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191Y1 - 마감재 밴딩장치의 로고각인롤러 - Google Patents

마감재 밴딩장치의 로고각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191Y1
KR200250191Y1 KR2020010019474U KR20010019474U KR200250191Y1 KR 200250191 Y1 KR200250191 Y1 KR 200250191Y1 KR 2020010019474 U KR2020010019474 U KR 2020010019474U KR 20010019474 U KR20010019474 U KR 20010019474U KR 200250191 Y1 KR200250191 Y1 KR 200250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material
logo
roller
furniture panel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to KR2020010019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1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191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패널의 미감향상을 목적으로 가구패널의 에지면에 마감재를 밴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마감재 밴딩장치의 내부에, 열과 압력을 마감재에 부가할 수 있는 로고각인롤러를 추가로 설치하여 로고각인공정과 마감재 밴딩공정을 거의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감재의 두께에 관계없이 마감재에 로고를 각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자재관리의 융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마감재 밴딩장치의 로고각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가구패널에 마감재를 밴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마감재 밴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 밴딩장치에 롤형태로 탑재되어 그 내부로 투입되는 마감재가 압착롤러에 의해 상기 가구패널에 부착되기 위해 이동하는 이동경로 상에, 상기 마감재의 전면에 로고를 각인하는 로고각인롤러와 후면에서 이를 지지하는 지지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로고각인롤러에는 상하면 중앙을 관통하는 축결합구가 형성되어 상기 축결합구에 축이 결합되면서 상기 축의 양단과 외부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로고각인롤러의 외면에는 제조업체의 로고가 양각으로 각인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히팅코일과 온도조절장치가 부가된 열발생용 히팅장치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임.

Description

마감재 밴딩장치의 로고각인롤러{Roller for carving logo in finishing material banding machine}
본 고안은 가구패널의 에지면 마감처리시 마감재에 각인된 제조업체의 로고를 마감재 밴딩장치에 추가로 설치된 로고각인롤러에 미리 양각으로 각인을 하여 로고각인공정과 마감재밴딩공정을 거의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 마감재 밴딩장치의 로고각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를 주재료로 하는 가구패널은 그 표면의 미감향상을 위하여 PV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ABS의 재질로 된 마감재를 이용하여 마감처리(banding: 밴딩)를 하게 되고 각 가구제조업체의 심볼이나 로고를 나타내기 위해 일반적으로 마감재의 표면에 심볼이나 로고를 각인한 후에 가구패널에 부착하여 밴딩을 하게 되는데, 이때 가구패널에 상기 마감재를 밴딩하기 위해서 마감재 밴딩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내용의 좀더 상세한 설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4는 롤형태로 되어있는 마감재 원단에 로고를 각인하고 가구패널 두께로 재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과정도이고 도 5a와 5b는 마감재 밴딩장치의 개략도와 각 공정개소에서 이루어지는 공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먼저 PVC, PET, ABS의 재질로 된 마감재(30) 원단에 로고를 각인하게 되는데, 상기 로고를 마감재에 각인하기 위하여 로고가 각인되어 있는 각인용롤러(60)를 사용하게 되는 바, 상기 각인용롤러(60)가 마감재(30) 원단을 압착하면서 로고를 새기게 되며, 이에 로고는 마감재(30) 원단에 등간격으로 각인이 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각인된 마감재(30) 원단이 롤상태로 권취된 후에 가구패널(40)의 부착예정면, 즉 에지면의 너비와 동일하게 재단되는 마감재재단공정을 거치게 되고 상기 재단된 마감재(30) 원단은 마감재 밴딩장치로 이송되는데, 상기 마감재 밴딩장치(100)는 가구패널(40)에 마감재(30)를 밴딩하는 장치로서, 내부에는 가구패널(40)이 각 공정개소로 이동될 수 있도록 벨트와 같은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마감재(30) 밴딩과 관련된 일련의 세부공정이 이루어지도록 공정개소마다 롤러나 커팅수단 등과 같은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상기 가구패널(40)이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면서 먼저 공정A와 같은 마감재밴딩공정을 거치게 되는 바, 상기 가구패널(40)의 에지면에 부착제(70)가 도포되고 상기 재단된 마감재(30) 원단이 부착제(70)가 도포된 가구패널(40)의 에지면에 부착되며, 이때 압착롤러(50)가 마감재(30) 위를 움직이면서 마감재(30)를 압착하기 때문에 밴딩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으로, 공정B와 같이 상기 가구패널(40) 에지면의 좌우 외측으로 돌출된마감재(30)를 에지면의 양단과 일치하도록 절단하는 커팅(cutting)공정을 진행하여 커팅수단(81)이 마감재(30)를 절단함으로써 에지면의 좌우양단을 깔끔하게 마무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팅공정이 마무리되면 이번에는 에지면의 상하 외측으로 돌출된 마감재(30)를 절단하는 트리밍(trimming)공정이 진행되고, 마찬가지로 트리밍수단(82)이 마감재(30)를 절단함으로써 가구패널(40) 에지면의 상하단을 마무리하게 되며, 이는 공정C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공정D와 같이 상기 가구패널(40) 에지면의 외부로 스며나온 부착제(70)를 말끔히 제거하기 위한 스니핑(snipping)공정이 진행되어 스니핑수단(83)이 불필요한 부착제(70)를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앞서 행했던 공정시 제거물의 일부가 미제거되었을 경우에 대비하여 공정E와 같이 버핑수단(84)이 절단부위를 깨끗이 닦아주는 버핑(buffing)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최종 마무리를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마감재(30) 부착공정 중 먼저 마감재(30) 원단에 로고를 각인하는 로고각인공정과 재단된 마감재(30)를 가구패널(40)에 압착롤러(50)와 부착제(70)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마감재밴딩공정과 관련하여 하기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첫째, 상기 마감재(30)는 일반적으로 로고가 각인된 마감재(30)와 로고가 미각인된 마감재(30)로 나누어 가구패널(40)에 선택적으로 부착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치게 되면 로고의 각인유무에 따라 두종류의 재고를 관리해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감재(30)를 롤상태로 한 경우 말고도 압출식으로 마감재를 생산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상기 압출식으로 생산한 마감재(30)는 그 두께가 롤상태의 마감재(30)보다 두꺼워서 각인용롤러(60)의 압착만으로는 로고를 각인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로고를 각인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여 비용상승의 원인이 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들은 시간적, 또한 공간적 측면에서 제조업체의 단위시간당 생산수량과 경제적 측면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마감재 밴딩장치 내부, 즉 마감재가 투입되어 가구패널쪽으로 이동하는 이동경로 상에 제조업체의 로고가 양각으로 각인된 로고각인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로고각인롤러의 내부에는 열발생을 위한 히팅장치를 내장하여 열과 압력을 마감재에 미치게 함으로써, 로고각인이 필요한 마감재와 필요치 않은 마감재를 따로 구분할 필요없이 마감재 밴딩장치 내에서 선택적으로 각인을 할 수 있고, 각인됨과 동시에 상기 마감재를 가구패널에 부착할 수 있어 공정수의 감소와 공정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마감재의 두께와 관계없이 마감재에 로고를 각인 할 수 있는 마감재 밴딩장치의 로고각인롤러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 밴딩장치 중 마감재밴딩공정 개소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 밴딩장치의 로고각인롤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 밴딩장치의 로고각인롤러를 이용해 마감재를 가구패널에 밴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에 롤형태로 되어있는 마감재 원단에 로고를 각인하고 가구패널 두께로 재단한 상태를 나타낸 과정도,
도 5a는 종래의 마감재 밴딩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b는 도 5a의 각 공정개소에서 이루어지는 공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고각인롤러 12 : 지지롤러
14 : 축결합구 16 : 축
20 : 히팅장치 22 : 히팅코일
24 : 온도조절장치
30 : 마감재 40 : 가구패널
50 : 압착롤러 60 : 각인용롤러
70 : 부착제 100 : 마감재 밴딩장치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구패널(40)에 마감재(30)를 밴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마감재 밴딩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 밴딩장치(100)에 롤형태로 탑재되어 그 내부로 투입되는 마감재(30)가 압착롤러(50)에 의해 상기 가구패널(40)에 부착되기 위해 이동하는 이동경로 상에, 상기 마감재(30)의 전면에 로고를 각인하는 로고각인롤러(10)와 후면에서 이를 지지하는 지지롤러(12)가 설치되고, 상기 로고각인롤러(10)에는 상하면 중앙을 관통하는 축결합구(14)가 형성되어 상기 축결합구(14)에 축(16)이 결합되면서 상기 축(16)의 양단과 외부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로고각인롤러(10)의 외면에는 제조업체의 로고가 양각으로 각인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히팅코일(22)과 온도조절장치(24)가 부가된 열발생용 히팅장치(2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마감재 밴딩장치 중 마감재밴딩공정 개소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로고각인롤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롤상태의 마감재(30)는 마감재 밴딩장치(100)의 일측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마감재 밴딩장치(100)의 내부로 투입되면서 가구패널(40)의 에지면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마감재(30)의 이동경로 상에는 로고각인롤러(10)가 상기 마감재(30)의 전면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고각인롤러(10)의 외면에는 제조업체의 로고가 양각으로 각인되어 있고 상기 로고각인롤러(10)와 접하는 마감재(30)의 후면에는 지지롤러(12)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롤러(12)는 로고각인롤러(10)가 마감재(30)의 전면에 로고를 각인할 때 마감재(30)의 후면에서 로고각인롤러(10)의 압착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인 바, 상기 로고각인롤러(10)와 지지롤러(12)는 마감재(30)가 그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호 밀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로고각인롤러(10)의 상하면 중앙을 관통하는 축결합구(14)가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축(16)이 설치되어지는데, 상기 축(16)의 신장은 로고각인롤러(10)보다는 길게 형성되어 설치시 상기 축(16)의 양단이 외부로 돌출되어지고 이 양단에 외부선이 연결되어 축(16)을 통하여 내부로 전기가 전달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축(16)을 포함하는 로고각인롤러(10)의 내부에는 히팅장치(20)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히팅장치(20)는 히팅코일(22)과 온도조절장치(24)로 구성되어 있는 바, 외부선을 통하여 전기를 공급하면 축(16)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류가 상기 히팅코일(22)로 전달되고 히팅코일(22)에서 열이 발생되면서 로고각인롤러(10)의 표면에 열을 전달하게 된다.
물론, 상기 온도조절장치(24)에 의해 로고각인롤러(10)에 가해지는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마감재(30)에 가해지는 온도의 과유(過猶)를 조절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로 상기 로고각인롤러(10)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롤상태로 되어 있는 마감재(30)가 마감재 밴딩장치(100)의 내부로 투입되면서 이동경로 상에 있는 로고각인롤러(10)와 지지롤러(12) 사이로 지나가게 되는데, 상기 로고각인롤러(10)는 공급된 전류에 의해 열이 발생되어 표면에 열이이미 존재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상기 로고각인롤러(10)는 마감재(30)의 전면에 열을 가함과 동시에 압착을 가함으로써 로고를 각인하게 되고, 상기 마감재(30)의 후면에 있는 지지롤러(12)가 그 압착력을 지지해주기 때문에 용이하게 로고가 각인될 수 있으며, 만일 상기 마감재(30)를 압출식으로 생산하여 그 두께가 다소 두껍더라도 상기 로고각인롤러(10)의 고온압착에 의해서 로고나 심볼이 더욱 용이하게 각인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로고가 각인된 마감재(30)는 부착제(70)가 미리 도포된 가구패널(40)의 에지면 위에 부착되고 압착롤러(50)에 의해 압력을 받으면서 견고하게 부착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마감재(30)가 가구패널(40)에 부착되도록 하는 부착제(70)는 상기 히팅장치(20)가 부가됨에 따라, 액상의 부착제(70) 뿐만 아나라 보관과 사용이 편리한 고체상의 부착제(70), 예컨대 고온에서 접착성을 갖는 핫멜트(hot melt)와 같은 것을 사용하더라도 히팅장치(2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핫멜트가 녹으면서 가구패널(40)에 마감재(30)를 부착할 수 있어 부착제(70)의 선택범위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도 얻는다.
결국, 상기와 같이 로고각인롤러(10)를 마감재 밴딩장치(100)에 설치하게 되면, 마감재 밴딩장치(100) 내부로 투입되는 마감재(30)를 로고각인을 해야하는 마감재(30)와 그렇지 않은 마감재(30)로 따로 구분할 필요가 없고 로고각인과 밴딩을 거의 동시에 할 수 있게 되어 공정수의 감소와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로고각인롤러(10)의 고온압착에 의하여 두께가 두꺼운 마감재(30)의 경우라도 용이하게 로고나 심볼을 각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 밴딩장치의 로고각인롤러에 의하면 마감재 밴딩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로고각인롤러의 외면에 양각으로 로고를 각인하고 내부에는 열발생용 히팅장치를 장착함으로써, 로고각인공정과 마감재 밴딩공정을 따로 분리하지 않고 두 공정을 거의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공정수의 감소와 경제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마감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로고를 각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가구패널(40)에 마감재(30)를 밴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마감재 밴딩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 밴딩장치(100)에 롤형태로 탑재되어 그 내부로 투입되는 마감재(30)가 압착롤러(50)에 의해 상기 가구패널(40)에 부착되기 위해 이동하는 이동경로 상에, 상기 마감재(30)의 전면에 로고를 각인하는 로고각인롤러(10)와 후면에서 이를 지지하는 지지롤러(12)가 설치되고, 상기 로고각인롤러(10)에는 상하면 중앙을 관통하는 축결합구(14)가 형성되어 상기 축결합구(14)에 축(16)이 결합되면서 상기 축(16)의 양단과 외부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로고각인롤러(10)의 외면에는 제조업체의 로고가 양각으로 각인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히팅코일(22)과 온도조절장치(24)가 부가된 열발생용 히팅장치(2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밴딩장치의 로고각인롤러.
KR2020010019474U 2001-06-28 2001-06-28 마감재 밴딩장치의 로고각인롤러 KR200250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474U KR200250191Y1 (ko) 2001-06-28 2001-06-28 마감재 밴딩장치의 로고각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474U KR200250191Y1 (ko) 2001-06-28 2001-06-28 마감재 밴딩장치의 로고각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191Y1 true KR200250191Y1 (ko) 2001-11-16

Family

ID=7310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474U KR200250191Y1 (ko) 2001-06-28 2001-06-28 마감재 밴딩장치의 로고각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1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0303B1 (en) Machine for decorating metal plaquettes
US4737329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relief images
EP1332864A4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N EMBOSSED FILM AND EMBOSSED FILM
CA2328841A1 (en) Paper embossing system with a flexible counter and method of embossing
CA2369548A1 (en) Notched muntin bars having two finishes
KR200250191Y1 (ko) 마감재 밴딩장치의 로고각인롤러
HK1068855A1 (en) Thermosensitive stencil printing plate, its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tencil plate material, and stencil printing machine
JP6496884B1 (ja) 熱可塑性合成樹脂製立体装飾片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1191681B1 (ko)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JP2682949B2 (ja) ファイルの製造方法
CN201357610Y (zh) 烫金压纹机
JP3462170B2 (ja) 箔押し方法及び箔押し装置
KR200433884Y1 (ko) 도어용 에이비에스 시트 제조장치
KR200312168Y1 (ko) 합성수지재 도어용 판넬
KR200352433Y1 (ko) 직물 주름 성형장치
JPH06158527A (ja) ニット製布帛用エンボス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S6226659B2 (ko)
KR200248291Y1 (ko) 열융착 마우스패드
CN211994612U (zh) 一种多功能烫画机
US20060046029A1 (en) Embossed ornamental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7290236A (ja) 軟質ウレタンフォームの加工方法
JP2005022272A (ja) 箔押し・エンボス加工方法及び装置
KR101849524B1 (ko) 무늬가 형성된 pc 지붕판재의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들에 의해 제조된 무늬가 형성된 pc 지붕판재
KR20020087789A (ko) 표면에 로고가 성형된 화장솜 절단장치
JP3296647B2 (ja) 内装用基材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成形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