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987Y1 - 온수온돌용호오스배관판 - Google Patents

온수온돌용호오스배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987Y1
KR200250987Y1 KR2019980026868U KR19980026868U KR200250987Y1 KR 200250987 Y1 KR200250987 Y1 KR 200250987Y1 KR 2019980026868 U KR2019980026868 U KR 2019980026868U KR 19980026868 U KR19980026868 U KR 19980026868U KR 200250987 Y1 KR200250987 Y1 KR 2002509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plate
hot water
pip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762U (ko
Inventor
안진홍
Original Assignee
안진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홍 filed Critical 안진홍
Priority to KR2019980026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987Y1/ko
Publication of KR199900217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7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9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987Y1/ko

Links

Landscapes

  • Thermal Insulation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온수 호오스에서 발생된 열이 온돌 전면에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고 호오스가 안정하게 배관되도록 하기 위한 것임. 온수 온돌용 호오스 배관판은 단열재 판(10)에 다수의 독립된 절두 4각추형 융출부(14)가 형성된 금속판(12)을 부착하여 구성하였음. 융출부(14)들 사이에는 배관 흠의 역할을 하는 통기로(22)가 형성되고 융출부와 단열재 판 사이에는 축열 공간부(20)가 형성됨.
융출부(14)들 사이의 간격은 측벽(18)의 중간 부분에서 배관할 호오스의 외경과 동일하게되어 있어서, 호오스가 양 측면과 저면에서 배관판에 지지되게 되었음 본 고안에 의하면 온돌이 전면에서 균일하게 가열되고 호오스가 안정되게 배관됨.

Description

온수 온돌용 호오스 배관판
본 고안은 온수 온돌용 호오스 배관판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특히 온수 호오스의 열이 온돌의 전면에 균일하게 분산되고 호오스가 안정하게 배관되도록 된 온수 온돌용 호오스 배관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온수 관으로 순환시켜 온돌을 가열하는 난방방식이 이용되면서 온수관, 특히 합성수지 호오스를 온돌의 저면에 간단하게 배관하는 각종의 호오스 배관판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호오스 배판판은 가공이 용이한 스티로폴 판에 호오스가 삽입될수 있는 폭의 흠을 배관 형태에 맞게 형성하여서된 것으로서, 스티로폴 배관판은 배관할 때 슬라브 등의 시공할 바닥면에 깔고 호오스를 배관판에 형성된 홈에 삽입하여 배관한 다음, 그 표면에 몰타르나 바닥재 등을 덮는 방법으로 시공하게 되어 있어서 배관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스티로폴 배관판에 의한 단열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스티로폴 배관판은 장기간 사용하였을 때 호오스를 통하여 전달되는 고온의 열에 의하여 스티로골이 열화되면서 온돌 표면에서 받는 하중에 의하여 스티로폴이 압축되게 되므로 온돌 표면이 고르지 못하게 되고 온수 호오스의 수평이 틀어져 온수의 순환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그리고 스티로폴 배관판은 온돌 표면에서 받는 하중을 견딜수 있는 강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호오스의 배관 형태에 맞도록 홈을 형성하였으므로 호오스에서 나오는 열이 호오스의 바로 위로만 전달되게 되어 호오스와 호오스 사이의 스티로폴 부분에서는 위로 열이 전달되지 아니하므로 온돌의 전체 바닥면이 균일하게 가열되지 아니하여 일부분은 뜨거우나 일부분은 뜨겁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최근에는 전술한 종래 스티로폴 배관판이 열에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티로폴로된 배관판 본체의 표면에 금속판을 적층시키고 스티로폴 배관판 본체에 형성된 배관홈과 동일한 형태의 배관홈을 형성하여 스티로폴 배관판 본체가 직접 호소스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한 호오스 배관판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이 스티로폴 판위에 금속판을 적층시킨 배관판은 열에 약한 스티로폴의 취약점은 보완 되었으나, 열이 온돌의 전면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로하는 역할은 하지 못하였다. 특히 전술한 종래의 온수 호오스 배관판은 호오스에서 발산되는 열이 직접 온돌 표면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어서 축열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온수 호오스의 열이 온돌의 전면에 균일하게 전달되면서 축열효과가 있고 호오스가 안정되게 배관되는 호오스 배관판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온수 호오스에서 발생되는 열이 온돌의 전면에 균일하게 분배되면서 축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온돌용 호오스 배관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발포성 단열재로된 평판의 표면에 다수의 융출부를 갖는 금속판을 적층시켜서곤 본 고안의 온수 온돌용 호오스 배관판에 의하여 달성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온수 온돌용 호오스 배관판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열재판 12 : 금속판
14 : 융출부 16 : 융출부상면
18 : 융출부측벽 20 : 축열 공간부
22 : 통기로 24 : 호오스
본 고안은 단열재 판의 표면에 다수의 융출부가 배관할 온수 호오스가 삽입 고정될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융출부들 사이에 좌우로 연결되는 통기로가 형성된 호오스 해관판에 있어서, 단열재 판이 상면이 평평한 평판으로 구성되고 금속판에는 독립된 융출부와 단열재 판의 표면 사이에는 축열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온돌용 호오스 배관판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단열재 판은 스티로플 판일수도 있고, 폴리우레탄 폼으로 된 판일수 있다. 바람직한 단열재 판은 스티로폴판 보다 열에 안정한 폴리우레탄 판이다. 이 단열재 판은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야 하며, 그 위에 적층되는 금속판은 단열재 판의 표면 사이에 축열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부로 응출된 융출부를 갖고 있다. 전술한 융출부는 내부에 형성되는 축열 공간부가 서로 독립된 공간부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축열의 효과가 우수하게 된다.
본 고안에 사용하는 금속판은 동판, 강판 또는 기타의 금속판을 사용할수 있으나, 가격과 강도를 고려할 때 강판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융출부는 프레스로 압착하거나 또는 기타의 판금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할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금속판의 표면으로 돌출된 융출부들은 절두 사각추형이나 절두 원추형과 같이 측벽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호오스를 안정하게 지지할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전술한 융출부는 그 높이가 호오스의 직경보다 커야하고 융출부들 사이에 형성된 통기로는 온수 호오스가 배관되었을 때 온수 호오스가 찌그러지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바람직한 호오스 배관판은 융출부의 높이가 배관할 호오스의 외경보다 약간 커서 호오스가 배관되었을 때 호오스의 상면이 융출부의 표면위로 돌출되지 않고 융출부 상면에 근접되는 부분에 놓이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융출부들 간의 간격은 융출부의 중간위치 높이에서 온수 호오스의 외경과 동일하여 호모스가 융출부의 중간에 지지되면서 호오스의 저면이 융출부들 사이의 금속판 표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융출부들 사이에 형성된 통기로가 좌우로 서로 연결되므로 온수 호오스에서 나오는 열이 통기로를 통하여 해관판의 전면으로 확산되므로 호오스의 바로 위는 물론이고 호오스 측방의 통기로 상면에 위치하는 온돌의 바닥면도 균일하게 가열되게 된다.
더구나 온수 호오스는 양측면이 융출부의 중간부위에 지지되고 저면이 금속판의 표면에 지지되므로 안정되게 배관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하면 융출부와 단열재판의 표면 사이에는 밀폐된 축열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호오스의 열에 의하여 가열된 축열 공간부 내의 공기가 장시간 고온으로 유지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에 따르면 본 고안의 온돌용 호오스 배관판은 상면이 평평한 단열재 판(10)과 전술한 단열재 판(10)위에 부착된 금속판(12)으로 구성되었다. 단열재 판(10)과 금속판(12)은 접착제로 접착시킬수도 있고, 기타의 적당한 접착수단을 사용하여 접착시킬수도 있다. 금속판(12)은 상면으로 돌출된 다수의 독립된 융출부(14)를 갖고 있으며, 융출부(14)의 상면(16)은 평평하고 측벽(18)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융출부 상면(16)의 폭이 저면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어서 융출부(14)의 측벽(18)이 사다리꼴형으로 되게 되었다. 전술한 융출부(14)와 단열재 판(10)의 표면 사이에는 축옅 공간부(20)가 형성되었고, 융출부(14)들 사이에는 좌우로 연결되는 통기로(22)가 형성되었으며, 이 통기로(22)는 호오스(24)를 배관할 해관 홈의 역할을 하도록 되었다. 따라서 전술한 융출부(14)는 그 높이가 배관할 호오스(24)의 외경보다 커야 하고 융출부들 사이의 간격은 호오스가 배관되었을 때 호오스가 찌그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통기로 내에 완전히 삽입될수 있는 넓이로 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호오스 배관판은 단열재 판(10)이 폴리우레탄 폼으로 구성되고, 융출부(14)가 절두 4각추 모양으로 형성되었으며, 융출부(14)들 사이의 간격이 측벽(18)의 중간 높이에서 호오스(24)의 외경과 동일하여 배관하였을 때 호오스(24)의 양 측면이 융출부(14)의 사다리꼴 측벽(18)의 중간 부분에 지지되면서 호오스(24)의 저면이 금속판(12)의 표면에 지지되도록 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호오스 배관판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오스의 만곡부에는 별도의 만곡된 배관홈(26)을 갖는 보조 배관판(25)을 사용하여 배관하도록 되었으며, 배관 시공이 완결된 후에는 상면에 바닥재(도시하지 않았음)를 시공하게 되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통기로(22)에 배관된 온수 호오스(24)에서 발생된 열이 통기로(22)를 통하여 사방으로 분산되므로 호오스(24)의 바로 위는 물론이고 호오스(24)가 배관되지 아니한 통기로(22) 상 방으로도 열이 전달되어 온돌 전면이 균일하게 가열되게 되며, 융출부(14)하방의 축열 공간부(20)에 통기로(22)를 통과하는 열이 축적되므로 보일러의 가동이 중단된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온돌의 열을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단열재 판의 표면에 배관 홈을 갖는 금속판을 부착하고 금속판의 표면에 다수의 독립된 융출부(14)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호오스 배관판에 있어서, 단열재 판(10)이 상면이 평평한 평판으로 구성되고 금속판(12)의 융출부(14)와 단열재판(10)의 표면 사이에 밀폐된 축열 공간부(20)가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온돌용 호오스 배관판.
KR2019980026868U 1998-12-28 1998-12-28 온수온돌용호오스배관판 KR2002509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868U KR200250987Y1 (ko) 1998-12-28 1998-12-28 온수온돌용호오스배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868U KR200250987Y1 (ko) 1998-12-28 1998-12-28 온수온돌용호오스배관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762U KR19990021762U (ko) 1999-06-25
KR200250987Y1 true KR200250987Y1 (ko) 2001-12-28

Family

ID=6950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868U KR200250987Y1 (ko) 1998-12-28 1998-12-28 온수온돌용호오스배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9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836B1 (ko) * 2011-06-30 2012-07-25 정연현 에너지 절약형 온수 난방바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894Y1 (ko) * 2013-11-14 2014-03-19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토양 경작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836B1 (ko) * 2011-06-30 2012-07-25 정연현 에너지 절약형 온수 난방바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762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655B1 (ko) 온수의 이동 경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보온 패널
KR200250987Y1 (ko) 온수온돌용호오스배관판
KR200197456Y1 (ko) 온수온돌용동파이프금속배관광판
KR200248804Y1 (ko) 온수 온돌용 동파이프 금속온돌광 배관판
KR100815860B1 (ko) 온수 온돌용 호오스 배관판
JPH0427449B2 (ko)
JP3554067B2 (ja) 内装体
KR200426867Y1 (ko) 온수 온돌용 호오스 배관판
JPH0612183B2 (ja) 床冷暖房方法及び床冷暖房装置
JPS645698Y2 (ko)
JP3664540B2 (ja) 床冷暖房用パネル
KR200163622Y1 (ko) 단열 및 전열 기능이 일체화된 양면패널
JPH0329487Y2 (ko)
KR970007219Y1 (ko) 온돌판의 조립구조
JP2002081661A (ja) 床暖房パネル
JPH0411095Y2 (ko)
KR940004945Y1 (ko) 조립식 온돌판
JP3313076B2 (ja) 床冷暖房用パネル
JPS5899625A (ja) 床暖房装置
KR940006707Y1 (ko) 조립식 온수 온돌장치
JP2006105477A (ja) 加熱用又は冷却用パネル
JPH089544Y2 (ja) 床暖房用パネル装置
JP2002115854A (ja) 温水シート、床暖房システム、及び壁暖房システム
JPH09229390A (ja) 温水床暖房構造
JP2002047790A (ja) 床暖房用床材及び暖房床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