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578B1 - 안전의복 및 이 안전의복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전의복 및 이 안전의복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578B1
KR102114578B1 KR1020190029976A KR20190029976A KR102114578B1 KR 102114578 B1 KR102114578 B1 KR 102114578B1 KR 1020190029976 A KR1020190029976 A KR 1020190029976A KR 20190029976 A KR20190029976 A KR 20190029976A KR 102114578 B1 KR102114578 B1 KR 102114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light reflection
fabric
reflection she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정
Original Assignee
박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정 filed Critical 박윤정
Priority to KR1020190029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2Retroreflecti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27/00Mending garments by adhesives or 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성 소재의 원단(2)을 재봉하고 그 표면에 띠 형상의 광반사시트(4)를 부착하여 이루어진 안전의복(1)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시트(4)는 상기 안전의복(1)의 원단(2)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서, 착용시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원단(2)과 함께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의복이다.

Description

안전의복 및 이 안전의복의 제조방법{Safety gar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안전의복 및 이 안전의복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두운 장소에서 용이하게 식별되도록 하여 착용자의 안전성이 향상되면서도 제작이 간편하고 견고하여 반복적인 세탁에도 손상되지 않으며 착용자의 활동성이 향상된 안전의복 및 이 안전의복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간작업을 수행하는 건설현장근로자나 환경미화원 등은 작업여건이 대부분 야간이다 보니 작업시에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왔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작업자들은 야간에 차량의 불빛을 반사하여 작업자들의 존재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형광물질로 된 띠 형상의 반사시트가 부착된 안전조끼를 착용함으로써, 작업시에 발생되는 교통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안전조끼는 작업복 위에 착용하는 것이므로, 번거로우며 여름철에는 덥고 거추장스러울 수 있으며 장애물에 걸려 벗겨질 수 있어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반사시트를 직접 의복에 부착한 형태의 안전의복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안전의복에 사용되는 반사시트는 신축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져서 안전의복의 가슴이나 팔, 다리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안전의복의 착용자가 팔과 다리를 사용하거나 앉을 때 많이 신축되어야 하는 가슴이나 팔, 다리부위가 반사시트에 의해 신축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전의복 착용자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해서 활동성이 저하되므로 작업을 하는데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166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두운 장소에서 용이하게 식별되어 착용자의 안전성이 향상되면서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활동성이 향상되므로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외관이 깔끔하며 제작이 간편하고 구조가 견고하여 반복적인 세탁에도 쉽게 손상되지 않는 안전의복 및 이 안전의복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신축성 소재의 원단(2)을 재봉하고 그 표면에 띠 형상의 광반사시트(4)를 부착하여 이루어진 안전의복(1)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시트(4)는 상기 안전의복(1)의 원단(2)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서, 착용시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원단(2)과 함께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의복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반사시트(4)는 상면이 반사면을 형성하는 베이스층(5)과, 이 베이스층(5)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안전의복(1)의 표면에 열융착되는 접착층(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의복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신축성 소재의 원단(2)을 재봉하고 그 표면에 띠 형상의 광반사시트(4)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안전의복(1)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단(2)을 상기 안전의복(1)을 형성할 복수개의 판(2a,2b,2c)으로 재단하는 과정: 상면이 반사면을 형성하는 베이스층(5)과, 이 베이스층(5)의 저면에 구비되며 베이스층(5)보다 융점이 낮은 접착층(6)을 포함하고 상기 원단(2)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광반사시트(4)를 상기 재단된 각 판(2a,2b,2c)에 열융착시키되 광반사시트(4)의 단부가 각 판(2a,2b,2c)의 시접(3)까지 연장되도록 열융착시키는 과정: 및 상기 광반사시트(4)가 열융착된 각 판(2a,2b,2c)을 봉제하되 각 판(2a,2b,2c)의 시접(3)까지 연장된 광반사시트(4)의 단부가 인접된 판(2a,2b,2c)에 중첩되도록 봉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의복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신축성 소재의 원단(2)을 재봉하여 이루어진 의복에 상기 원단(2)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띠 형상의 광반사시트(4)를 부착시킨 안전의복(1)을 제공함으로써, 이 안전의복(1)의 착용자는 어두운 곳에서 용이하게 식별되면서도 움직일 때 광반사시트(4)가 원단(2)과 함께 신축되므로, 활동이 보다 자유로워서 어두운 곳에서의 청소 등의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광반사시트(4)가 베이스층(5)의 저면에 안전의복(1)의 표면에 열융착되는 접착층(6)이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광반사시트(4)를 안전의복(1)에 하나씩 박음질하는 것에 비해 복수개의 광반사시트(4)를 동시에 부착시킬 수 있어 제작공정이 간편하며 제작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때, 안전의복(1)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판(2a,2b,2c)에 광반사시트(4)를 부착하되 시접(3)까지 연장되도록 부착한 후 일측 판(2a,2b,2c)의 광반사시트(4)의 단부가 인접된 타측 판(2a,2b,2c)에 중첩되게 봉제되므로, 외관이 깔끔하며 광반사시트(4)가 안전의복(1)의 표면에 열융착될 뿐만 아니라 봉제까지 되므로 광반사시트(4)가 안전의복(1)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세탁하더라도 광반사시트(4)가 안전의복(1)에서 분리되어 손상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의복의 일실시예를 보여준 상의 정면사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상의 배면사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하의 정면사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안전의복을 형성하도록 재단된 판을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판을 이용하여 안전의복을 제작하는 공정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의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의복(1)은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원단(2)을 재봉하고 그 표면에 띠 형상의 광반사시트(4)를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어두운 곳에서 빛을 비출 때 용이하게 식별되도록 하여 착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면서도 활동성을 높여 다양한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안전의복(1)을 형성하는 원단(2)은 안전의복(1) 착용자의 활동성을 높이기 위해 기본적으로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면, 대표적인 신축성 소재인 폴리우레탄이나 스판덱스 등 다양한 형태의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안전의복(1)의 용도에 따라 원단(2)은 신축성 소재에 더하여 다양한 특성을 갖는 소재가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전의복(1)의 착용자가 소방관일 경우 난연성 소재가 혼합될 수 있고 환경미화원일 경우 하복에는 땀을 잘 배출하도록 투습성 소재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광반사시트(4)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안전의복(1)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면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이 형성된 베이스층(5)과, 이 베이스층(5)의 저면에 구비되며 베이스층(5)에 비해 융점이 낮은 접착층(6)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광반사시트(4)는 원단(2)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원단(2)과 동일한 폴리우레탄이나 스판덱스로 이루어지거나 폴리우레탄이나 스판덱스의 신축성을 더욱 향상시킨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광반사시트(4)는 베이스층(5) 뿐 아니라 접착층(6)도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베이스층(5)은 신축성 소재이면서 적어도 상면은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베이스층(5)의 반사면은 고분자 수지와 용제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신축성 소재에 직접 도포하거나 또는 스프레이 방식으로 신축성 소재에 코팅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베이스층(5)은 상기 수지 조성물이 함침된 원사로 제직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지 조성물은 형광염료 또는 형광안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의복의 제조방법을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와 같이 상기 원단(2)을 안전의복(1)을 형성할 복수개의 판(2a,2b,2c)으로 재단하는데, 상기 판(2a,2b,2c)은 상의는 등판(2a), 좌우가슴판(2b), 한 쌍의 소매판(2c)이고 하의는 도시안된 좌우앞뒤판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5a의 (b)와 같이 각 판(2a,2b,2c)의 소정부위에 광반사시트(4)를 부착하는데, 도시안된 프레스를 이용하여 광반사시트(4)의 접착층(6)이 녹으면서 판(2a,2b,2c)에 부착되도록 열융착시킨다. 이때, 광반사시트(4)는 길이방향 양단부가 인접된 판(2a,2b,2c)과 연결될 때 중첩되는 부분인 시접(3)까지 연장된 형태가 되도록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융착은 대략 170℃~200℃의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70℃보다 낮은 온도로 열융착하면 결합력이 저하되고 200℃보다 높은 온도로 열융착하면 광반사시트(4)가 각 판(2a,2b,2c)의 표면에 눌러붙어 반사면이 손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5a와 같이 광반사시트(4)는 안전의복(1)의 상의에는 식별이 용이하면서도 움직일 때 상대적으로 많이 신축되는 가슴, 허리, 소매부위에 위치되고 하의에는 식별이 용이하면서도 움직일 때 상대적으로 많이 신축되는 허벅지와 종아리부위에 위치되도록 각 판(2a,2b,2c)에 부착시킨다.
그런 후, 도 5b와 같이 각 판(2a,2b,2c)을 봉제하여 안전의복(1)을 완성한다. 이때, 서로 인접된 판(2a,2b,2c)을 봉제할 때, 판(2a,2b,2c)의 시접(3)까지 광반사시트(4)가 구비되어 광반사시트(4)가 서로 인접된 판(2a,2b,2c)에 중첩된 상태로 봉제되는데, 봉제선(7)이 광반사시트(4)를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광반사시트(4)의 길이방향 단부가 봉제(박음질)된다. 이에 따라, 광반사시트(4)가 안전의복(1)에 열융착될 뿐 아니라 봉제까지되므로 안전의복(1)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안전의복(1)을 반복적으로 세탁하더라도 광반사시트(4)가 안전의복(1)에서 분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와 같이, 신축성 소재의 원단(2)을 안전의복(1)을 형성할 복수개의 판(2a,2b,2c)으로 재단하고 각 판(2a,2b,2c)에 상기 원단(2)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광반사시트(4)를 열융착시킨 후 광반사시트(4)를 포함한 각 판(2a,2b,2c)을 일시에 봉제하므로, 광반사시트(4)의 둘레부를 따라 박음질하여 각 판에 부착시키고 각 판을 다시 박음질하여 광반사시트(4)를 중복되게 박음질하는 것에 비해 제작이 간편하여 제작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때, 광반사시트(4)의 단부가 각 판(2a,2b,2c)의 시접(3)까지 연장된 상태로 봉제되므로, 상기와 같이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광반사시트(4)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안전의복 2 : 원단
2a,3b,2c : 판 3 : 시접
4 : 광반사시트 5 : 베이스층
6 : 접착층 7 : 봉제선

Claims (3)

  1. 신축성 소재의 원단(2)을 재봉하고 그 표면에 띠 형상의 광반사시트(4)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안전의복(1)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단(2)을 상기 안전의복(1)을 형성할 복수개의 판(2a,2b,2c)으로 재단하는 과정:
    상면이 반사면을 형성하는 베이스층(5)과, 이 베이스층(5)의 저면에 구비되며 베이스층(5)보다 융점이 낮은 접착층(6)을 포함하고 상기 원단(2)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광반사시트(4)를 상기 재단된 각 판(2a,2b,2c)에 열융착시키되 광반사시트(4)의 단부가 각 판(2a,2b,2c)의 시접(3)까지 연장되도록 열융착시키는 과정: 및
    상기 광반사시트(4)가 열융착된 각 판(2a,2b,2c)을 봉제하되 각 판(2a,2b,2c)의 시접(3)까지 연장된 광반사시트(4)의 단부가 인접된 판(2a,2b,2c)에 중첩되도록 봉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의복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90029976A 2019-03-15 2019-03-15 안전의복 및 이 안전의복의 제조방법 KR102114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976A KR102114578B1 (ko) 2019-03-15 2019-03-15 안전의복 및 이 안전의복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976A KR102114578B1 (ko) 2019-03-15 2019-03-15 안전의복 및 이 안전의복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578B1 true KR102114578B1 (ko) 2020-05-25

Family

ID=7091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976A KR102114578B1 (ko) 2019-03-15 2019-03-15 안전의복 및 이 안전의복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5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225B1 (ko) * 2001-12-13 2005-07-18 휴젤(주) 모노머 제거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1202U (ja) * 1997-03-05 1997-09-09 日本ダム株式会社 部分再帰反射性の編帯材
KR200251662Y1 (ko) 2001-07-26 2001-11-22 최명윤 안전의복
KR200476924Y1 (ko) * 2014-08-12 2015-04-27 주식회사 포티움 반사 패턴이 형성된 스포츠 웨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1202U (ja) * 1997-03-05 1997-09-09 日本ダム株式会社 部分再帰反射性の編帯材
KR200251662Y1 (ko) 2001-07-26 2001-11-22 최명윤 안전의복
KR200476924Y1 (ko) * 2014-08-12 2015-04-27 주식회사 포티움 반사 패턴이 형성된 스포츠 웨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225B1 (ko) * 2001-12-13 2005-07-18 휴젤(주) 모노머 제거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95223A1 (en) Crown of waterproof cap
KR102114578B1 (ko) 안전의복 및 이 안전의복의 제조방법
JP2585957Y2 (ja) 衣 類
WO2014195894A1 (en) Garment having seam-less elastic band,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garment
JP2020522605A (ja) 接着剤組成物および衣類製造におけるその適用
KR101917111B1 (ko) 안전보호복 제조방법
US20200297038A1 (en) Collar construction for an upper-body garment
KR101832674B1 (ko) 라운딩 셔츠
JP3210734U (ja) 無縫製安全ベスト
CN210747374U (zh) 一种拼接服装
CN220326880U (zh) 一种防静电阻燃反光服
US3872512A (en) Lady{3 s panelled undergarm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3653314A (zh) 一种带有护袖的上衣
CN208740132U (zh) 一种可调节的针织衫
CN214854412U (zh) 一种绑带式汉服上衣
CN213344470U (zh) 双面尼车缝部位防变形装置
CN208708773U (zh) 一种热合连体衣服
CN217743204U (zh) 一种带警示反光标志的t恤衬衫
CN210988428U (zh) 一种热合无裤腿衣服
CN218500025U (zh) 一种方便拼接拆卸的套装
CN215913338U (zh) 一种上衣及其袖口
KR20050075465A (ko) 작업복
CN215270807U (zh) 一种具有关节部位防护功能且可反光的校服
CN220068946U (zh) 一种拼接服装
CN211910582U (zh) 一种样式多变的夏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