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336Y1 - 낚시줄 보관 케이스 - Google Patents

낚시줄 보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336Y1
KR200249336Y1 KR2020010018032U KR20010018032U KR200249336Y1 KR 200249336 Y1 KR200249336 Y1 KR 200249336Y1 KR 2020010018032 U KR2020010018032 U KR 2020010018032U KR 20010018032 U KR20010018032 U KR 20010018032U KR 200249336 Y1 KR200249336 Y1 KR 2002493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t body
fishing line
fishing
storage space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운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나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나라
Priority to KR2020010018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3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3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33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줄 보관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보관 케이스는 낚시대에 매달려 있는 낚시줄을 인입할 수 있도록 트인 수납공간을 갖는 제 1분할몸체와; 제 1분할몸체의 수납공간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제 1분할몸체에 힌지결합되는 제 2분할몸체와; 제 1분할몸체의 수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낚시줄 권취부와, 낚시줄 권취부로부터 제 1분할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된 권취릴과; 제 2분할몸체를 제 1분할몸체에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낚시대에 고정된 낚시줄과 낚시바늘을 쉽고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된 낚시줄과 낚시바늘을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낚시줄 보관 케이스{FISHLINE CASE}
본 고안은 낚시줄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대에 고정된 낚시줄과 낚시바늘을 쉽고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고, 보관된 낚시줄과 낚시바늘을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낚시줄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대는 접은 상태에서 보관용 케이스 내에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낚시대에 고정된 낚시줄은 보관용 케이스의 내측 또는 외측에 마련된 걸이구에 감아 보관하게 되며, 낚시줄에 매달린 낚시바늘은 비닐 또는 합성수지의 케이스에 꽂아 보관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낚시줄 보관 방법은, 낚시를 할 때마다 매번 보관용 케이스의 걸이구에 낚시줄을 감고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낚시를 하고자 케이스에 꽂아진 낚시바늘을 떼어낼 경우에, 자칫 사용자의 손가락이 낚시바늘에 찔리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걸이구로부터 낚시줄이 풀려져 서로 엉키거나 꼬이고, 심지어는 끊어지는 문제까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낚시줄과 낚시바늘을 쉽고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고, 보관된 낚시줄과 낚시바늘을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낚시줄 보관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 보관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의 'A'방향에서 바라 본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Ⅰ-Ⅰ선 단면도 및 작동도,
도 4는 도 2의 Ⅱ-Ⅱ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 20: 제 1분할몸체
22: 수납공간 30: 제 2분할몸체
40: 고정클립 50: 권취릴
52: 낚시줄 권취부 54: 손잡이부
55: 수용공간 56: 고정홀더
57: 걸이돌기 60: 배터리
62: 온,오프스위치 64: 전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낚시대에 매달려 있는 낚시줄을 인입할 수 있도록 트인 수납공간을 갖는 제 1분할몸체와; 상기 제 1분할몸체의 수납공간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분할몸체에 힌지결합되는 제 2분할몸체와; 상기 제 1분할몸체의 수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낚시줄 권취부와, 상기 낚시줄 권취부로부터 상기 제 1분할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된 권취릴과; 상기 제 2분할몸체를 상기 제 1분할몸체에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 보관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b를 참고로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 보관 케이스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낚시줄 보관 케이스는 몸체(10)를 갖는다. 몸체(10)는 수납공간(22)을 갖는 제 1분할몸체(20)와, 제 1분할몸체(20)의 수납공간(22)을 개방시키거나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제 1분할몸체(20)에 힌지결합되는 제 2분할몸체(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1분할몸체(20)에 대해 제 2분할몸체(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제 1분할몸체(20)에는 힌지편(24)이 형성되어 있고, 제 2분할몸체(30)에는 힌지편(24)과 겹쳐지는 힌지돌기(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는 힌지편(24)들과 힌지돌기(32)에는 힌지축(34)이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2분할몸체(30)는 제 1분할몸체(20)에 대해 힌지축(3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이며, 따라서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분할몸체(20)의 수납공간(22)은 폐쇄되거나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1분할몸체(20)의 수납공간(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10)에 형성되어 있는 입구(12)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데, 몸체(10)의 입구 (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분할몸체(20)와 제 2분할몸체(30) 각각에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는 절취홈(12a, 12b)에 의해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몸체(10)에는 제 1분할몸체(20)와 제 2분할몸체(30)를 서로 록킹시켜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수단이 제공된다. 이 록킹수단은 제 1분할몸체(2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후크(26)와, 이 후크(26)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분할몸체 (30)에 형성되는 결합홈(36)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결합되는 후크(26)와 결합홈 (36)은 제 1분할몸체(20)와 제 2분할몸체(30)을 록킹시겨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킨 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몸체(10)의 제 2분할몸체(30)에는 고정클립(40)이 설치된다. 이 고정클립(40)은 제 2분할몸체(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제 2분할몸체(30)에는 한쌍의 힌지브라켓(38)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고정클립(40)에는 힌지브라켓(38)들과 정렬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42)이 마주보고 형성되어 있으며, 정렬된 고정클립(40)의 힌지브라켓(38)과 지지브라켓(42)에는 힌지핀(44)이 관통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고정클립(40)은 제 2분할몸체(3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힌지브라켓(28)과 지지브라켓(42)에 힌지핀(44)을 조립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핀 (44)에는 토션스프링(46)이 개재되는데, 이 토션스프링(46)은 일단과 타단이 제2분할몸체 (30)와 고정클립 (40)에 각각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고정클립(40)을 제2분할몸체 (3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회전시킨다. 여기서, 고정클 립(40)에는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압편(4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압편 (40a)을 누름에 따라 상기 고정클립(40)은 제2분할몸체 (30)으로부터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러한 고정클립(4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를 낚시대(R)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고정클립(40)의 가압편(40a)을 눌러 고정클립(40)을 몸체(10)로부터 벌린 다음, 벌어진 고정클립(40)과 몸체(10) 사이에 낚시대(R)를 배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몸체(10)는 낚시대(R)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 2분할몸체(30)와 고정클립(40)에는 안착홈(39, 48)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 안착홈(39, 48)에는 원형의 낚시대(R) 양측이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10)를 낚시대(R)에 견고하게 시킨다.
다시 도 1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보관 케이스는 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릴(50)을 구비한다. 권취릴(50)은 낚시줄 권취부(52)와, 낚시줄 권취부(52)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54)로 구성된다. 낚시줄 권취부(52)는 낚시줄이 감겨지도록 구성되며, 손잡이부(54)는 낚시줄 권취부(5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권취릴(50)은 제 1분할몸체(20)에 형성된 작동구멍(20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권취릴(50)의 낚시줄 권취부(52)가 수납공간 (22)에 배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제 1분할몸체(20)로부터 권취릴(50)이 이탈되지 않도록 권취릴(50)의 둘레에는 작동구멍(20a)의 내주면이 끼워지는 홈(5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권취릴(50)은 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권취릴(50)의 손잡이부(54)를 통하여 낚시줄 권취부(52)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권취릴(50)의 손잡이부(54)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끝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54a)이 중심으로부터 치우치게 형성되는데, 이 수용홈(54a)에 손가락을 수용시켜 권취릴(50)을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낚시줄 권취부(52)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의 권취릴(5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록킹수단을 해제하여 수납공간(22)을 개방시킴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따라 낚시줄 권취부(52)에 낚시대의 낚시줄을 감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권취릴(50)에는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트인 수용공간(5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공간(55)에는 낚시줄(L)의 끝부분에 매달린 추(W)와 한쌍의 낚시바늘(H)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수용공간(55)에는 추(W)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홀더(56)가 형성되어 있으며, 낚시바늘(H)을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한쌍의 걸이돌기(57)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추(W)와 낚시바늘(H)과 낚시줄(L)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바, 권취릴(50)의 낚시줄 권취부(52)에는 추(W)와 낚시바늘(H)을 수용공간(55)에 수용시킨 후, 이에 연결된 낚시줄(L)을 권취릴(50)의 낚시줄 권취부(52)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절개홈(52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추(W)와 낚시바늘(H)을 권취릴(50)의 수용공간(55)에수용시킨 다음, 절개홈(52a)을 통하여 낚시줄(L)을 낚시줄 권취부(52)로 인출한다. 그리고 인출된 낚시줄(L)이 몸체(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낚시줄(L)을 몸체(10)의 입구(12)에 배치시키고, 힌지축(34)을 중심으로 제 1분할몸체(20)와 제 2분할몸체(30)를 결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권취릴(50)의 손잡이부(54)를 통하여 낚시줄 권취부(52)를 회전시켜 낚시줄(L)을 감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낚시줄 보관 케이스는 조명수단을 갖추고 있다. 이 조명수단은 도 1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릴(50)의 수용공간(55)에 배치되는 배터리(60)와, 배터리(60)의 전원을 단속하는 온/오프스위치(62) 그리고 공급되는 배터리(60)의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전구(6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권취릴(50)의 수용공간(55)에는 배터리(60)를 수납할 수 있는 배터리 수납홈(58)과, 배터리(60)의 전원을 인출하도록 수납홈(58)의 양측에 설치되는 단자(59)를 구비함은 물론이다. 특히, 전구(64)는 권취릴(50)의 손잡이부(54)에 형성된 설치구멍(54b)에 배치되는데, 설치구멍(54b)에는 전구(64)를 보호하기 위한 캡(54c)에 나사결합된다. 물론, 캡(54c)에는 전구(64)의 빛을 전방으로 조사하도록 투명창(54d)이 설치된다. 이러한 조명수단은 빛을 조명함으로써 야간 낚시를 할 때, 낚시줄의 권취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 보관 케이스의 사용방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제 1분할몸체(20)와 제 2분할몸체(30)를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몸체(10)의 수납공간(22)을 개방시킨다. 이때, 제 1분할몸체(20)와 제 2분할몸체(30)에 형성된 절취홈(12a, 12b)을 이용하여 제 1분할몸체(20)와 제 2분할몸체(30)을 잡아당기면, 몸체(10)의 록킹수단은 자연스럽게 해제될 것이다.
한편, 몸체(10)의 수납공간(22)이 개방됨에 따라 권취릴(50)의 낚시줄 권취부(52)도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추(W)와 낚시바늘(H)을 권취릴 (50)의 수용공간(55)에 수용시키고, 이어서 절개홈(52a)을 통하여 낚시줄(L)을 낚시줄 권취부(52)로 인출한다. 그리고 인출된 낚시줄(L)이 몸체(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낚시줄(L)을 몸체(10)의 입구(12)에 배치시킨 다음, 힌지축(34)을 중심으로 제 1분할몸체(20)와 제 2분할몸체(3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권취릴(50)의 손잡이부(54)를 통하여 낚시줄 권취부(52)를 회전시켜 낚시줄(L)을 감는다.
그리고 낚시대(R)의 낚시줄(L)의 완전히 감겨지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40)의 가압편(40a)을 눌러 고정클립(40)을 몸체(10)로부터 벌린 다음, 벌어진 고정클립(40)과 몸체(10) 사이에 낚시대(R)를 배치시키고, 이어서 가압편 (40a)을 해제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고안의 낚시줄 보관 케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대(R)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한편, 낚시줄(L)을 풀고자 할 경우에는, 상술한 바의 반대로 조작하면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낚시줄(L)을 인입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22)을 갖는 제 1분할몸체(20)와, 수납공간(22)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제 1분할몸체(20)에 힌지결합되는 제 2분할몸체(30)와, 수납공간(2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낚시줄 권취부(52)와, 낚시줄 권취부(5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 1분할몸체(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54)로 구성된 권취릴(50)를 구비함으로써 낚시대(R)에 고정된 낚시줄(L)과 낚시바늘(H)을 쉽고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된 낚시줄(L)과 낚시바늘(H)을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 보관 케이스는 수납공간을 갖는 제 1분할몸체와, 제 1분할몸체에 힌지결합되는 제 2분할몸체와, 수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낚시줄 권취부 및 낚시줄 권취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로 구성된 권취릴를 구비함으로써 낚시대에 고정된 낚시줄과 낚시바늘을 쉽고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된 낚시줄과 낚시바늘을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낚시대에 매달려 있는 낚시줄을 인입할 수 있도록 트인 수납공간을 갖는 제 1분할몸체와;
    상기 제 1분할몸체의 수납공간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분할몸체에 힌지결합되는 제 2분할몸체와;
    상기 제 1분할몸체의 수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낚시줄 권취부와, 상기 낚시줄 권취부로부터 상기 제 1분할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된 권취릴과;
    상기 제 2분할몸체를 상기 제 1분할몸체에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보관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분할몸체와 제 2분할몸체를 낚시대에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분할몸체에 조립되는 고정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보관 케이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릴에 설치되는 조명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보관 케이스.
KR2020010018032U 2001-06-16 2001-06-16 낚시줄 보관 케이스 KR2002493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032U KR200249336Y1 (ko) 2001-06-16 2001-06-16 낚시줄 보관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032U KR200249336Y1 (ko) 2001-06-16 2001-06-16 낚시줄 보관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336Y1 true KR200249336Y1 (ko) 2001-11-16

Family

ID=73066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032U KR200249336Y1 (ko) 2001-06-16 2001-06-16 낚시줄 보관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3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52196A (ja) ベイトキャストリールのカバーロック装置
KR101001510B1 (ko) 분리형 이어폰 와이어 권취롤
CA2536983A1 (en) Wire-winding device for earphones, especially hands free kits for mobile phones
KR200249336Y1 (ko) 낚시줄 보관 케이스
KR101492200B1 (ko)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CN105177883A (zh) 一种便于穿针结构及其工作方法
KR20070012584A (ko) 줄 권취장치
KR100394416B1 (ko) 낚싯줄 집합체의 릴 기구
KR20030051139A (ko) 휴대용 국기대
KR101042337B1 (ko) 화장품 용기
KR20120072114A (ko) 낚시 장비 수납 케이스
KR200235287Y1 (ko) 국기게양봉
JP2510384Y2 (ja) 身体等への支持体付き鋏
KR200497678Y1 (ko) 권취기능을 갖는 장식용 줄조명 장치
KR101564631B1 (ko) 전선 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전선 풀림 방지 장치
JP4301655B2 (ja)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ー
JP4338287B2 (ja) ピンオンリール
JP2000300138A (ja) 釣り針用カバー
KR200370588Y1 (ko) 낚시바늘용 발침기
KR100326036B1 (ko) 휴대용 의류 수납함
KR900011008Y1 (ko) 실패
KR200186729Y1 (ko) 낚시줄 결속기
KR900007622Y1 (ko) 키이 홀더
KR940007361Y1 (ko) 당김줄의 길이조정 및 고정이 가능한 열쇠홀더
KR20110063085A (ko) 악세사리용 권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