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662Y1 - 안전의복 - Google Patents

안전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662Y1
KR200251662Y1 KR2020010022657U KR20010022657U KR200251662Y1 KR 200251662 Y1 KR200251662 Y1 KR 200251662Y1 KR 2020010022657 U KR2020010022657 U KR 2020010022657U KR 20010022657 U KR20010022657 U KR 20010022657U KR 200251662 Y1 KR200251662 Y1 KR 2002516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band
clothing
safety clothing
wai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윤
Original Assignee
최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윤 filed Critical 최명윤
Priority to KR2020010022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6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6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66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철도와 같은 영역에서 작업자가 차량 운전자에게 보다 쉽게 인식(발견)되어 조심 및 양보운전토록 하므로서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안전의복에 관한 것 으로서,
이는, 안전의복의 크기를 착용자의 신체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면서 착용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음과,
신체에 대한 안전의복의 착용상태가 밀착되도록 허리부분에 탄성밴드가 구비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의복{A safety clothes}
본 고안은 환경미화원, 도로작업자, 철도작업자, 교통관리자 등의 업무 내지 작업시 안전을 위해 착용하는 안전의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의복에 대해 길이조절수단과 탄성밴드를 마련하여 신체의 크기에 따라 의복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착용토록 함과 아울러 의복의 착용시 탄성밴드에 의한 밀착 착용상태를 유지토록 하므로서 작업과정에서 의복이 임의 물체에 걸림에 따른 위험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안전의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 기재와 같은 목적으로 착용 사용되는 안전의복으로는 여러 형태가 개발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안전의복이라고 하면, 교통경찰이나 순시원 및 도로(청소)작업자 등 야간에 도로상에서 근무해야 할 사람들이 착용하는 것으로서, 작업중 운행중인 차량의 전조등에 의해 빛반사를 하며, 또 안전의복에 부착된 띠(형광띠 등)에 따라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게 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사람이 있다는 것을 인식시키고, 조심 양보운전토록 경고하는 효과를 갖는 것입니다.
또한 안전의복은 작업과정에서 임의 어떤 물체에 걸리게 됨에 따른 위험성(작업차량, 기차 등에 의복이 걸릴 경우)이 항상 내재되어 있는 바,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간편한 형태를 가져야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위와 같은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안전의복은 허리부분, 등부분, 앞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위 각각의 부분에는 형광 또는 발광부재로 된 띠나 LED등을 배치하여 운행중인 차량에 대해 작업자를 알리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안전의복의 경우에는 크기조절이 불가능한 동일한 크기 형태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합리적이지 못함과 그에 따른 착용시 신체에 대해 착용감이 저하되었고, 신체가 작은 사람이 착용시에는 밀착성이 없어 헐렁한 상태를 갖게됨에 따라 작업과정에서 임의 어떤 물체에 걸리게 되었을 경우 예를 들어, 청소작업중 작업자의 의복이 청소차의 일부에 걸리게 되었을 경우, 기차점검시 기차에 의복이 걸리게 되었을 경우 등 작업자에게 위험부담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작업상의 번잡함과 착용상태에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착용자의 신체에 따라 선택적으로 안전의복의 크기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착용토록 함과 아울러 안전의복의 착용시 탄성밴드에 의해 밀착성을 가지도록 하여 양호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함과 작업과정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안전의복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의복의 전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의복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허리부분 2 ; 앞부분 3 ; 등부분
4 ; 표시부재 5 ; 접착식 파스너테이프 6 ; 접착식 파스너테이프
10 ; 길이조절수단 11 ; 제1부재 11a ; 돌기
12 ; 제2부재 12a ; 삽입구멍 13 ; 가림띠
14 ; 고리 20 ; 탄성밴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의복을 전개상태로 보인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안전의복은 허리부분(1), 앞부분(2) 및 등부분(3)으로 구분되며, 도1과 같은 전개형태를 가지도록 견고한 망사부재로 재단되고, 위 망사부재의 가장자리는 테부재로 마무리되어 있으며, 바같면에는 자체에서 빛을 발하거나 빛을 반사하는 형태의 표시부재(4)에 해당하는 반사띠,형광띠, 축광띠, LED 등이 선택적으로 채택되어 부착 내지 배치되어 있으며, 허리부분(1)에는 접착식 파스너테이프(5)를 적용하여 연결되도록 함과 앞부분(2)에도 접착식 파스너테이프(6)를 두어 착용시 앞면 벌어짐을 방지토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위 기재된 접착식 파스너테이프(5)(6)대신에 허리부분(1)과앞부분(2)의 양단(쪽)을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라면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길이조절수단(10)이 앞부분(1)의 띠부재에 한쌍으로 마련되어 있는 구성이다. 위 길이조절수단(1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합니다.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안전의복의 사시도면으로서,
위 기재된 바와 같이 앞부분(1)의 절단된 양단중 일단에는 제1부재(11)가, 타단에는 제2부재(12)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길이조절수단(10)이 구비되어 있고, 허리부분(1)의 일정영역에는 탄성밴드(20)가 마련되어 있으며, 허리부분(1)과 앞부분(2)각각에는 접착식 파스너테이프(5)(6)가 구비되어 접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탄성밴드(20)는 탄성이 양호하고 견고한 재질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허리부분(1)에 재봉에 의해 연결 구성되는 것이며, 안전의복의 착용시 위 탄성밴드(20)의 탄력에 의해 허리부분(1)이 신체에 밀착되는 것이다.
한편, 안전의복의 앞부분(1)에 한쌍으로 마련되어 안전의복이 신체에 대해 밀착 착용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역할의 길이조절수단(10)구성에 대해 위 도1과 도2를 통해 설명하면,
앞부분(1)의 양쪽 띠부재에 배치되는데, 이때 띠부재를 절단하여 일측에는 돌기(11a)가 구비된 제1부재(11)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돌기(11a)가 삽입/분리 가능토록 삽입구멍(12a)을 갖춘 제2부재(12)가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위길이조절수단(10)이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는 역할의 가림띠(13)가 띠부재의 양측 중 일측에 대해 구비되며, 가림띠(13)가 구비되지 아니한 띠부재의 타측에는 가림띠(13)의 단부를 끼우도록 고리(14)가 구비된 구성입니다.
여기서, 위 길이조절수단(10)의 구조로는 작업자가 간편하게 앞부분(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그 조절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수단(접착식파스너밴드, 단추 등)이라면 어떤 것을 적용하여도 상관은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안전의복의 착용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1의 전개도에서 앞부분(2)을 도2와 같이 접어준 다음 허리부분(1)에 구비된 한쌍의 접착식 파스너테이프(5)를 접착시켜 조끼형태의 안전의복을 형성하여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착용자는 통상적인 조끼의 착용방식으로 본 고안에 의한 안전의복을 신체에 걸친 다음 앞부분(2)에 마련된 접착식 파스너테이프(6)를 접착시켜서 착용을 완료하고, 안전의복의 탈의시에는 앞부분(2)에 마련된 접착식 파스너테이프(6)를 떼어낸 다음 통상의 방식으로 탈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안전의복의 착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맞추어 밀착되게 착용하고자 할 때는, 앞부분(2)에 마련된 길이조절수단(10)에 해당하는 제1부재(11)의 돌기(11a)와 제2부재(12)의 삽입구멍(12a)을 이용하여 앞부분(2)의 띠부재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앞부분의 띠부재길이를 늘이거나 줄이고자 할 때는 도면상에서 제2부재의 삽입구멍(12a)에 대한 제1부재(11)의 돌기(11a)삽입위치를 상 또는 하방향으로변경하면 늘임 및 줄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위와 같이 길이조절 완료 후에는 가림띠(13)를 고리(14)에 끼워 길이조절수단(10)이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좋게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체에 따라 길이조절수단(10)을 이용하여 늘임과 줄임이 가능하므로 착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따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안전의복의 크기(길이)를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때 돌기(11a)와 삽입구멍(12a)은 분리/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허리부분(1)에 탄성밴드(2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의복의 착용상태에서 탄성밴드(20)의 탄력적 신축작용에 의해 안전의복의 허리부분(1)은 신체에 대해 밀착상태를 갖게되는 것이고, 이에 의해 안전의복은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밀착된 착용상태를 갖게 되는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안전의복은, 길이조절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착용자는 신체에 따라 안전의복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밴드의 탄력적 신축에 의해 안전의복이 신체에 밀착 착용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착용감이 양호하고, 특히 밀착 착용상태를 유지하므로 작업과정에서 임의 물체(부위)에 걸림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작업과정에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허리부분(1), 앞부분(2), 등부분(3)으로 구분되고, 상기의 부분에 대해 자체에서 빛을 발하거나 빛반사하는 표시부재(4)가 부착된 공지의 안전의복에 있어서,
    안전의복의 착용시 밀착성을 유지하도록 허리부분(1)에 대해 탄성밴드(20)를 구비한 것과,
    착용자의 신체에 따라 안전의복의 줄임과 늘임이 가능토록 앞부분(2)에 대해 돌기(11a)를 갖춘 제1부재(11)와 삽입구멍(12a)을 갖춘 제2부재(12)로 이루어진 길이조절수단(10)을 구비한 것과,
    앞부분(2)의 띠부재에 가림띠(13)와 고리(14)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의복.
KR2020010022657U 2001-07-26 2001-07-26 안전의복 Expired - Fee Related KR2002516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657U KR200251662Y1 (ko) 2001-07-26 2001-07-26 안전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657U KR200251662Y1 (ko) 2001-07-26 2001-07-26 안전의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662Y1 true KR200251662Y1 (ko) 2001-11-22

Family

ID=73105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657U Expired - Fee Related KR200251662Y1 (ko) 2001-07-26 2001-07-26 안전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6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0959A1 (en) * 2006-10-23 2008-05-02 Techwarm Co., Ltd Freely size-controllable outerwear
KR102114578B1 (ko) 2019-03-15 2020-05-25 박윤정 안전의복 및 이 안전의복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0959A1 (en) * 2006-10-23 2008-05-02 Techwarm Co., Ltd Freely size-controllable outerwear
KR102114578B1 (ko) 2019-03-15 2020-05-25 박윤정 안전의복 및 이 안전의복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8533A (en) Illuminated safety garment
US4849863A (en) Safety light and sweat belt
US5779348A (en) Illuminated safety shoulder strap
US5193026A (en) Reflective safety stripes
US7147339B2 (en) EL lighted garment with reduced glow up
US7735152B2 (en) EL lighted garment with tear away feature
US4517685A (en) Retro-reflective attachment for wearing apparel
US6769138B2 (en) Safety vest and other clothing articles
JPH06195029A (ja) 安全表示装置
US2656763A (en) Luminescent signaling device
KR200251662Y1 (ko) 안전의복
KR100464276B1 (ko) 애완견용 목줄 연결장치
JP3078514U (ja) ベスト
JP2000054206A (ja) 夜間作業用装身具
KR200176030Y1 (ko) 안전조끼
CN219306090U (zh) 一种带照明功能的休闲裤
KR200224442Y1 (ko) 안전조끼
KR100558775B1 (ko) 안전조끼
JP3070490U (ja) 反射チョッキ
CN210630670U (zh) 裤脚可拆的服装
JP3035301U (ja) 手 袋
JP3055002U (ja) 光反射チョッキ
KR200234911Y1 (ko) 자체발광수단을 가진 안전띠
JP3051195U (ja) 安全チョッキ
KR200185052Y1 (ko) 안전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72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0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7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2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27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0713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719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9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1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