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647Y1 -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647Y1
KR200250647Y1 KR2020010021408U KR20010021408U KR200250647Y1 KR 200250647 Y1 KR200250647 Y1 KR 200250647Y1 KR 2020010021408 U KR2020010021408 U KR 2020010021408U KR 20010021408 U KR20010021408 U KR 20010021408U KR 200250647 Y1 KR200250647 Y1 KR 200250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mpartment
valve body
constant flow
str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호
Original Assignee
(주)삼양발브종합메이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양발브종합메이커 filed Critical (주)삼양발브종합메이커
Priority to KR2020010021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6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647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일의 밸브 바디에 스톱밸브와 스트레이너와 정유량 밸브를 모두 구비함으로써, 설치 면적의 축소와 작업시간의 단축과 시공비의 감소등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는, 두개의 제1, 제2 격실로 나뉘어지도록 연통공을 갖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격실에 연통되게 유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 격실에 연통되게 출구부가 형성된 양단 관통 형상의 밸브 바디와; 상기 제1 격실을 통해 상기 연통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에 설치되는 스톱밸브와; 상기 제2 격실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밸브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금속성의 이물질을 흡착하는 자성체가 구비된 스트레이너와; 상기 제2 격실측에 해당되는 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에 따라 이의 통과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유량 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MULTI-VALVE DEVICE FOR HEATING}
본 고안은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의 밸브 바디에 스톱밸브와 스트레이너와 정유량 밸브를 모두 구비함으로써, 설치 면적의 축소와 작업시간의 단축과 시공비의 감소등을 기대할 수 있는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보일러 장치의 밸브계 연결 구성을 살펴보면, 핸들을 회전시켜 배관의 통로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스톱밸브와, 배관의 통로를 따라 흐르는 난방수중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트레이너와, 난방수의 유동량이 그 유입측 압력이 변하더라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정유량 밸브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부품들은 순서적으로 스톱밸브와 스트레이너와 정유량 밸브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 다수개의 분리 배관들이 각각 연결되어 하나의 주 배관을 이루게됨과 아울러 이들의 연결이 완료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연결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다수개의 분리 배관들 사이에 스톱밸브와 스트레이너와 정유량 밸브를 순서적으로 나열한 상태에서 이들을 분리 배관으로 연결 조립하기 때문에 많은 설치 설치 면적이 소요될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가공 조립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이에 따라 시공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배관을 설치한 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관 내벽면에는 유체속에 포함되어 있던 각종 이물질이 퇴적하거나 배관내면이 산화되면서 녹이 생성되어지는데, 이러한 것들은 배관의 수압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스트레이너를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배관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는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물질속에 함유된 금속성의 이물질은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일의 밸브 바디에 스톱밸브와 스트레이너와 정유량 밸브를 모두 구비함으로써, 설치 면적의 축소와 작업시간의 단축과 시공비의 감소등을 기대할 수 있는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밸브 바디
11,12 : 제1, 제2 격실
13 : 격벽
13a : 연통공
20 : 스톱밸브
30 : 스트레이너
31 : 자성체
40 : 정유량 밸브
50 : 니플
51 : 유니온 너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는, 두개의 제1, 제2 격실로 나뉘어지도록 연통공을 갖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격실에 연통되게 유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 격실에 연통되게 출구부가 형성된 양단 관통 형상의 밸브 바디와; 상기 제1 격실을 통해 상기 연통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에 설치되는 스톱밸브와; 상기 제2 격실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밸브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금속성의 이물질을 흡착하는 자성체가 구비된 스트레이너와; 상기 제2 격실측에 해당되는 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에 따라 이의 통과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유량 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복합 밸브장치는 크게 밸브 바디(10)와, 스톱밸브(20)와, 스트레이너(30)와, 정유량 밸브(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 바디(10)는 두개의 제1, 제2 격실(11)(12)로 나뉘어지도록 연통공(13a)을 갖는 격벽(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격실(11)에 연통되게 유입구(11a)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 격실(12)에 연통되게 출구부(12a)가 형성된 양단 관통 형상의 이루어진다.
상기 스톱밸브(20)는 상기 제1 격실(11)을 통해 상기 연통공(13a)을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10)에 설치되어 배관의 청소 또는 후술하는 스트레이너(30)의 청소시에 유로의 차단 역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트레이너(30)는 상기 제2 격실(12)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밸브 바디(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금속성의 이물질을 흡착하는 자성체(31)가 구비된다.
상기 정유량 밸브(40)는 상기 제2 격실(12)측에 해당되는 출구부(12a)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이 변하더라도 이의 통과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정유량 밸브(40)의 출구측에는 유체의 통과 단면적이 점점더 증가하는 배출통로(50a)가 구비된 니플(50)이 유니온 너트(51)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스톱밸브(20)를 조작하여 제1 격실(11)과 제2 격실(12)을 구획하는 격벽(13)의 연통공(13a)을 개방한다.
상기와 같이 연통공(13a)이 스톱밸브(20)의 조작에 의해 개방되면, 밸브 바디(10)의 유입구(11a)측으로부터 유체가 흘러 연통공(13a)을 지나 스트레이너(30)를 지나면서 함유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여기서, 스트레이너(30)를 통과하면서 걸러지는 이물질에는 철분 등의 금속성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금속성분의 이물질은 스트레이너(30)에 설치된 자성체(31)에 흡착된다.
따라서, 밸브 바디(10)의 출구부(12a)로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는 깨끗한 상태의 유체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스트레이너(30)를 통과한 유체는 밸브 바디(10)의 제2 격실(12)을 지나 정유량 밸브(40)를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스톱밸브(20)와 스트레이너(30) 및 정유량 밸브(40)는 공지 기술인 관계로 그 작동 및 상세 구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유체가 정유량 밸브(40)를 통과하면서 그 양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로 니플(50)의 배출통로(50a)를 지나가게 된다.
이때, 니플(50)의 배출통로(50a)에 형성된 유체 통과 단면적이 점점더 완만하게 증가하는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 배출통로(50a)를 지나가는 유체로부터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부언하면, 유체가 정유량 밸브(40)를 최종적으로 통과하면서 니플(50)의 배출통로(50a) 형성 조건을 정유량 밸브(40)의 유체 통로 형상과 거의 유사하게 만들어줌으로써, 유체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b는 밸브 바디(10)의 입구부(11a)측 내면에 형성되어 배관(미도)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결합부이고, 미설명 부호 50b는 니플(5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배관(미도시)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결합부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단일의 밸브 바디에 스톱밸브와 스트레이너와 정유량 밸브를 모두 구비함으로써, 설치 면적의 축소와 작업시간의 단축과 시공비의 감소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두개의 제1, 제2 격실(11)(12)로 나뉘어지도록 연통공(13a)을 갖는 격벽(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격실(11)에 연통되게 유입구(11a)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 격실(12)에 연통되게 출구부(12a)가 형성된 양단 관통 형상의 밸브 바디(10)와;
    상기 제1 격실(11)을 통해 상기 연통공(13a)을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10)에 설치되는 스톱밸브(20)와;
    상기 제2 격실(12)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밸브 바디(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금속성의 이물질을 흡착하는 자성체(31)가 구비된 스트레이너(30)와;
    상기 제2 격실(12)측에 해당되는 출구부(12a)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에 따라 이의 통과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유량 밸브(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유량 밸브(40)의 출구측에는 유체의 통과 단면적이 점점더 증가하는 배출통로(50a)가 구비된 니플(50)이 유니온 너트(51)에 의해 결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
KR2020010021408U 2001-07-14 2001-07-14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 KR200250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408U KR200250647Y1 (ko) 2001-07-14 2001-07-14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408U KR200250647Y1 (ko) 2001-07-14 2001-07-14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647Y1 true KR200250647Y1 (ko) 2001-10-19

Family

ID=7306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408U KR200250647Y1 (ko) 2001-07-14 2001-07-14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6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8971B2 (ja) 浄水器
JP2009525865A (ja) 水処理システム用の一体型流量センサを備えたバイパス弁
CA2437569A1 (en) Water spout with removable laminar flow cartridge
WO1994021352A1 (en) Automatic fluid flow control and strainer device
KR20040106213A (ko) 상수도용 스트레이너 장치
KR100868810B1 (ko) 인라인형 스트레이너
WO2004094022A3 (en) Pleated construction for effecting gas transfer membrane
KR200250647Y1 (ko) 난방용 복합 밸브장치
CA2598345C (en) Arrangement related to a separator for the cleaning of such separator
KR200250648Y1 (ko)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
CA2231002A1 (en) A filter arrangement
KR102140263B1 (ko) 스트레이너
JPS5811367Y2 (ja) ストレ−ナにおける逆洗装置
CN219198207U (zh) 一种过滤球阀
CN216813041U (zh) 废水阀和净水器
KR0121139Y1 (ko) 냉장고용 음용수의 정수장치
CA2272288A1 (en) Method and sealing valve unit for controlling fluid flow through a passage
KR200274156Y1 (ko) 수도전 앵글밸브
KR200204819Y1 (ko) 솔레노이드 밸브
CN114352788A (zh) 废水阀和净水器
JP3003093B2 (ja) ドレントラップ
KR200427760Y1 (ko) 정지밸브
US1016757A (en) Faucet-filter.
KR200285997Y1 (ko) 급수관과 수도꼭지의 연결관
EP2107287A2 (en) Silencer for a water dispens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flush tank fill valve or a simila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