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287Y1 - 국기게양봉 - Google Patents

국기게양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287Y1
KR200235287Y1 KR2020010008269U KR20010008269U KR200235287Y1 KR 200235287 Y1 KR200235287 Y1 KR 200235287Y1 KR 2020010008269 U KR2020010008269 U KR 2020010008269U KR 20010008269 U KR20010008269 U KR 20010008269U KR 200235287 Y1 KR200235287 Y1 KR 2002352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
flagpole
inner pipe
ferrule
ho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성학
Original Assignee
태성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학 filed Critical 태성학
Priority to KR2020010008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2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2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287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에 가정에서 국기를 게양할때는 별도로 분리된 국기와 국기봉을 찾아서 국기의 고정끈 상,하를 묶어 고정을 하였다가 보관시에는 다시 풀어주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국기를 보관함에 넣어 소중히 보관하지않고 방치하는 경우에는 훼손되고 더러워져서 게양시 외관상 좋지 않는 등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깃대와 내부 파이프의 대향 동일위치에 절개부를 각각 형성하여 일측에 바이어스 봉재부가 있는 국기를 끼워넣어 깃봉의 내환돌부가 내부 파이프 상단에 고정되게 착설하여 국기를 게양할때는 일부분 노출된 국기를 잡아 당겨주고 보관시에는 깃봉을 역회전 조작하여 고정된 내부 파이프를 되감기 하므로써 국기를 깃대 내부 파이프에 감겨지게하여 더러워지거나 훼손됨이 없이 보관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임.

Description

국기게양봉{ the national flag hoist the flagpole }
본 고안은 국기게양봉에 관한 것으로 깃대 내에 국기가 착설된 내부 파이프를 별개로 내입하여 깃봉의 정,역 회전으로 일부 노출된 국기를 당겨 편리하게 펼처 게양하고 보관시에는 감아넣어 훼손됨이 없게한 것이다.
종래에 가정에서 국기를 게양할때는 별도로 분리된 국기와 국기봉을 찾아서 국기의 고정끈 상,하를 묶어 고정을 하였다가 보관시에는 다시 풀어주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국기를 보관함에 넣어 소중히 보관하지않고 방치하는 경우에는 훼손되고 더러워져서 게양시 외관상 좋지 않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깃대와 내부 파이프의 대향 동일위치에 절개부를 각각 형성하여 일측에 바이어스 봉재부가 있는 국기를 끼워넣어 깃봉의 내환돌부가 내부 파이프 상단에 고정되게 착설하여 국기를 게양할때는 일부분 노출된 국기를 잡아 당겨주고 보관시에는 깃봉을 역회전 조작하여 고정된 내부 파이프를 되감기 하므로써 국기를 깃대 내부 파이프에 감겨지게하여 더러워지거나 훼손됨이 없이 보관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횡단면도로써
a 는 국기가 풀린상태
b 는 국기가 감긴상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깃대 2; 깃봉 3; 국기 4,6; 절개부 5; 내부 파이프
7; 바이어스 봉재부 8; 내환돌부 9; 덮개
깃대(1)의 상단에 깃봉(2)을 끼우고 국기(3)를 고정함에 있어서 깃대(1)의 상측으로 형성된 절개부(4)와 내부 파이프(5)의 동일위치에 형성된 절개부(6)를 대향시켜 국기(3)의 일측 바이어스 봉재부(7)를 끼워넣어 절개부(6)에 걸리게 하되 내부 파이프(5) 상단부는 깃봉(2)의 내환돌부(8)를 삽입하여 회전되게 하고 하측은 덮개(9)를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미 설명 부호 10 은 걸고리 를 표시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국기(3)의 일측 바이어스 봉재부(7)를 깃대(1)의 내부 파이프(5)의 내경 절개부(6)에 걸리도록 하고 국기(3)를 감아 타측이 깃대(1)의 절개부(4)에 끼워져 일부분이 노출되게 한 상태에서 국기(3)를 게양할때는 절개부 (4)에 노출된 국기(3)를 잡아 천천히 당기면 내부 파이프(5)에 감겨진 국기(3)가 깃대(1)의 절개부(4)를 통해 빠져나오는 과정에 깃봉(2)의 내환돌부(8)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깃봉(2)을 회전 시킬때에 덮개(9)는 내부 파이프(5)가 원활히 회전하도록 지지해 주는 작용을 하며 절개부(6)에 국기(3)의 바이어스 봉재부(7)가 걸려 빠지지않으면 펼쳐진 것이므로 게양을 하면 되고, 국기(3)를 철거하여 되감아 보관시에는 깃봉(2)을 잡고 역회전 시켜주면 내환돌부(8)는 내부 파이프(5)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므로 국기(3)는 깃대(1)의 절개부(6)를 통해 내부 파이프(5)에 감기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국기(3)를 게양할때나 철거시에 간7편한 조작으로 단시간에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여 깃대(1)의 내부 파이프(5)에 국기(3)를 감아 더럽혀 지거나 훼손됨이 없이 깨끗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깃대(1)의 상단에 깃봉(2)을 끼우고 국기(3)를 고정함에 있어서 깃대(1)의 상측으로 형성된 절개부(4)와 내부 파이프(5)의 동일위치에 형성된 절개부(6)를 대향시켜 국기(3)의 일측 바이어스 봉재부(7)를 끼워넣어 절개부(6)에 걸리게 하되 내부 파이프(5) 상단부는 깃봉(2)의 내환돌부(8)를 삽입하여 회전되게 하고 하측은 덮개(9)를 고정하여서 된 국기게양봉.
KR2020010008269U 2001-03-26 2001-03-26 국기게양봉 KR2002352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269U KR200235287Y1 (ko) 2001-03-26 2001-03-26 국기게양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269U KR200235287Y1 (ko) 2001-03-26 2001-03-26 국기게양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287Y1 true KR200235287Y1 (ko) 2001-10-10

Family

ID=73064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269U KR200235287Y1 (ko) 2001-03-26 2001-03-26 국기게양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2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3876A (en) Lure container
KR100655752B1 (ko) 스풀
KR200235287Y1 (ko) 국기게양봉
KR200287356Y1 (ko) 깃발이 수용된 깃대
KR100394416B1 (ko) 낚싯줄 집합체의 릴 기구
DE60300028D1 (de) Rotor für Angelwinde
KR200249336Y1 (ko) 낚시줄 보관 케이스
KR19990017649U (ko) 깃대
JP2002171888A (ja) ロッドケース
JPH0629970Y2 (ja) 両軸受リール
KR200265270Y1 (ko) 베이트 케스팅 릴의 커버 착탈장치
JP3054072U (ja) 釣り竿収納ケース
JPH0345587Y2 (ko)
KR200403043Y1 (ko) 권취 선재의 인출이 용이한 보관케이스
KR100334759B1 (ko) 낚시용 릴
JP2001187674A (ja) 巻き取り器
KR200189434Y1 (ko) 낚시용 릴
KR910005483Y1 (ko) 가정용 국기 보관함
KR100462098B1 (ko) 태엽장치를 갖춘 민물낚싯대용 릴
JP2000000392A (ja) ハンガー等の吊り下げ用リール装置
JPH0421502Y2 (ko)
JP2782617B2 (ja) 振出式中通し釣竿用上栓
JP3448330B2 (ja) 仕掛け用糸巻
JPH0233678Y2 (ko)
KR200194995Y1 (ko) 포켓용 절첩식 낚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