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443Y1 - 급수자동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급수자동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443Y1
KR200250443Y1 KR2019980026703U KR19980026703U KR200250443Y1 KR 200250443 Y1 KR200250443 Y1 KR 200250443Y1 KR 2019980026703 U KR2019980026703 U KR 2019980026703U KR 19980026703 U KR19980026703 U KR 19980026703U KR 200250443 Y1 KR200250443 Y1 KR 200250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p
tank
wate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248U (ko
Inventor
문일상
Original Assignee
문일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일상 filed Critical 문일상
Priority to KR2019980026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443Y1/ko
Publication of KR199900142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2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443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바 있는 실용신안 97-28042호(등록 208995호)와 관련된 급수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선 출원 고안은 변체 내에 횡방향 통수공과 상부 방향 통수공 사이에 변판을 핀으로 힌지 설치하여 상수도 공급 시에 생활 용수 꼭지를 열면 상수도 압에 의해 변체의 공실 내에서 횡방향 통수공을 차폐하고 있는 변판이 열려 상향 이동되면서 물탱크와 연결된 상부 방향 통공을 차폐함에 따라 상수도 물은 옥상 물탱크를 거치지 않고 바로 변체 횡방향 통수공과 연결된 용수 공급관을 통해 생황 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되고, 이때 생활용수 꼭지를 잠그면 상수도 물은 상부 상수도 공급관을 통해 옥상 물탱크내에 저자오디며, 상수도물의 공급이 중단된 후 생활 용수 꼭지를 열게되면 이때에는 물탱크 내의 수압에 의해 상부방향 통수공을 차폐하고 있던 변판이 열리면서 변체의 횡방향 통수공을 차폐함과 동시 하부 생활 용수 공급관에 연결된 생활 용수 꼭지를 통해 탱크(10)의 물을 공급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자동 급수 조절을 하는 변판은 변체 내에서 힌지 설치된 관계로 이에 찌꺼기가 부착되면 변판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오작동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 요지는 변체(1)의 상면 및 옆면에 뚫림된 구멍(1")에는 공실(1') 내에 수나된 "ㄴ"형 통수관(2)의 상단 및 하단부가 끼움되어 이의 외단에는 옥상 물탱크(10)와 연결된상부 용수 공급관(7) 및 상수 공급관(8)과 연결된 이음관(5)을 연결하되, 이 "ㄴ"형 통수관(2)의 상부측 주벽에는 다수의 통수공(2')이 뚫림되고, 그 내주벽 상하단에는 걸림턱(2"')을 형성하여 그 사이에 변판(3)이 헐겁게 끼움되어 수압에 의해 상하 유동되게 한 것으로 이를 사용할 시는 상수도 급수 시에 생활 용수 꼭지(11)를 열면 이때에는 상수도물의 수압에 의해 통수관(2) 내에 헐겁게 끼움된 변판(3)이 상승하면서 옥상 탱크(10)와 연결된 상부 용수 공급관(7)을 차단함과 동시 통수관(2)에 유입된 수돗물은 통수공(2')을 통해 하부 용수 공급관(7)에 부착된 생활 용수 꼭지(11)로 공급할 수 있게 하고, 이때 생활 용수 꼭지(11)를 잠그면 수돗물은 상수 공급관(8)을 통해 옥상 탱크(10)에 공급되며, 수돗물의 급수가 중단된 후 생활 용수 꼭지(11)를 열면 이때에는 옥상 탱크(10) 내의 수압에 의해 변판(3)이 하강하면서 통수관(2)의 하단부를 차폐함에 따라 탱크(10) 내의 물은 통수관(2)의 통수공(2')을 통하여 하부 용수 공급관(7)에 부착된 생활 용수 꼭지(11)로 급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급수 자동 조절장치{WATER SUPPLY AUTOMATIC CONTROL DEVICE}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원 97-28042(등록 208995호)와 관련된 급수 자동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어촌과 같이 소도시 지역에 설치된 상수도는 대부분이 시간 급수를 하고 있는 실정이고, 이와 같은 시간 급수 시는 많은 곳에서 일시에 급수를 받기 때문에 수압이 낮아진다. 이와 같이 수압이 낮은 조건하에서 옥상에 설치된 물탱크를 통해 생활 용수를 급수 받게 되고 보니 수압이 낮아서 급수 시간이 오래 걸리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기 선출원 등록 고안은 변체의 공실 상하에 뚫린 구멍에는 용수 공급관이 연결되고, 횡방향에는 옥상 탱크에 급수하는 상수 공급관과 연결된 이음관을 연결하되, 횡방향 상수 통수공과 상부 용수 공급관의 통수공 사이에는 변판을 핀으로 힌지 설치한 것으로 이를 사용할 때 즉, 상수도 공급 시 생활 용수 꼭지를 열면 상수도 압에 의해 횡방향 통수공을 차폐하고 있는 변판이 열림과 동시 상부 용수 공급관의 통수공을 차폐하므로서 생활 용수 꼭지에서는 바로 상수도 물을 공급받을 수 있고, 이때 용수 꼭지를 잠그면 상수도물은 상수 급수관을 통해 옥상 탱크에 저장되며, 상수도물의 급수가 중단된후 생활 용수 꼭지를 열게되면 이때에는 물탱크내의 수압에 의해 변판이 앞서와 반대로 열리면서 횡방향 공급관을 차폐하므로서 옥상 탱크 내의 물이 생활 용수 꼭지에 급수하도록 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장치는 공실 내에 설치된 변판에 이물질이 끼움되면 변환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오작동이 생기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 요지는 변체의 공실 내에 상단에는 생활 용수 공급관이 연결되고, 하단에는 상수 공급관의 이음관이 연결된 "ㄴ"형 통수관을 개재시키되, 이 통수관의 상측 주벽에는 다수의 통수공을 형성하고, 이의 내주벽 상하단에 형성된 걸림턱 사이에는 수압에 의해 상하 유동되는 변판을 장입하므로서 수돗물의 공급 시에 생활 용수 꼭지를 열면 이때에 변판이 수압에 의해 상승하여 상부 공급관의 통수공을 차단함에 따라 생활 용수 꼭지에는 수돗물이 바로 공급되고, 이때 생활 용수 꼭지를 잠그면 수돗물의 수압에 의해 변체는 그대로 유지되고, 수돗물은 상부 상수 공급관을 통해 옥상 탱크에 공급되며, 수돗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생활 용수 꼭지를 열면 이때에는 탱크 내의 수압에 의해 변판이 하강하면서 통수관의 하단 통수로를 차단시켜 탱크내의 물은 하부 용수 공급관에 부착된 생활 용수 꼭지에 급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 장치의 단면 표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작용 표시도로서
"가"는 옥상 탱크 물이 생활 용수 공급관으로 공급될 때
"나"는 상수도 물이 옥상 탱크에 공급되지 않고 바로 생활 용수 꼭지로 급수될 때
제 4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변체 1'-공실 1"-구멍 1"'-나사구멍
2-통수관 2'-통수공 2"-나사부 2"'-걸림턱
3-변판 4-관이음구 5-이음관 5'-나사부
6-패킹 7-용수 공급관 7'-나사부 8-상수 공급관
9-건축물 10-물탱크 11-생활 용수 꼭지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체(1)의 옆 및 상측에 뚫린 구멍(1")에는 공실(1') 내에 끼움된 "ㄴ"형 통수관(2)의 상하단이 끼움되어 있으되, 이 통수관(2)의 상부측 주벽에는 다수의 통수공(2')이 뚫림되고, 내주벽 상하단에는 걸림턱(2"')을 형성하여 그사이에 변판(3)이 헐겁게 끼움되어 상하 유동되게 하고, 이 통수관(2)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부(2")에는 물탱크(10)와 연결된 상부 용수 공급관(7)의 나사부(7')가 패킹(6)을 개재시켜 연결되고, 통수관(2)의 하단부는 변체(1)의 일측면에 뚫린 구멍(1")에 끼움되어 있으되, 이의 나사부(2")에는 관이음구(4)와 연결된 이음관(5)의 나사부(5')가 패킹(6)을 개재시켜 연결되고, 변체(1)의 하측에 뚫린 나사구멍(1"')에는 하부 용수 공급관(7)의 나사부(7')가 패킹(6)을 개재시켜 나사 끼움되어 있고, 이의 하단부에는 생활 용수 꼭지(11)가 연결되며, 전기한 관이음구(4)의 상부에 연결된 상수 공급관(8)은 물탱크(10)에 연결되고, 관이음구(4)의 하부에는 상수 공급관(8)이 연결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급수 자동 조절 장치인 바 이를 설치할 시는 제4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상수도관의 급수 시 생활 용수 꼭지(11)를 열게되면 이때는 비교적 높은 압의 상수가 이음관(5)을 통해 통수관(2)으로 유입되고, 이때 변판(3)은 수압에 의해 상승되어 상부 걸림턱(2"')에 걸림되면서 물탱크(10)와 연결된 상부 용수 공급관(7)을 차단시킴에 따라 통수관(2)으로 유입된 수돗물은 통수공(2')을 지나 하부 생활 용수 공급관(7)과 연결된 생활 용수 꼭지(11)로 배출되므로 생활 용수 꼭지(11)에서는 많은 량의 용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생활 용수 꼭지(11)를 잠그면 상수도 수압에 의해 변판(3)은 통수관(2)의 상단부를 그대로 차폐하고 있기 때문에 수돗물은 상부 상수 급수관(8)을 통해 옥상 탱크(10)에 저장되고, 일정 수위에 달하면 부구 밸브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급수가 중단된다.
그리고 상 수돗물의 공급이 중단된 후 생활 용수 꼭지(11)를 열면 이때에는 탱크(10) 내의 수압에 의해 변판(3)이 하강하면서 상수 공급관(8)을 개방시킴과 동시 통수관(2)의 하단부를 차단시켜 주므로 옥상 물탱크(10) 내의 물은 통수관(2)의 통수공(2')을 지나 하부 생활 용수 공급관(7)을 통해 생활용수 꼭지(11)에 급수하게 된다.
따라서, 상수도에서 상수가 공급될 시에 생활 용수 꼭지(11)를 열면 상수도물이 옥상 물탱크를 거치지 않고 바로 배출되고 이때 꼭지를 잠궈두면 옥상 탱크에 상수도 물이 공급되고, 상수도물의 공급이 중단된 후 생활 용수꼭지(11)를 열면 이때에는 옥상 탱크의 수압에 의해 통수관(2) 내의 변판(3)이 하강하면서 통수관(2)의 하단 통수로를 차단함에 따라 옥상 탱크(10)의 물은 생활 용수 공급관(7)을 통해 생활 용수 꼭지(11)로 공급되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상수도 물이 급수되고 있을 때 생활 용수 꼭지(11)를 열면 이때에는 상수도 물이 옥상의 물탱크(1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생활 용수 꼭지(11)에 공급되고 상수도물의 급수가 중단된 후 생활 용수 꼭지(11)를 열면 이때에는 옥상 물탱크(10) 내의 물이 생활 용수 공급관(7)을 통해 생활 용수 꼭지(11)로 자동 공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시간 급수 지역이나 상수도 수압이 낮은 곳에서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 것이다.

Claims (1)

  1. 변체(1)의 상면 및 측면에 뚫린 구멍(1")에는 공실(1') 내에 수납된 "ㄴ"형 통수관(2)의 상하단부가 끼움되어지고, 이 "ㄴ"형 통수관(2)의 상부측의 주벽에는 다수의 통수공(2')이 뚫려있고, 그 내주벽 상하 단부에는 걸림턱(2"')을 형성하여 그 사이에 변판(3)이 헐겁게 끼움되어 상하 유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급수 자동 조절장치.
KR2019980026703U 1998-12-23 1998-12-23 급수자동조절장치 KR200250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703U KR200250443Y1 (ko) 1998-12-23 1998-12-23 급수자동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703U KR200250443Y1 (ko) 1998-12-23 1998-12-23 급수자동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248U KR19990014248U (ko) 1999-04-26
KR200250443Y1 true KR200250443Y1 (ko) 2002-08-22

Family

ID=69503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703U KR200250443Y1 (ko) 1998-12-23 1998-12-23 급수자동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4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248U (ko) 199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80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level of water in above-ground swimming pools
US5246028A (en) Sanitary yard hydrant
JP6148063B2 (ja) フロート式逆流防止弁
US59375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liquid to a tree stand
US5836022A (en) Automatic liquid level control apparatus
KR102348570B1 (ko)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
KR200250443Y1 (ko) 급수자동조절장치
US2154811A (en) Primer valve
KR102222025B1 (ko)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KR101553213B1 (ko) 자동 급수제한장치
US2477224A (en) Trough or tank water level valve
KR100394508B1 (ko) 절수형 욕조
JPH08210534A (ja) 逆止弁
KR200426382Y1 (ko) 비데 연결용 분배공을 가지는 앵글밸브의 밸브캡
KR200208995Y1 (ko) 급수자동조절장치
KR200243333Y1 (ko) 플로터 직결형 급수밸브
JP2503198B2 (ja) 受水槽給水配管系の定水位弁
JPH1189450A (ja) 水田の給排水装置
US2157545A (en) Guard for primer valves
US3485261A (en) Float controlled valve
US3096783A (en) Toilet bowl ball cock assembly
JPS5917987Y2 (ja) 吸気弁付き不凍給水栓
US672469A (en) Antifreezing valve and closet-cistern.
KR100441454B1 (ko) 유체자동정지기
KR950002248Y1 (ko) 물수위 감지에 의한 자동급수 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