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681B1 -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681B1
KR101191681B1 KR1020120024983A KR20120024983A KR101191681B1 KR 101191681 B1 KR101191681 B1 KR 101191681B1 KR 1020120024983 A KR1020120024983 A KR 1020120024983A KR 20120024983 A KR20120024983 A KR 20120024983A KR 101191681 B1 KR101191681 B1 KR 101191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door
synthetic resin
manufactur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숙
Original Assignee
(주)삼현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현케미칼 filed Critical (주)삼현케미칼
Priority to KR1020120024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4Auxiliary operations prior to the thermoforming operation, e.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7Joining single elements to sheets, plates or other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72Joining single elements to sheets, plates or other substantially flat surfaces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bstantially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55/00Use of 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K2023/00 - B29K2049/00, e.g. having a vinyl group, as moulding material
    • B29K2055/02ABS polymers, i.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2Bright, glossy or shiny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4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작 과정이 간단하고, 패널의 중간 부분에 평평하지 않고 불규칙한 골이 형성되어지고, 이 골 부분에 빛이 비춰지면 골과 골 사이로 빛이 유입되고, 이에 따라 미려한 외관과 목재형상이 그대로 노출되어 목재 느낌과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게 되는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의 제조방법은, 광택도가 뛰어난 ABS 시트와 데코시트를 140℃~150℃의 온도로 50분 동안 가열하되, 최초 압력 50㎏/㎠에서 최종 압력 100㎏/㎠로 서서히 압착시킨 후, 40분~45분 동안 수냉을 거쳐 시트를 제조하고, 그 시트를 360℃의 분위기로 가열 연화시킨 후 200psi 진공으로 수치제어장치인 NC로 각인 또는 조각된 물결 모양을 갖는 문짝 무늬 금형에 흡착시켜 목재 형태의 줄무늬를 형성시키는 진공 성형을 거쳐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Door plastic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짝에 요구되는 자연적인 물결 모양의 무늬를 갖고 제조 공정이 간단한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재 무늬를 갖는 데코시트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데코시트는 문짝 등의 표면 마감재로 활용된다. 종래 데코시트로 형성된 표면의 경우 빛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매끄럽게 처리되어 있다. 또한 동일한 표면감만을 얻을 수 있어 단조로운 느낌을 갖게 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33884호에는 도어용 에이비에스 시트 제조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이는 롤러의 표면에 엠보싱돌기를 형성하여 시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엠보싱이 함께 성형될 수 있는 엠보싱 성형이 가능한 에이비에스 시트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메인롤러와, 메인롤러 상측에 설치되며 스프링의 탄력이 제공되며 메인롤러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가압롤러와, 가압롤러의 상측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냉각수관이 배관되고 메인롤러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냉각롤러를 기체에 베어링으로 지지되게 설치하고, 이들 롤러들을 구동하도록 각 축에 모터를 결합한 롤러 어셈블리와; 롤러 어셈블리 전방으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는 인출기 및 커터기를 설치한 에이비에스 시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가압롤러 표면에 양각으로 엠보싱돌기를 형성하고, 롤러 어셈블리 상측 전방에는 기체에 일체 형성된 브래킷에 PVC 데코시트지를 거치하는 데코시트 공급롤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에이비에스 시트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가압롤러에 각인된 형태의 제한을 받아 엠보싱 돌기만이 형성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문짝에 요구되는 자연적인 물결 모양의 무늬를 갖는 판넬을 제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다른 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60792호가 있다. 이는 합성수지시트인 ABS 시트와, PVC 시트인 데코시트 및 아크릴 시트를 순차적으로 합지하여 특정의 수지제품을 구성하는 진공 성형금형에 이송 투입하고, 진공성형하여 완성하므로서 ABS 수지시트와, 데코시트 및 아크릴 수지시트가 열강합법에 의해 합지되어 제조된다. 그러나 이 기술은 아크릴 수지시트가 부가되어져 문짝에 사용되어질 경우 전체 중량을 증가시키며 제작비용을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아크릴 수지시트에 의해 문짝의 표면에 불규칙한 물결모양의 잔무늬를 형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또 다른 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79205호가 있다. 이는 ABS 또는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 시트 표면에 각종 색상 및 기본 무늬 모양이 인쇄된 데코필름을 열프레싱 방법으로 합지하여 제조된 합성수지판을 이용하여 조립되는 합성수지 문짝에 있어서, 상기 데코필름이 부착된 합성수지판의 기본 무늬모양부의 상면에는 외관의 미려함을 더하기 위해 진공 성형기에 의해 음,양각으로 성형될 특정부분에 실크 인쇄를 통해 인쇄하여 특정 무늬문양부를 형성한 후 인쇄된 특정 무늬문양부를 진공성형기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문짝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실크 인쇄의 공정이 부가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작 과정이 간단하고, 패널의 중간 부분에 평평하지 않고 불규칙한 골이 형성되어지고, 이 골 부분에 빛이 비춰지면 골과 골 사이로 빛이 유입되고, 이에 따라 미려한 외관과 목재형상이 그대로 노출되어 목재 느낌과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게 되는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의 제조방법은, 광택도가 뛰어난 ABS 시트와 데코시트를 140℃~150℃의 온도로 50분 동안 가열하되, 최초 압력 50㎏/㎠에서 시작하여 최종 압력 100㎏/㎠이 되도록 압력을 높이면서 압착시킨 후, 40분~45분 동안 수냉을 거쳐 시트를 제조하고, 그 시트를 360℃의 분위기로 가열 연화시킨 후 수치제어장치인 NC로 각인 또는 조각된 물결 모양을 갖는 문짝 무늬 금형에 흡착시켜 목재 형태의 줄무늬를 형성시키는 진공 성형을 거쳐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의 제조방법은, 200℃~220℃의 온도에서 압출되는 ABS 수지를 데코시트와 압착시킨 후 냉각을 거쳐 360℃의 분위기로 가열 연화시키고, 수치제어장치인 NC로 각인 또는 조각된 물결 모양을 갖는 문짝 무늬 금형에 진공 흡착시켜 목재 형태의 줄무늬를 형성시키는 진공 성형을 거쳐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데코 시트는 PP,PE,PET 등의 올레핀 계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염화비닐시트를 결합한 고광택 시트가 데코시트에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패널 표면에 기포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형을 70~80℃에서 1~3시간 예비 건조한 후 진공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은, 직사각 형태의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을 제작하되; 상기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의 마감 표면에는 양쪽의 일정 폭으로 종방향에 걸쳐 평탄하게 평면 처리되어 줄무늬가 없는 무늬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늬부의 사이에는 평평하지 않고 불규칙한 줄무늬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미려한 외관과 목재형상이 그대로 노출되어 목재 느낌을 제공하기 위해 패널의 중간 부분에는 줄무늬부에 의해 평평하지 않고 불규칙한 골이 형성되어져, 이 골 부분에 빛이 비춰지면 골과 골 사이로 빛이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줄무늬부에는 줄무늬가 없는 평평한 수개의 국소패턴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작 공정이 간단하고, 패널의 중간 부분에 평평하지 않고 불규칙한 골이 형성되어지고, 이 골 부분에 빛이 비춰지면 골과 골 사이로 빛이 유입되고, 이에 따라 미려한 외관과 목재형상이 그대로 노출되어 목재 느낌과 미려한 문짝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의 제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의 제조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의 표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을 문짝에 구성시킨 사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실시예>
제1실시예에 따른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의 제조방법을 도 1과 함께 살펴본다.
먼저, 개질보강재로서 ABS 시트와 원목가구 표면을 갖는 데코시트가 구비된다. 데코 시트는 PP,PE,PET 등을 포함하는 올레핀 계열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ABS 시트와 데코시트는 합지(S10)된 상태에서 소정의 높은 온도에서 가열된다.
바람직한 가열 온도는 140℃~150℃가 적당하며 이때 가열시간은 50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시간은 가열온도에 따라 변동이 생길 수 있다. 가열 온도가 140℃ 이하가 되면 ABS 시트와 데코시트의 열융착이 어렵다. 또한 가열 온도가 150℃ 를 넘게 되면 ABS 시트와 데코시트의 열융착시 기포가 발생될 수 있다.
ABS 시트와 데코시트의 가열시 융착을 위해 압력이 가해진다. 그 압력은 처음부터 일정한 압력을 가하기보다는 압력을 서서히 높여서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최초 압력 50㎏/㎠에서 시작하여 최종 압력 100㎏/㎠이 되도록 압력을 높이면서 압착시킬 수 있다.
이같이 열융착(S11)으로 압착이 완료되면 합지된 시트는 고온 상태이기 때문에 적정한 시간을 거쳐서 냉각(S12)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40분~45분 동안 수냉을 거쳐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그 다음 냉각된 시트를 360℃의 분위기에서 가열 연화(S13)시킨다. 가열 연화는 냉각 시트를 유연화시켜 성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연화에 필요한 가열 온도는 36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성형 조건에 따라 편차가 생길 수 있다.
그 다음 수치제어장치인 NC로 각인 또는 조각된 물결 모양을 갖는 문짝 무늬 금형에 연화된 시트를 진공 흡착(S14)시킨다. 진공 흡착후 금형에서 탈형(S15)을 함으로써 완성된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이 제조된다. 이때 사용된 진공압력은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의 두께나 연화 온도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패널 표면에 기포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형을 70~80℃에서 1~3시간 예비 건조한 후 진공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광택 표면을 얻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염화비닐시트를 결합한 고광택 시트가 데코시트에 열융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진공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실시예>
한편, 제2실시예는 200℃~220℃의 온도에서 압출되는 ABS 수지를 이용하여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의 제작할 수 있다.
먼저, 압출되는 ABS 수지를 데코시트와 압착(S20)시킨 후 냉각(S20)을 거쳐 1차적인 시트를 제조한다. 이때 압착은 롤러장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ABS 수지는 고온으로 압출되므로 롤러의 사이에서 가압을 받아 데코시트와 쉽게 합착된다.
여기서 데코 시트는 PP, PE, PET 등의 올레핀 계열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 1차 시트를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거쳐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즉, 360℃의 분위기로 가열 연화(S22)시키고, 수치제어장치인 NC로 각인 또는 조각된 물결 모양을 갖는 문짝 무늬 금형에 흡착(S24)시킨 후 탈형(S26)하여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1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그 마감 표면에 양쪽의 일정 폭으로 종방향에 걸쳐 평탄하게 평면 처리되어 줄무늬가 없는 무늬부(11a,11b)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무늬부(11a와 11b)의 사이에는 평평하지 않고 불규칙한 수많은 골을 갖는 줄무늬부(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줄무늬부(12)에는 줄무늬가 없는 평평한 수개의 국소패턴(13)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10)의 중간 부분에 평평하지 않고 불규칙한 골이 형성되어지면, 이 골 부분에 빛이 비춰지면 골과 골 사이로 빛이 유입되고, 이에 따라 미려한 외관과 목재형상이 그대로 노출되어 목재 느낌과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11a,11b: 무늬부
12: 줄무늬부
13: 국소패턴

Claims (9)

  1. 광택도가 뛰어난 ABS 시트와 데코시트를 140℃~150℃의 온도로 50분 동안 가열하되, 최초 압력 50㎏/㎠에서 시작하여 최종 압력 100㎏/㎠이 되도록 압력을 높이면서 압착시킨 후, 40분~45분 동안 수냉을 거쳐 시트를 제조하고, 그 시트를 360℃의 분위기로 가열 연화시킨 후 수치제어장치인 NC로 각인 또는 조각된 물결 모양을 갖는 문짝 무늬 금형에 흡착시켜 목재 형태의 줄무늬를 형성시키는 진공 성형을 거쳐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의 제조방법.
  2. 200℃~220℃의 온도에서 압출되는 ABS 수지를 데코시트와 압착시킨 후 냉각을 거쳐 360℃의 분위기로 가열 연화시키고, 수치제어장치인 NC로 각인 또는 조각된 물결 모양을 갖는 문짝 무늬 금형에 흡착시켜 목재 형태의 줄무늬를 형성시키는 진공 성형을 거쳐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데코 시트는 올레핀 계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의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염화비닐시트를 결합한 고광택 시트가 데코시트에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의 제조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패널 표면에 기포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형을 70~80℃에서 1~3시간 예비 건조한 후 진공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20024983A 2012-03-12 2012-03-12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91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983A KR101191681B1 (ko) 2012-03-12 2012-03-12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983A KR101191681B1 (ko) 2012-03-12 2012-03-12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681B1 true KR101191681B1 (ko) 2012-10-17

Family

ID=47288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983A KR101191681B1 (ko) 2012-03-12 2012-03-12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453B1 (ko) * 2013-04-10 2014-08-05 주식회사 한샘 엠보싱이 형성된 장식패널의 제조방법
KR101497028B1 (ko) * 2013-05-14 2015-03-04 이상철 Abs도어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abs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453B1 (ko) * 2013-04-10 2014-08-05 주식회사 한샘 엠보싱이 형성된 장식패널의 제조방법
KR101497028B1 (ko) * 2013-05-14 2015-03-04 이상철 Abs도어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abs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9091B1 (ko) 인쇄와 엠보무늬가 일치하는 장척 바닥 장식재의 구성 및그 제조방법
TR201900977T4 (tr) Hizalı kabartmalı, direkt basınçlı laminat üretim prosesi.
DE50313201D1 (de)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strukturierten Dekors in einer Holzwerkstoffplatte
KR20070106697A (ko) 복합 성형가능한 장식용 라미네이트 도어 패널
KR101191681B1 (ko) 문짝용 합성수지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EP3207174B1 (en) Dimensional enhancement of artificial leather polyurethane composite material
US3361610A (en) Method of forming shaped laminates
KR20170107773A (ko) 입체 패턴을 구비한 장식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식시트
KR101121679B1 (ko) 입체문양을 형성한 고광택판넬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와 입체문양을 형성한 고광택판넬
JPH06114933A (ja) 化粧材の製造方法
JP2008538334A (ja) カラー印刷された車両用内張り
KR20100030927A (ko) 입체패턴을 갖는 인테리어판넬 제조방법과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테리어판넬
TWI686282B (zh) 淺層及深層圖案相疊之熱塑性聚胺酯面料的表面處理方法
JPS6227990B2 (ko)
TWI268985B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ncave-trench three-dimensional humidity-proof wood door
KR101268349B1 (ko) 판재의 문양형성방법
JP5772154B2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形品
JPH04325249A (ja) 化粧材の製造方法
KR101199465B1 (ko) 우수한 외관 및 입체효과를 갖는 표면재 시트 제조방법
KR20110010940A (ko) 인테리어자재의 표면가공방법 및 장치와 그 인테리어자재
KR20040102542A (ko) 동조인쇄층을 함유하는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313686A (zh) 具有立体纹路的复合材及其制造方法
KR20210089807A (ko) 블록 코폴리머 소재의 입체 디자인이 반영된 데코시트 제조방법
JPS6394824A (ja) 凹凸表面を有する装飾製品の製造方法
JPH07285139A (ja) 内部に凹凸模様を有する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