마찰롤러(8)를 대응시킨다.
이후에, 마찰롤러 삽입공(10a)에 마찰롤러(8)가 삽입되도록 한 후에, 판부재(10)를 회동부재(7)의 하면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간격 유지 수단인 판부재(10)를 회동부재(7)에 고정 설치하게 되면, 판부재(7)의 단부는 잉크카트리지(4)의 노즐(41) 하부에 인접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이송롤러(6)와 마찰롤러(8)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1)의 선단은 판부재(10)의 하면으로 가이드되어 잉크카트리지(4)의 노즐(41) 하부를 통과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인쇄할 용지의 상태, 즉, 습기등의 외부 환경에 의해 선단부의 일부분이 일직선이 되지 않고 변형이 생긴 상태의 용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1) 선단(1a)중 변형된 부분이 판부재(10)에 형성된 마찰롤러 삽입공(10a)과 마찰롤러(8) 사이의 갭으로 빠져나가거나, 마찰롤러 삽입공(10a)의 내측면에 걸리는 등 이송롤러(6)와 마찰롤러(8) 사이를 통과한 후에, 용지(1)의 선단(1a)이 판부재(10)의 하면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배출되는 정상적인 용지 이송 과정을 수행하지 않게 되어, 결국에는 용지 잼(jam)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송롤러와 마찰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의 선단이 원활하게 잉크카트리지의 노즐 하부로 이송되도록 하여 용지의 잼 현상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한 잉크젯 프린터의 디플렉터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의 내부로 용지가 이송되는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지시선 "A"부의 확대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잉크젯 프린터의 디플렉터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지시선 "B-B"선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디플렉터가 적용된 잉크젯 프린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디플렉터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지시선 "C-C"선의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이송롤러와 마찰롤러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이송롤러
8 : 마찰롤러
21 : 삽입공
22 : 용지 유도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송롤러와 마찰롤러 사이를 통해 배출되는 용지를 잉크카트리지의 노즐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마찰롤러가 삽입되어 회동되도록 마찰롤러 삽입공을 구비한 판부재로 이루어진 잉크젯 프린터의 디플렉터 구조에 있어서, 판부재의 삽입공 내벽에는 상기 용지 선단을 상기 판부재의 하면으로 유도하기 위해 용지 유도부를 상기 판부재의 상부면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잉크젯 프린터의 디플렉터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상 종래 기술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한다.
이송롤러(6)와 마찰롤러(8) 사이를 통해 배출되는 용지(1)의 선단을 안내하여 용지(1)의 상면과 잉크카트지지(미도시)의 노즐(미도시)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디플렉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롤러(6)의 축방향 길이 전체에 해당되는 크기를 갖는 사각 형상의 판부재(20)로 이루어지며, 이 판부재(20)에는 수개의 회동부재(7)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마찰롤러(8)가 삽입되어 회동되는데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삽입공(21)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21) 각각의 내벽중 이송롤러(6)와 마찰롤러(8) 사이를 통과한 용지(1)의 선단과 대응되는 내벽의 일부 구간에는 이송롤러(6)와 마찰롤러(8) 사이를 통해 배출되는 용지(1)의 선단을 판부재(20)의 하면으로 유도하기 위한 용지 유도부(22)가 형성된다.
이 용지 유도부(22)는 삽입공(21)의 내벽과 마찰롤러(8)의 외주면 사이의 갭 상에서 판부재(20)의 상면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게 연장 형성된다.
결국, 용지 유도부(22)가 형성됨에 따라 이 용지 유도부(22)의 단부(22a)와 용지 유도부(22)가 형성되지 않은 삽입공(21)의 다른 내벽 사이의 공간에 마찰롤러(8)의 일부분이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적어도 한매 이상의 용지(1)가 급지플레이트(미도시)에 적재된 상태에서 픽업 롤러(미도시)와 세퍼레이터(미도시)에 의해 낱장씩 픽업되어 이송롤러(6)와 마찰롤러(8) 사이를 통과한 후에, 그 용지(1)의 선단은 판부재(20) 하면의 안내를 받아 잉크카트리지(미도시)의 노즐(미도시)을 통과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지(1)의 선단이 판부재(20)의 하면의 안내를 받는 경우에는 용지의 상태가 매우 양호한 경우이다.
한편, 급지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의 외관 상태가 매우 불량한 상태, 다시 말하면, 습기에 의해 변형된 상태의 용지가 급지된 경우에는 이송롤러(6)와 마찰롤러(8) 사이를 통과한 후에, 그 용지(1) 선단의 변형된 부분은 판부재(20)의 하면으로 곧바로 이동하지 않고, 용지 유도부(22)측으로 이동될 경우가 생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용지(1) 선단의 변형된 부분은 용지 유도부(22)의 하면의 안내를 받아 판부재(20)의 하면으로 이동되어 잉크카트리지의 노즐 하부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외관 형상이 불량한 용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외관이 양호한 용지를 사용할때와 마찬가지로 인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이송롤러와 마찰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의 선단이 원활하게 잉크카트리지의 노즐 하부로 이송되도록 하여 용지의 잼 현상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이송롤러와 마찰롤러 사이를 통해 배출되는 용지를 잉크카트리지의 노즐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마찰롤러가 삽입되어 회동되도록 마찰롤러 삽입공을 구비한 판부재로 이루어진 잉크젯 프린터의 디플렉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의 삽입공 내벽에는 상기 용지 선단을 상기 판부재의 하면으로 유도하기 위해 용지 유도부를 상기 판부재의 상부면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디플렉터 구조.
KR2019980028221U 1998-12-31 1998-12-31 잉크젯 프린터의 디플렉터 구조_ KR200251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221U KR200251710Y1 (ko) 1998-12-31 1998-12-31 잉크젯 프린터의 디플렉터 구조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221U KR200251710Y1 (ko) 1998-12-31 1998-12-31 잉크젯 프린터의 디플렉터 구조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850U KR20000014850U (ko) 2000-07-25
KR200251710Y1 true KR200251710Y1 (ko) 2002-02-19

Family

ID=6950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221U KR200251710Y1 (ko) 1998-12-31 1998-12-31 잉크젯 프린터의 디플렉터 구조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7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850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9519B1 (ko) 잉크젯프린팅헤드를 이용한 기기에 있어서 용지급지장치
JP4708166B2 (ja) プリント済みシートのための排出システム
KR100657311B1 (ko) 어레이 잉크젯 헤드 및 이를 채용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KR19980027490A (ko) 잉크 젯 프린터의 용지걸림 방지 구조
KR970004230B1 (ko) 잉크제트프린터
US6752553B2 (en) Recording apparatus
US6540420B2 (en) Recording apparatus
KR200251710Y1 (ko) 잉크젯 프린터의 디플렉터 구조_
JP2001146340A (ja) プリンタの媒体形状制御用内部紙案内
JP4410362B2 (ja) 記録ヘッドの位置決め機構
US20070126791A1 (e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US6345819B1 (en) Paper feeding apparatus in a printer
US7044595B2 (en) Apparatus to control static electricity in an ink-jet printer
KR100437160B1 (ko) 프린터의 용지이송장치
KR200379332Y1 (ko) 프린터의 용지 이송 장치
KR100205751B1 (ko) 잉크젯 프린터의 페이퍼휨에 의한 잼방지장치
JP2010083599A (ja) 印刷装置
KR100205752B1 (ko) 페이퍼휨 현상에 의한 잼방지가 되는 잉크젯 프린터
KR100205749B1 (ko) 화상형성장치의 페이퍼잼 방지장치
KR200151935Y1 (ko) 잉크젯 프린터의 배지장치
JP3797211B2 (ja) 記録装置
JP3348253B2 (ja) 媒体ガイド機構
KR100205600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급지용 확장가이드장치
KR200143410Y1 (ko)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JP2569231Y2 (ja) 印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