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312Y1 - 천정매입형 형광등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천정매입형 형광등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312Y1
KR200251312Y1 KR2019990003585U KR19990003585U KR200251312Y1 KR 200251312 Y1 KR200251312 Y1 KR 200251312Y1 KR 2019990003585 U KR2019990003585 U KR 2019990003585U KR 19990003585 U KR19990003585 U KR 19990003585U KR 200251312 Y1 KR200251312 Y1 KR 2002513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brackets
fixing
ceiling
mai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893U (ko
Inventor
김성홍
Original Assignee
김주권
주식회사 성안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권, 주식회사 성안조명 filed Critical 김주권
Priority to KR2019990003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312Y1/ko
Publication of KR200000178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8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312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50)에 매입되는 형광등(5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55)를;
중앙에 몸체(59)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61)를 가지는 메인브라켓(56)과;
상기 메인브라켓(56)의 양측에서 슬라이딩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브라켓(57,58);
상기 보조브라켓(57,58)의 하방에 위치하여 보조브라켓(57,58)과 형광등(51)의 몸체(59)상면 상간에 개재되어 보조브라켓(57,58)과 몸체(59)상간의 밀착력을 유지하고,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판스프링(60)으로 구성하여;
높이가 낮은 형광등에 적용하여 C형찬넬을 절단하지 않고서 형광등을 매입설치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 천정을 구성하는 M바와 택스의 두께변화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설치의 용이성과 광범위한 적용이 가능한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정매입형 형광등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fluorescent lamp}
본 고안은 천정매입형 형광등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에 매입되는 형광등을 천정을 유지하는 C형찬넬의 절단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개선된 고정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형광등은 실내조명을 위한 것으로서 가정이나 사무실등지의 실내 천정에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며, 가정의 경우에는 미관을 고려한 다양한 종류의 형광등이 있기 때문에 천정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사무실등지에서는 형광등의 형상자체가 미관을 고려하지 않은 형상이기 때문에 상당히 투박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때문에 형광등의 일부를 천정의 내부로 매입시켜 전구와 반사갓만이 노출되도록 하고 있으며, 형광등을 매입시킬 경우에는 형광등을 견고한 상태로 고정시켜야 한다.
종래에도 이러한 매입형 형광등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를 살펴보면;
제 1실시예의 경우에는 슬라브천정(2)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체 구비되는 M바(3)의 저면에 천정표면을 구성하는 택스(4)로 구성된다.
상기 택스(4)를 고정한 M바(3)는 M바(3)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배설되는 다수개의 C형찬넬(5)과 연결하고, 상기 C형찬넬(5)은 슬라브천정(2)과 별도의 고정수단(6)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형광등(1)을 매입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M바(3)에 고정되는 택스(4)를 제거하고 형광등(1)을 매입시키게 되나. 형광등(1)의 상단부가 M바(3)를 가로지르는 C형찬넬(5)과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에 형광등(1)이 매입되는 부위의 C형찬넬(5)을 절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절단된 C형찬넬은 강도가 취약하게 됨으로서 이를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 클립(7)으로서 형광등의 양측에 연접되는 C형찬넬을 연결시킨 후 클립역시 고정수단(8)으로 천정과 연결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제 1 실시예의 경우에는 형광등을 고정하기 위하여 C형찬넬을 절단하여야 하고, 절단된 C형찬넬의 강도보강을 위하여 다시 연결시켜야 하는 등 형광등 설치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종래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형광등(1)이 천정에 매입되는 높이를 천정을 구성하는 택스(4)와 M바(3)를 더한 높이정도로 하여 M바의 횡방향으로 지나는 C형찬넬(5)을 절단하지 않고서도 형광등을 매입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양단부를 하방으로 절곡한 걸림편(10)을 가지는 메인브라켓(11)과 상기 메인브라켓(11)의 하방에서 메인브라켓(1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출입할 수 있는 슬라이드(12)를 구비하는 고정장치(13)가 형광등(1)의 상면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장치(13)는 메인브라켓(11)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광등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볼트(14)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브라켓(11)의 하방에 구비되는 슬라이드(12)의 중앙에는 스프링(15)을 개재하여 슬라이드(12)를 항상 외측방향으로 밀어 슬라이드(12)가 M바에 걸림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M바의 상방을 지나는 C형찬넬을 절단하지 않아 설치의 용이성은 제공할 수 있으나, 천정을 구성하는 택스와 M바의 두께가 여러종류에 해당하기 때문에 각 종류마다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특히 고정장치(13)를 M바 상에 먼저 설치한 후 고정장치의 볼트를 형광등의 볼트공에 정확하게 삽입하여야 하는 등 설치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높이가 낮은 형광등에 적용하여 C형찬넬을 절단하지 않고서 형광등을 매입설치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 천정을 구성하는 M바와 택스의 두께변화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설치의 용이성과 범용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1 기술이 적용된 형광등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 발췌도.
도 3은 도 2의 F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2 기술이 적용된 형광등 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형광등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발췌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발췌 단면도.
도 8은 도 5 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발췌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인 형광등 고정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1; 형광등
55; 고정장치
56; 메인브라켓
57,58; 보조브라켓
60; 판스프링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형광등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발췌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발췌 단면도, 도 8은 도 5 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발췌 단면도, 도 9는 본고안인 형광등 고정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천정(50)에 매입되는 형광등(5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55)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55)는 단면이 개략 (∩)형상인 메인브라켓(56)과 상기 메인브라켓(56)의 양측에서 슬라이딩 가능케 결합되는 보조브라켓(57,58);
상기 보조브라켓(57,58)의 하방에 위치하여 보조브라켓(57,58)과 형광등(51)의 몸체(59)상면 상간에 개재되어 보조브라켓(57,58)과 몸체(59)상간의 밀착력을 유지하고,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판스프링(6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메인브라켓(56)의 중앙에는 형광등(51)의 몸체(59)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61)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브라켓(56)의 양측에 결합되는 보조브라켓(57,58)의 연접부위는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부위를 따내어 돌출부(62)와 요입부(63)를 가지도록 한 (ㄴ)형상이 되도록 하여 양측의 보조브라켓(57,58)이 대칭형상이 되도록 한다.
상기 대칭형상의 보조브라켓(57,58)에 형성되는 돌출부(62)상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손잡이(64)를 구비하여 보조브라켓(57,58)을 메인브라켓(56)의 양측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브라켓(57,58)의 중앙과 끝단에는 보조브라켓(57,58)의 하방과 몸체(59)상간에 위치하여 메인브라켓(56)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볼트(61)에 삽입되어 너트(70)로 단속되고, 이동된 보조브라켓(57,58)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형광등(5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판스프링(60)의 움직임을 용이하게할 수 있는 가이드홈(71)을 형성한다.
상기 보조브라켓(57,58)의 끝단부에는 M바(72)의 절곡부(73)상에 안치될 수 있고 걸림될 수 있는 안치철(凸)부(74) 및 걸림편(75)을 더 형성하여 구성한다.
물론, 형광등(51)의 몸체(59)상에는 메인브라켓(56)과 보조브라켓(57,58)에 구비되는 고정볼트(61)와 구비되는 손잡이(64)가 출입할 수 있는 볼트공(80)과 장형개구타입의 손잡이홀(81)이 더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도 10을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상태에는 고정볼트(61)의 하방에 결합된 너트(70)을 풀어 메인브라켓(56)과 보조브라켓(57,58) 및 판스프링(60)이 위치이탈이 되지 않도록 하여 형광등(51)의 몸체(59)에 결합한다.
이때, 고정볼트(61)와 손잡이(64)는 몸체(59)에 형성된 볼트공(80)과 손잡이홀(81)을 경유하여 몸체(59)으로 노출되도록 한 후, 너트(70)를 고정볼트(61)의 단부에 결합시킨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형광등(51)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형광등을 상방으로 밀어올린 후 손잡이(64)를 잡고 양측으로 밀면 손잡이(64)와 연결된 보조브라켓(57,58)이 메이브라켓(56)의 양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보조브라켓(57,58)의 양끝단의 걸림편(75)이 M바(72)의 걸림부(73)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고정장치(55)는 판스프링(60)의 탄성(오므려지려는 정도)에의하여 형광등(51)의 몸체(59)로부터 메인브라켓(56) 및 보조브라켓(57,58)을 유격시켜 천정을 구성하고 있는 M바(73)와 택스(86)의 두께변경 정도를 보상하고 있으며, 고정볼트(61)와 너트(70)를 결합하여 조으면 형광등(51)의 등날개 부분과 택스(86)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없애 완전히 밀착시켜 주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판스프링(60)에 의하여 메인브라켓(56)과 보조브라켓(57,58)이 조절되는 높,낮이는 몇 ㎝가 아니고 M바(72)와 택스(86)의 종류에 따르는 몇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보상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판스프링(60)은 보조브라켓(57,58)이 슬라이딩 이동할 경우에나 볼트(70)에 의하여 높낮이가 조절될 경우에도 보조브라켓(57,58)의 중앙에 형성한 가이드홈(71)에 양단부가 삽입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쉽게 위치를 이탈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천정(85)을 구성하는 M바(72)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지나는 C형찬넬(90)을 절단하지 않고 형광등(51)을 설치시 M바(72)와 택스(86)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절한 상태로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형광등(51)과 택스(86)사이의 틈이 발생하지 않고, 형광등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높이가 낮은 형광등에 적용하여 C형찬넬을 절단하지 않고서 형광등을 매입설치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 천정을 구성하는 M바와 택스의 두께변화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설치의 용이성과 광범위한 적용이 가능한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천정(50)에 매입되는 형광등(5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55)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55)는 중앙에 몸체(59)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61)를 가지는 메인브라켓(56)과;
    상기 메인브라켓(56)의 양측에서 슬라이딩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브라켓(57,58);
    상기 보조브라켓(57,58)의 하방에 위치하여 보조브라켓(57,58)과 형광등(51)의 몸체(59)상면 상간에 개재되어 보조브라켓(57,58)과 몸체(59)상간의 밀착력을 유지하고,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판스프링(60)으로 구성하되;
    상기 보조브라켓(57,58)의 연접부위는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부위를 따내어 돌출부(62)와 요입부(63)를 가지는 대칭형상이 되도록 하고;
    상기 보조브라켓(57,58)에는 돌출부(62)상에 보조브라켓(57,58)을 움직일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64)와 ;
    상기 보조브라켓(57,58)의 중앙에 구비되어 판스프링(60)의 움직임을 용이하게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홈(71)과;
    상기 천정(85)을 구성하는 M바(72)의 절곡부(73)상에 안치되고 걸림될 수 있도록 보조브라켓(57,58)의 끝단부에 구비되는 안치철(凸)부(74)와 걸림편(75)을 포함하고;
    상기 형광등(51)의 몸체(59)에는 메인브라켓(56)과 보조브라켓(57,58)에 구비되는 고정볼트(61)와 손잡이(64)가 출입할 수 있는 볼트공(80)과 손잡이홀(81)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매입형 형광등 고정장치.
KR2019990003585U 1999-03-08 1999-03-08 천정매입형 형광등 고정장치 KR2002513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585U KR200251312Y1 (ko) 1999-03-08 1999-03-08 천정매입형 형광등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585U KR200251312Y1 (ko) 1999-03-08 1999-03-08 천정매입형 형광등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893U KR20000017893U (ko) 2000-10-05
KR200251312Y1 true KR200251312Y1 (ko) 2001-11-16

Family

ID=54760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585U KR200251312Y1 (ko) 1999-03-08 1999-03-08 천정매입형 형광등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3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839B1 (ko) 2012-11-22 2014-07-09 주식회사 에스에스라이트 작업성 향상 조명등
KR20210131667A (ko) * 2020-04-24 2021-11-03 박병기 조명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035B1 (ko) * 2014-03-28 2016-01-06 김운영 완충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839B1 (ko) 2012-11-22 2014-07-09 주식회사 에스에스라이트 작업성 향상 조명등
KR20210131667A (ko) * 2020-04-24 2021-11-03 박병기 조명등장치
KR102390609B1 (ko) * 2020-04-24 2022-04-26 박병기 조명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893U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3841B2 (en) Hangar bar for recessed luminaires with integral nail
US9239131B1 (en) Adjustable hanger bars with detachment stop
US20050247842A1 (en) Hanger bar assemblies for recessed luminaires
DE19520177A1 (de) Einbauleuchte
KR200251312Y1 (ko) 천정매입형 형광등 고정장치
KR200367342Y1 (ko) 천정매입등용 행거바
KR101806828B1 (ko) 천정직착등 탈부착 구조
KR200220028Y1 (ko) 천장매입형 형광등 고정장치
JP2856301B2 (ja) 照明器具
JPH0438420Y2 (ko)
JPH11213738A (ja) 照明器具
KR19980043001A (ko) 슬림형 헹거식 조명등기구
JP2002289027A (ja) 埋込形照明器具とその取付具
JP2617046B2 (ja) 照明器具
JPH05325620A (ja) 照明器具
JPH07141910A (ja) 天井用照明器具
JP2992354B2 (ja) 天井用照明器具
JPS597690Y2 (ja) 照明器具
KR200197748Y1 (ko) 형광등용 등기구
KR20190001831U (ko) 조명장치의 커버프레임
KR200238505Y1 (ko) 형광등 케이스의 조립구조
JPH10134620A (ja) 照明器具
JP3077730B2 (ja) 照明器具
JPH0817238A (ja) システム天井用照明器具
JPS5841609Y2 (ja) 螢光灯器具用ヨ−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