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515Y1 - 형광등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형광등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515Y1
KR200248515Y1 KR2020010019060U KR20010019060U KR200248515Y1 KR 200248515 Y1 KR200248515 Y1 KR 200248515Y1 KR 2020010019060 U KR2020010019060 U KR 2020010019060U KR 20010019060 U KR20010019060 U KR 20010019060U KR 200248515 Y1 KR200248515 Y1 KR 2002485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luorescent lamp
screw member
assembly
sha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0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기
이재우
Original Assignee
박병기
이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기, 이재우 filed Critical 박병기
Priority to KR20200100190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5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5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515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 쌍의 천정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소정 이격된 하측에 형광등이 장착된 반사갓조립체를 지지시키는 지지브래킷을 갖는 형광등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형광등 현가장치는, 반사갓조립체를 관통하여 지지브래킷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는 나사부, 및 나사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드라이버홈이 형성된 헤드부를 갖는 스크류부재; 및 반사갓조립체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스크류부재의 헤드부가 스크류부재의 축선방향을 따라 반사갓조립체의 판면에 대하여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측으로부터 스크류부재의 축선방향을 따라 헤드부의 드라이버홈에 접근을 허용하는 헤드부유지부를 갖는 스크류유지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비용절감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형광등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 for Fluorescent Lamp}
본 고안은 형광등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형광등 현가장치는, 본 고안의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되어 등록된 한국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0221527호(명칭: 형광등 현가장치)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광등 현가장치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특징과 관련 있는 형광등 현가장치와 천정프레임의 상호 결합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형광등 현가장치를 고정시키는 천정프레임은, 건축물의 시공시 실내의 천정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시공자의 선택에 따라 천정프레임의 형상이나 크기가 천차만별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천차만별의 천정프레임에 반사갓조립체를 현가지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형광등 현가장치(101)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결합나사(123) 및 너트(121), 그리고, 탄성스프링(111)를 구비한다.
결합나사(111)는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된 나사부(125)를 가지며, 너트(21)는 이 나사부(125)의 축선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결합된다. 즉, 형광등 현가장치(101)에 반사갓조립체(3)를 현가지지시키기 위해, 결합나사(123)와 너트(121)는, 형광등 현가장치(101)를 천정프레임(5)에 고정시키기 전의 1차 결합과, 천정프레임(5)에 고정된 후의 2차 결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1차결합에서는, 형광등 현가장치(101)의 지지브래킷(130)과 반사갓조립체(3)의 관통공(102, 103)에 결합나사(123)를 일체로 끼운 상태에서, 결합나사(123)의 나사부(125)의 단부영역에 너트(121)를 예비적으로 체결시킨다. 이 때의 체결은, 반사갓조립체(3)의 하중에 의하여 너트(121)와 결합나사(123)의 체결이 해제되지 않을 정도로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지지브래킷(130)과 반사갓조립체(3)의 이격거리가 최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합나사(123)의 축선방향을 따라 형광등 현가장치(101)와 반사갓조립체(3)의 상대적인 유동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형광등 현가장치(101)와 반사갓조립체(3) 사이에 탄성스프링(111)을 개재시킨다.
한편, 반사갓조립체(3)가 1차적으로 결합된 형광등 현가장치(101)는, 한 쌍의 천정프레임(5) 사이에 개재시켜 상향 가압한다. 이 때, 형광등 현가장치(101)와 반사갓조립체(3)가 소정의 이격거리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비록 천정프레임(5)의 상하방향 길이가 다소 긴 경우라 하더라도, 반사갓조립체(3)는 천정프레임(5)과의 상호 저촉없이 용이하게 현가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형광등 현가장치(101)가 고정되면, 너트(121)를 조여 반사갓조립체(3)의 바닥면이 지지브래킷(130)에 밀착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천정프레임(5)의 상하방향 길이가 길 경우에는, 반사갓조립체(3)의 바닥면이 천정프레임(5)의 하부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너트(121)를 조인다. 그러면, 반사갓조립체(3)를 안정되고 견고하게 현가지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형광등 현가장치(101)에서는, 지지프레임(130)과 반사갓조립체(3)의 결합을 위하여, 비교적 많은 수의 부품 즉, 결합나사(123)와 너트(121), 그리고, 탄성스프링(111)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작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1차결합시, 결합나사(123)의 축선방향을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반사갓조립체(3)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재질의 탄성스프링(111)을 필연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는데, 이의 제작이나 구입에 따른 추가의 비용상승은 전체적으로, 제품의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종래의 형광등 현가장치(101)에서는 또한, 다수의 체결부품들이 상대적으로 그 제품자체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고, 이와 같은 복잡한 구성에 의해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형광등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광등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광등 현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형광등 현가장치가 반사갓조립체를 현가지지하기 위해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6은 종래의 형광등 현가장치가 반사갓조립체를 현가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형광등 현가장치 3 : 반사갓조립체
5 : 천정프레임 7 : 형광등
10 : 지지브래킷 17 : 슬라이딩안내부
30 : 브래킷지지부재 35 : 안내경사부
43 : 파지손잡이 48 : 연장리브
50 : 가압스프링 51 : 스크류유지부재
52 : 헤드부유지후크 56 : 고정후크
61 : 스크류부재 63 : 헤드부
66 : 나사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한 쌍의 천정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소정 이격된 하측에 형광등이 장착된 반사갓조립체를 지지시키는 지지브래킷을 갖는 형광등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사갓조립체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브래킷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드라이버홈이 형성된 헤드부를 갖는 스크류부재; 및 상기 반사갓조립체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스크류부재의 헤드부가 상기 스크류부재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반사갓조립체의 판면에 대하여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측으로부터 상기 스크류부재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헤드부의 드라이버홈에 접근을 허용하는 헤드부유지부를 갖는 스크류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현가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유지부재는, 상기 스크류부재를 관통시키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스크류부재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외향 돌출되어 상기 반사갓조립체의 판면과 맞물리는 고정후크;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스크류부재의 관통방향에 가로로 내향 돌출되어 상기 스크류부재의 헤드부와 맞물리는 유지후크를 포함하여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후크 및 상기 유지후크중 적어도 어느 일측은 상기 본체부의 원주방향향을 따라 등각도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광등 현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형광등 현가장치(1)는, 형광등(도3의 7)이 설치된 반사갓조립체(도3의 3)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브래킷(10), 지지브래킷(10)의 양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천정프레임(도3의 5)에 걸림유지됨으로써 지지브래킷(10)이 결합된 반사갓조립체(3)를 현가지지하는 한 쌍의 브래킷지지부재(30), 및 양 브래킷지지부재(30)를 탄성적으로 외향 가압하는 가압스프링(50)을 갖는다. 여기에, 반사갓조립체(3)를 지지브래킷(10)의 하부에 결합유지하는 스크류부재(61) 및 스크류유지부재(51)를 포함한다.
지지브래킷(10)은 상판부(11), 상판부(11)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된 양 측벽부(13), 및 양측벽부(13)의 하단부로부터 상판부(11)와 평행하게 내향 절곡된 한 쌍의 하측지지부(15)로 구성된다. 이들 상판부(11), 양측 측벽부(13), 및 한 쌍의 하측지지부(15)는 단일판재를 이중 절곡하여 형성가능하며, 이들 사이의 내부 공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슬라이딩안내부(17)이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하측지지부(15) 사이에는 안내홈(19)이 마련된다.
슬라이딩안내부(17)의 양측 단부영역에는 각각 외향 개구된 출입구(18)가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딩안내부(17)의 양측 단부에는, 또한, 양측벽부(13)로부터 각각 하향 연장되어 상호 대향하는 두 쌍의 연장리브(4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안내부(17)내에는 한 쌍의 브래킷지지부재(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각 브래킷지지부재(30)는 양측방을 향해 개구된 출입구(18)를 통해 인출철회가능하다. 그리고, 양측의 연장리브(48)는 각각,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천정프레임(5)에 대응하게 된다.
상판부(11)의 중앙영역에는 반사갓조립체(3)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체결공(12)의 양측 판면에는 각각 가압스프링(50)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한 쌍의 스프링지지편(27)이 마련되어 있다. 이 스프링지지편(27)은 상판부(11)로부터 절취후 절곡시켜 형성가능하다. 그리고, 한 쌍의 하측지지부(15)의 양측 단부영역에는 후술할 브래킷지지부재(30)의 스토퍼(45)가 걸리는 스토퍼걸림홈(25)이 절취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링지지편(27) 및 스토퍼(45)는 지지브래킷(10)의 절곡작업전에 프레스성형으로 간단히 형성가능하다.
한편, 한 쌍의 브래킷지지부재(30)는 각각 지지브래킷(10)의 슬라이딩안내부(17)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31), 슬라이더(31)의 차폐단부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반사갓프레임(5)을 파지하는 파지손잡이(43), 및 슬라이더(31)의 노출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안내경사부(35)를 구비한다.
슬라이더(31)는 거의 U자 단면을 가지며, 저면 중앙영역에 절취후 상향 절곡된 스프링걸림편(47)이 형성되어 있다. 저면에는 또한, 스프링걸림편(47)을 사이에 두고 양측영역에 상호 대향하게 상향 돌출된 한 쌍의 스토퍼(45)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걸림편(47)에는 스프링지지편(27)에 일단부가 끼워진 가압스프링(50)의 타단부가 끼워진다. 스토퍼(45)는, 지지브래킷(10)의 스토퍼걸림홈(25)과 맞물리며, 이에 의해, 가압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출입구(18)을 통해 인출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31)의 이탈이 제한된다. 이와 같은 스토퍼(45)의 작용으로, 슬라이더(31)의 일부구간은 지지브래킷(10)의 슬라이딩안내부(17)내에 수용되고, 나머지구간은 지지브래킷(1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노출된다.
파지손잡이(43)는, 수용단부에는 지지브래킷(1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안내홈(19)을 통해 하향 연장되어 노출된다. 이 파지손잡이(43)는 반사갓조립체(3)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안내공(도3의 4)을 통해 반사갓조립체(3)의 하부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안내경사부(35)는 슬라이더(31)의 노출단부로부터 지지브래킷(10) 측을 향해 상향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 안내경사부(35)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천정프레임(5)이 대응하여 가압력을 작용한다.
여기서, 브래킷지지부재(30)는 단일판재를 프레스작업하여, 스프링걸림편(47), 스토퍼(45), 파지손잡이(43), 및 안내경사부(35)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31)를 U자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절곡함으로써, 간단히 제공가능하다.
한편, 스크류부재(61)는, 헤드부(63) 및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된 축부(65)를 가진다. 헤드부(63)에는 드라아버홈(도시않음)이 마련되어 있고,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리브(64)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65)의 단부영역에는 나사부(66)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류부재(61)는 반사갓조립체(3)의 하측으로부터 반사갓조립체(3)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지지브래킷(10)의 안내홈(19)을 통해 체결공(12)에 결합된다.
그리고, 스크류유지부재(51)는, 본체부(54), 반사갓조립체(3)에 결합되는 고정부(56), 및 스크류부재(61)의 헤드부(63)를 고정유지하는 헤드부유지부(52)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54)는 단반경의 내륜부(55)와 장반경의 외륜부(53), 및 이들 내륜부(55)와 외륜부(53)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방사방향 아암(57)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륜부(55)는 반사갓조립체(3)에 형성된 체결공(2)에 수용될 정도의 반경을 가진다. 외륜부(53)는 스크류부재(61)의 헤드부(63)를 수용할 정도의 반경을 가진다.
이들 내륜부(55)와 외륜부(53)는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거의 원통상을 이룬다. 내륜부(55)의 일측 단부는 외륜부(53)의 대응하는 일측 단부에 대하여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내륜부(55)의 타측 단부는 외륜부(53)의 대응하는타측 단부에 대하여 내측으로 함몰되어, 내륜부(55)와 외륜부(53)의 상호 대응연부는 단차를 이루고 있다. 내륜부(55)의 노출단부에 고정부(56)가 마련되고, 외륜부(53)의 타측단부에 헤드부유지부(52)가 마련된다.
고정부(56)는, 내륜부(55)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마련되는 고정후크(56)이다. 이들 고정후크(56)는 축선방향에 대하여 외측방으로 돌출된 후크부를 가진다. 고정후크(56)와 외륜부(53) 사이에 지지브래킷(10)에 형성된 체결공(12)의 연부가 수용되어 걸림유지된다. 그리고, 헤드부유지부(52)는, 외륜부(53)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마련되는 유지후크(52)이다. 유지후크(52)는 축선방향에 대하여 내측방으로 돌출된 후크부를 가진다. 유지후크(52)와 내륜부(55) 사이에 스크류부재(61)의 헤드부(63)가 수용되며, 이 때, 유지후크(52)는 스크류부재(61)의 축선방향으로의 외향 이탈을 저지한다. 스크류부재(61)의 헤드부(63)에 형성된 드라이버홈은 헤드부유지부(52)를 통해 외향 노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드라이버홈에 접근가능하다.
여기서, 스크류유지부재(51) 즉, 본체부(54), 및 고정부(56)와 헤드부유지부(52)는 일체로 사출성형가능하다. 이 때, 고정부(56)와 헤드부유지부(52)에 형성된 후크부는, 상호 대향하는 방향을 향해 교호적으로 형성되므로, 별도의 슬라이드코어없이 금형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금형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시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 현가장치(1)를 이용하여 반사갓조립체(3)를 천정프레임(5)에 현가지지 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반사갓조립체(3)의 바닥면에 형성된 체결공(2)에 하측으로부터 스크류유지부재(51)를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반사갓조립체(3)의 상면에 형광등 현가장치(1)를 대응시킨 후, 스크류부재(61)를 사용하여 반사갓조립체(3)의 하측으로부터 스크류유지부재(51)를 관통시켜 지지브래킷(10)의 체결공(2)에 체결시킨다. 이 때, 스크류부재(61)의 헤드부(63)가 스크류유지부재(51)의 헤드부유지부(52)에 수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스크류부재(61)의 나사부(66)중 말단영역만이 지지브래킷(10)의 체결공(12)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형광등 현가장치(1)와 반사갓조립체(3)가 최대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형광등 현가장치(1)와 반사갓조립체(3)의 결합이 완료되면, 형광등 현가장치(1)를 양 천정프레임(5) 사이에 개재시킨다. 그러면,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형광등 현가장치(1)의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브래킷지지부재(30)의 안내경사부(35)가 천정프레임(5)과 접촉하게 된다.
그런 다음, 반사갓조립체(3)를 계속해서 상향 이동시키면, 천정프레임(5)과 안내경사부(35)의 접촉에 따라 양 브래킷지지부재(30)는 각 슬라이더(31)가 지지브래킷(10)의 슬라이딩안내부(17)를 따라 상호 접근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각 가압스프링(50)은 압축된다.
한편, 천정프레임(5)이 안내경사부(35)의 하단부를 지나는 순간, 가압스프링(50)은 탄성적으로 팽창하게 되며, 이에 의해, 양 브래킷지지부재(30)는 탄성적으로 외향 돌출된다. 그래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양 브래킷지지부재(30)의 저면이 천정프레임(5)의 상단에 안착되어 하강방향으로 걸림유지된다. 이 때, 지지브래킷(10)의 양측 연장리브(48)는 대응하는 천정프레임(5)의 측면에 접면하며, 이에 의해, 양측 천정프레임(5) 사이에서 형광등 현가장치(1)가 견고하게 지지된다.
한편, 형광등 현가장치(1)가 지지되면,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크류유지부재(51)의 헤드부유지부(63)를 통해 하향 노출된 드라이버홈에 드라이버를 접근시켜 스크류부재(61)를 결합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형광등 현가장치(1)와 반사갓조립체(3)의 이격 거리가 줄어들면서, 형광등 현가장치(1)의 하부영역에 반사갓조립체(3)가 견고하게 현가지지된다.
그리고, 현가지지된 반사갓조립체(3)는, 역시, 하측으로부터 드라이버를 접근시켜 스크류부재(61)를 해제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형광등 현가장치(1)로부터 간단히 결합해제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비교적 고가의 부품을 제거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성을 가지고 반사갓조립체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제작비용이 절감된 형광등 현가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3)

  1. 한 쌍의 천정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소정 이격된 하측에 형광등이 장착된 반사갓조립체를 지지시키는 지지브래킷을 갖는 형광등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사갓조립체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브래킷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드라이버홈이 형성된 헤드부를 갖는 스크류부재; 및
    상기 반사갓조립체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스크류부재의 헤드부가 상기 스크류부재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반사갓조립체의 판면에 대하여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측으로부터 상기 스크류부재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헤드부의 드라이버홈에 접근을 허용하는 헤드부유지부를 갖는 스크류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현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유지부재는,
    상기 스크류부재를 관통시키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스크류부재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외향 돌출되어 상기 반사갓조립체의 판면과 맞물리는 고정후크;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스크류부재의 관통방향에 가로로 내향 돌출되어 상기 스크류부재의 헤드부와 맞물리는 유지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현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 및 상기 유지후크중 적어도 어느 일측은 상기 본체부의 원주방향향을 따라 등각도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현가장치.
KR2020010019060U 2001-06-25 2001-06-25 형광등 현가장치 KR2002485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060U KR200248515Y1 (ko) 2001-06-25 2001-06-25 형광등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060U KR200248515Y1 (ko) 2001-06-25 2001-06-25 형광등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515Y1 true KR200248515Y1 (ko) 2001-10-31

Family

ID=7306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060U KR200248515Y1 (ko) 2001-06-25 2001-06-25 형광등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5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795B2 (en) Hangar bar for recessed luminaires with integral nail
EP2045512B1 (en) Component holder for attachment in a panel
KR20170119550A (ko) 조명등 설치구조
US20090272957A1 (en) Connector for railing systems
US10612734B2 (en) Lighting module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5865532A (en) Ceiling light fixture with improved device for fixing the screen to the base
KR200248515Y1 (ko) 형광등 현가장치
RU215061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KR200397579Y1 (ko) 조명등 커버
US11867384B2 (en) Removable positioning of light fixtures
JP2999426B2 (ja) 天井直付型照明器具の取付け装置
JPH0711373Y2 (ja) 天井埋込み型照明器具のランプ固定装置
CA1084884A (en) Lamp harp
KR100479866B1 (ko) 형광등현가장치
JPH08282980A (ja) 上昇支持具
KR200221527Y1 (ko) 형광등 현가장치
ITMI960052U1 (it) Apparecchio illuminante del tipo ad incasso
KR200251312Y1 (ko) 천정매입형 형광등 고정장치
KR200157320Y1 (ko)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200259086Y1 (ko) 형광등현가장치
JP2512359Y2 (ja) 止 具
KR200326815Y1 (ko)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명등 커버
KR200250948Y1 (ko) 스크류위치고정부재
KR100885132B1 (ko) 조명기구 취부용 고정구
KR0121312Y1 (ko) 조명등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