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648Y1 -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648Y1
KR200250648Y1 KR2020010021409U KR20010021409U KR200250648Y1 KR 200250648 Y1 KR200250648 Y1 KR 200250648Y1 KR 2020010021409 U KR2020010021409 U KR 2020010021409U KR 20010021409 U KR20010021409 U KR 20010021409U KR 200250648 Y1 KR200250648 Y1 KR 200250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mpartment
valve body
communication
communic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호
Original Assignee
(주)삼양발브종합메이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양발브종합메이커 filed Critical (주)삼양발브종합메이커
Priority to KR20200100214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6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648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일의 밸브 바디에 스톱밸브와 스트레이너와 감압 밸브와 정유량 밸브를 모두 구비함으로써, 설치 면적의 축소와 작업 시간의 단축과 시공비의 감소등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는, 순차적으로 세개의 제1, 제2, 제3 격실로 나뉘어지도록 연통공을 갖는 두개의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격실에 연통되게 유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3 격실에 연통되게 출구부가 형성된 양단 관통 형상의 밸브 바디와; 상기 제1 격실을 통해 상기 연통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에 설치되는 스톱 밸브와; 상기 제2 격실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밸브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금속성의 이물질을 흡착하는 자성체가 구비된 스트레이너와; 상기 제3 격실측에 해당되는 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에 따라 통과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유량 밸브와; 상기 제2 격실과 제3 격실을 구획하는 격벽의 연통공의 개폐 정도를 조정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에 설치되는 감압 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MULTI-VALVE DEVICE FOR SUPPLYING WATER}
본 고안은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의 밸브 바디에 스톱밸브와 스트레이너와 감압 밸브와 정유량 밸브를 모두 구비함으로써, 설치 면적의 축소와 작업 시간의 단축과 시공비의 감소등을 기대할 수 있는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를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 및 공공건물등에 공급하는 밸브계 연결 구성을 살펴보면, 핸들을 회전시켜 배관의 통로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스톱밸브와, 배관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급수중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트레이너와, 배관의 통로 면적을 임의로 조절하여 유동압력을 감소시키는 감압 밸브와,상기 급수의 유동량이 그 유입측 압력이 변하더라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정유량 밸브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부품들은 순서적으로 스톱밸브와 스트레이너와 감압밸브와 정유량 밸브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 다수개의 분리 배관들이 각각 연결되어 하나의 주 배관을 이루게됨과 아울러 이들의 연결이 완료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연결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다수개의 분리 배관들 사이에 스톱밸브와 스트레이너와 감압밸브와 정유량 밸브를 순서적으로 나열한 상태에서 이들을 분리 배관으로 연결 조립하기 때문에 많은 설치 면적이 소요될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가공 조립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소요되며, 이에 따라 시공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배관을 설치한 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관 내벽면에는 유체속에 포함되어 있던 각종 이물질이 퇴적하거나 배관내면이 산화되면서 녹이 생성되어지는데, 이러한 것들은 스트레이너를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배관내의 이물ㅈㄹ을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함에도 불구하고 이물질속에 함유된 금속성의 이물질은 제고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일의 밸브 바디에 스톱밸브와 스트레이너와 감압 밸브와 정유량 밸브를 모두 구비함으로써, 설치 면적의 축소와 작업 시간의 단축과 시공비의 감소등을 기대할 수 있는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밸브 바디
11,12,13 : 제1, 제2, 제3 격실
14,15 : 격벽
14a,15a : 연통공
20 : 스톱 밸브
30 : 스트레이너
31 : 자성체
40 : 정유량 밸브
50 : 감압 밸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는, 순차적으로 세개의 제1, 제2, 제3 격실로 나뉘어지도록 연통공을 갖는 두개의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격실에 연통되게 유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3 격실에 연통되게 출구부가 형성된 양단 관통 형상의 밸브 바디와; 상기 제1 격실을 통해 상기 연통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에 설치되는 스톱 밸브와; 상기 제2 격실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밸브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금속성의 이물질을 흡착하는 자성체가 구비된 스트레이너와; 상기 제3 격실측에 해당되는 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에 따라 통과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유량 밸브와; 상기 제2 격실과 제3 격실을 구획하는 격벽의 연통공의 개폐 정도를 조정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에 설치되는 감압 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복합 밸브장치는, 크게 밸브 바디(10)와, 스톱 밸브(20)와, 스트레이너(30)와, 정유량 밸브(40)와, 감압 밸브(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 바디(10)는 순차적으로 세개의 제1, 제2, 제3 격실(11)(12)(13)로 나뉘어지도록 연통공(14a)(15a)을 갖는 두개의 격벽(14)(15)이 형성된 양단 관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톱 밸브(20)는 상기 제1 격실(11)을 통해 상기 연통공(14a)을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10)에 설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스트레이너의 청소 또는 배관을 수리할 경우에 유로의 차단 역할을 한다.
상기 스트레이너(30)는 상기 제2 격실(12)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밸브 바디(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금속성의 이물질을 흡착하는 자성체(3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자성체(31)는 장기적인 순환에 의한 배관계통의 각종 밸브 및 기기들의 오작동을 방지하며, 수명을 보호한다.
상기 정유량 밸브(40)는 상기 제3 격실(13)측에 해당되는 출구부(13a)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에 따라 통과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적정 유량의 배분으로 주거 환경을 향상시키고 물의 낭비요인을 제거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상기 감압 밸브(50)는, 상기 제2 격실(12)과 제3 격실(13)을 구획하는 격벽(15)의 연통공(15a)의 개폐 정도를 조정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10)에 설치되는 것으로, 고층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세대간 또는 층별의 불규칙한 압력을 최종 수요자의 조건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어 수자원 낭비의 요인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정유량 밸브(40)의 출구측에는 유체의 통과 단면적이 점점더 증가하는 배출통로(60a)가 구비된 니플(60)이 유니온 너트(61)에 의해 결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톱 밸브(20)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격실(12)에서 제1 격실(11)로 유체가 역류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제2 격실(11)(12)을 구획하는 격벽(14)의 연통공(14a)에는 체크 밸브(7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각 세대간의 유입 압력이 불균일해지게 되면, 저압측 세대측에는 급수를 하지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유체가 역류되는 현상이 생겨 유량계가 구동되어 적산 오류가 발생되었다. 이에 수요자에게는 적산 오류가 생긴 차액이 더 청구되어 비용측면에서 큰 부담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체크 밸브(70)는 급수를 하지 않을 경우에 작동되어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스톱밸브(20)를 조작하여 제1 격실(11)과 제2 격실(12)을 구획하는 격벽(14)의 연통공(14a)을 개방한다.
상기와 같이 연통공(14a)이 스톱밸브(20)에 의해 개방되면, 밸브 바디(10)의유입구(11a)측으로부터 유체가 흘러 연통공(14a)을 지나 스트레이너(30)를 지나면서 함유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여기서, 스트레이너(30)를 통과하면서 걸러지는 이물질에는 철분 등의 금속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금속성분의 이물질은 스트레이너(30)에 설치된 자성체(31)에 흡착된다.
따라서, 밸브 바디(10)의 출구부(13a)로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는 깨끗한 상태의 급수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스트레이너(30)를 통과한 유체는 밸브 바디(10)의 제2 격실(12)을 지나가게 된다.
이때, 제2 격실(12)에는 감압 밸브(50)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 감압 밸브(50)의 작용으로 인해 격벽(15)에 형성된 연통공(15a)의 개방 정도가 가변된다.
따라서, 유체의 유동 압력이 감소 또는 증가되는 등 변화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유체가 감압 밸브(50)를 통과한 후 정유량 밸브(40)를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스톱 밸브(20)와 스트레이너(30)와 감압 밸브(50)와 정유량 밸브(40)는 공지 기술인 관계로 그 작동 및 상세 구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정유량 밸브(40)를 통과하면서 그 양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로 니플(60)의 배출통로(60a)를 지나가게 된다.
이때, 니플(60)의 배출통로(60a)에 형성된 유체 통과 단면적이 점점더 완만하게 증가하는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 배출통로(60a)를 지나가는 유체로부터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부언하면, 유체가 정유량 밸브(40)를 최종적으로 통과하면서 니플(60)의 배출통로(60a) 형성 조건을 정유량 밸브(40)의 유체 통로 형상과 거의 유사하게 만들어줌으오써, 유체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b는 밸브 바디(10)의 입구부(11)측 내면에 형성되어 배관(미도시)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결합부이고, 미설명 부호 60b는 니플(6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배관과 나사 결하하기 위한 나사 결합부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단일의 밸브 바디에 스톱밸브와 스트레이너와 감압 밸브와 정유량 밸브를 모두 구비함으로써, 설치 면적의 축소와 작업 시간의 단축과 시공비의 감소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순차적으로 세개의 제1, 제2, 제3 격실(11)(12)(13)로 나뉘어지도록 연통공(14a)(15a)을 갖는 두개의 격벽(14)(15)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격실(11)에 연통되게 유입구(11a)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3 격실(13)에 연통되게 출구부(13a)가 형성된 양단 관통 형상의 밸브 바디(10)와;
    상기 제1 격실(11)을 통해 상기 연통공(14a)을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10)에 설치되는 스톱 밸브(20)와;
    상기 제2 격실(12)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밸브 바디(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금속성의 이물질을 흡착하는 자성체(31)가 구비된 스트레이너(30)와;
    상기 제3 격실(13)측에 해당되는 출구부(13a)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에 따라 통과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유량 밸브(40)와;
    상기 제2 격실(12)과 제3 격실(13)을 구획하는 격벽(15)의 연통공(15a)의 개폐 정도를 조정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10)에 설치되는 감압 밸브(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유량 밸브(40)의 출구측에는 유체의 통과 단면적이 점점더 증가하는 배출통로(60a)가 구비된 니플(60)이 유니온 너트(61)에 의해 결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밸브(20)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격실(12)에서 제1 격실(11)로 유체가 역류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제2 격실(11)(12)을 구획하는 격벽(14)의 연통공(14a)에는 체크 밸브(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
KR2020010021409U 2001-07-14 2001-07-14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 KR200250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409U KR200250648Y1 (ko) 2001-07-14 2001-07-14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409U KR200250648Y1 (ko) 2001-07-14 2001-07-14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648Y1 true KR200250648Y1 (ko) 2001-10-19

Family

ID=73082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409U KR200250648Y1 (ko) 2001-07-14 2001-07-14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6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8971B2 (ja) 浄水器
JP2009525865A (ja) 水処理システム用の一体型流量センサを備えたバイパス弁
KR101285605B1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정수필터의 필터 헤드
KR200250648Y1 (ko)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
JP6019281B2 (ja) 排水配管
CN210764689U (zh) 水处理机
RU2656405C2 (ru) Станция перекачки сточных вод
KR200250647Y1 (ko)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
US20080041779A1 (en) Connection Device for Hydraulic Circuits
KR102142561B1 (ko) 유압 배관 내부 청소 장치
US20080290009A1 (en) Water Softening Device
EP1640513A1 (en) Connection device for hydraulic circuits
US8172091B2 (en) Connection device for hydraulic circuit
JP2007181776A (ja) 給水管洗浄システム、給水管洗浄装置、給水管洗浄方法
CN219198207U (zh) 一种过滤球阀
AU7968800A (en) Valve union with water saving function
EP2107287A2 (en) Silencer for a water dispens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flush tank fill valve or a similar device
KR200383147Y1 (ko) 매립식 수도전
CN216813041U (zh) 废水阀和净水器
JP2005127452A (ja) ボールバルブ
KR0121139Y1 (ko) 냉장고용 음용수의 정수장치
JP2001107436A (ja) 水処理器
CN211501712U (zh) 进水阀及燃气热水器系统
JP3020942U (ja) 節水器具用アダプ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水道水蛇口
KR200318421Y1 (ko) 세대용 급수 복합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