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312Y1 - 조명등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조명등 결합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312Y1
KR0121312Y1 KR2019940024488U KR19940024488U KR0121312Y1 KR 0121312 Y1 KR0121312 Y1 KR 0121312Y1 KR 2019940024488 U KR2019940024488 U KR 2019940024488U KR 19940024488 U KR19940024488 U KR 19940024488U KR 0121312 Y1 KR0121312 Y1 KR 01213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ocket
ceiling
vertical surfac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4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685U (ko
Inventor
정태영
Original Assignee
정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영 filed Critical 정태영
Priority to KR2019940024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312Y1/ko
Publication of KR9600116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6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3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복도나 실내의 천정면등에 매입되어 배광을 하기 위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램프가 체결되는 소켓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배광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천정 매입홈에 본체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판체를 절곡하여 상.하부수직면을 갖는 갓머리 형상의 본체를 구비하고, 본체의 상부수직면은 소켓이 취부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다단의 엠보싱을 형성하여 결합돌기를 구비한 소켓브라켓트가 엠보싱과 결합되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하부수직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일부가 절취되어 돌설된 걸림돌조를 상,하로 돌설하여 천장매입홈에 협착되는 협착편을 삽입고정 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조명등 결합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켓 20 : 반사경
30 : 협착편 100 : 본체
110 : 상부수직면 120 : 하부수직면
130 : 소켓브라켓트 111: 엠보싱
112 : 가이드홈 121 : 걸림돌조
131 : 결합돌기 132 : 안내돌기
본 고안은 건물의 복도나 실내의 천정면등에 매입되어 배광을 하기 위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램프가 체결되는 소켓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배광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천정 매입홈에 본체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조명등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천정면에 체결되는 각종 원형의 조명기구들은 대략 천정면에 일치되게 현수되면서 그 내부에 조명등과 이에따른 안정기등의 기계적인 장치들이 구비되는 조명등 본체와, 이의 본체 하단부에 체결되고 램프를 체결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켓과, 램프의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경과 본체를 천정내부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 조명기구의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상부가 밀폐된 원통형의 본체내 상부 저면에 소켓을 나사로 고정하고 본체 내주연 하부에 톱니형의 탄성편을 3부분에 탄설하여 반사경의 외주연을 협착하도록 구성되며, 반사경과 본체 주연부 사이에는 원형의 테를 매개하여 본체를 가릴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본체 주연에는 장방향으로 대향되게 슬릿을 천공하여 탄성편을 탄설하되 고정수단을 통해 본체 내주연에서 고정시켜 매입홈에 협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성은 본체의 원통 전체면중 일부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나머지 부분은 불필요하여 재질을 낭비하게 되며, 천정 매입홈에 본체를 매입함에 있어 본체에 탄설된 체결구조가 불합리하여 분리시 매우 주의를 요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즉, 실재 원통형의 본체 외주면은 천정 매입홈과 접촉하지 않고 본체에 체결된 탄지편과 접촉할 뿐이며 따라서 실제 필요한 부분은 상기 탄지편을 고정시킬 수 있는 면적만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고, 또한 본체에 탄설된 체결구조는 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매입홈에서 본체를 분리할 경우 본체 내주에서 탄성편의 고정수단을 해체한 후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램프를 취부하는 소켓이 본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램프의 크기에 따라 조명기구의 배광이 달라 조명등기구가 비효율적으로 사용되는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램프의 크기에 따라 소켓의 높이를 조절하여 배광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등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목적은 천정 매입홈에 조명등기구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조명등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명등을 취부하는 본체의 구조를 변형시켜 불필요한 재질의 낭비를 줄이도록 하는 조명등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개선된 본체의 형상 및 천정 매입홈 취부구조를 제공하므로서 달성되는데, 즉 소켓의 직경과 거의 일치하는 너비를 갖는 판체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상.하부 수직면을 갖는 갓머리 형상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상부수직면은 소켓이 취부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수직면 양측에 다단의 엠보싱을 형성하여 소켓브라켓트가 엠보싱과 결합되면서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엠보싱의 중앙에는 소켓브라켓트가 승.하강 할 때 유동이 방지되도록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소켓브라켓트에 구비된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하부수직면을 경계로 하는 평활면에는 나사공을 천공하여 상면에 나사공을 갖는 반사경이 나사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의 하부수직면 양측에는 본체를 천정매입홈에 협착하기 위한 협착편을 체결시킬 수 있도록 상.하 2조로 절취된 걸림돌조를 돌설하고, 걸림돌조 하부에는 이와 수평되게 한쌍의 체결공을 천공하여 원형테의 절취편이 삽입되어 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상기 협착편은 일측이 상기 걸림돌조에 삽착되어 취부될 수 있도록 걸림편을 절설하고 타측은 천정에 구비된 매입홈에서 본체를 분리할 경우 매입홈 단부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가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은 소켓홀더가 본체의 수직면을 따라 다단으로 승.하강 할 수 있으므로 램프의 크기에 따라 배광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 하부수직면에 탄설된 협착편에 의해 천정매입홈에 본체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본체에 협착편이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삽착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조립이 용이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계속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조립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복도나 실내의 천정면에 구비된 매입홈에 착설하여 배광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써, 도면중 부호 200은 조명등을 표시한 것이다. 이의 조명등(200)은 소켓의 직경과 거의 일치하는 너비와 폭을 갖는 판체를 평활면(101)을 경계로 상,하수직면(110)(120)을 갖도록 갓머리 형상으로 대칭되게 절곡하여 본체(10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0)의 상부수직면(110) 양측에는 소켓(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단의 엠보싱(111)을 형성하였다. 이때 본체(100)의 상부수직면(110)에 구비된 엠보싱(111)은 경우에 따라 통공을 형성하여도 소켓 승.하강에는 별로 구애받지 않게 될 것이다.
상부수직면(110)에 구비된 엠보싱(111)은 추후 설명되는 소켓브라켓트(130)의 외측면이 엠보싱(111)과 맞물리면서 단계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엠보싱(111)의 중앙에는 소켓브라켓트(130)가 승.하강할 때 유동이 방지되도록 가이드홈(112)을 수직으로 형성하여 소켓브라켓트(130)에 구비된 안내돌기(132)가 상기 가이드홈(112)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소켓브라켓트(130)는 전술한 바와같이 엠보싱(111)과 맞물림 되도록 양측 표면에 상기 엠보싱(111)과 동형의 결합돌기(131) 한쌍이 돌설되어 있으며, 이는 소켓(10)의 외주면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탄성력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소켓브라켓트(130)와 소켓(10)은 상부에 구비된 나사공을 통해 결합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평활면(101) 양측에는 반사경(20)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공(102)을 천공하여 상기 반사경(20)의 상면 나사공(21)을 통해 반사경(20)이 본체(100)에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본체(100) 하부수직면(120) 양측에는 천정매입홈에 본체를 협착고정시키기 위한 협착편(3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프레싱하여 상.하 단부가 절취된 형태의 걸림돌조(121)를 상.하로 돌설하고, 걸림돌조(121) 하부에는 한쌍의 걸림공(122)을 천공하여 원형태(40)의 절취편(41)이 삽입되어 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상기 협착편(30)은 상기 걸림돌조(121)에 삽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에 걸림편(31)을 절설하고, 타측은 천정매입홈에서 분리할 경우 한번에 분리되지 않게 천정매입홈 단부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32)가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이유는 분리시 부주의로 인해 조명등이 작업자의 얼굴에 떨어지지 않도록 안전장치를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조(121)중 상부에 위치한 걸림돌조는 협착편(30)의 단부가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하부에 위치한 걸림돌조는 협착편(30)에 탄설된 걸림편(31)이 그 상단부에 걸리도록 하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은 제2도와 같이 본체(100)의 양측 평활면(101)상에 천공된 나사공(102)에 반사경(20)의 나사공(21)을 일치시켜 반사경을 나사결합하도록 하고, 이후 한쌍의 협착편(30)을 하부수직면(120)에 구비된 걸림돌조(121)에 하방에서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협착편(30)의 상단은 상부에 위치한 걸림돌조(121)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고, 걸림편(31) 하단부는 하부의 걸림돌조(121)의 상단에 걸리게 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이후 원형테(40)의 절취편(41)을 하부수직면(120)상 구비된 체결공(122)에 삽입하여 절취편(41) 양측으로 구부리면 본체(100)에 간단히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소켓(10)을 취부한 소켓브라켓트(130)를 상부수직면(110) 내측에 삽입하게 되면 소켓브라켓트(130)의 결합돌기(131)가 엠보싱(111)과 맞물려 협착되고 안내돌기(132)는 가이드홈(112)에 삽입되어 소켓브라켓트(130)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천정 매입홈에 조명등을 삽입할 경우에는 협착편(30)을 본체(100) 수직면 방향으로 누른 상태에서 삽입하면 간단히 체결이 되며, 분리할 경우에는 반사경(20) 내주면 방향으로 압입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내리게 되는데 이때 협착편(30)의 일측에 구비된 걸림부(32)에 의해 조명등은 매입홈의 단부에 일단 걸리게 되며, 이후 협착편(30)을 체결할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본체(100) 내측으로 누른 상태에서 분리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소켓홀더가 본체의 수직면을 따라 다단으로 승.하강 할 수 있으므로 램프의 크기에 따라 배광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 하부수직면에 탄설된 협착편에 의해 천정매입홈에 본체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본체에 협착편이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삽착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조립이 용이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복도나 실내등의 천정에 매입하여 배광하도록 하는 원형의 조명등기구에 있어서, 소켓을 취부하면서 안내돌기 및 결합돌기가 구비된 탄성을 갖는 소켓브라켓트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중앙에 수직으로 천공된 가이드홈을 중심으로 대향되게 다단의 엠보싱이 형성된 상부수직면과, 일측에 걸림편이 절설되고 타측에 걸림부가 절곡된 협착편이 삽입체결될 수 있도록 상,하 한쌍으로된 걸림돌조가 하부에 돌설된 하부수직면;이 평활면을 경계로 절곡되고 상호 대칭형인 갓머리 형상의 본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결합구조.
KR2019940024488U 1994-09-23 1994-09-23 조명등 결합구조 KR01213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4488U KR0121312Y1 (ko) 1994-09-23 1994-09-23 조명등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4488U KR0121312Y1 (ko) 1994-09-23 1994-09-23 조명등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685U KR960011685U (ko) 1996-04-15
KR0121312Y1 true KR0121312Y1 (ko) 1998-10-01

Family

ID=1939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4488U KR0121312Y1 (ko) 1994-09-23 1994-09-23 조명등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3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88Y1 (ko) * 2013-08-27 2015-04-08 남광조명 주식회사 매입형 조명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086B1 (ko) * 2018-07-05 2019-11-11 이리코조명 주식회사 실내 천장용 매립등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88Y1 (ko) * 2013-08-27 2015-04-08 남광조명 주식회사 매입형 조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685U (ko) 199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07965C (en) Recessed lighting fixture
US6224233B1 (en) Canopy luminaire
US6283430B1 (en) Horizontal socket housing assembly
KR102027038B1 (ko) 매립형 led 조명장치
KR102232359B1 (ko) 원터치 탈착식 레일조명장치
KR0121312Y1 (ko) 조명등 결합구조
US3253139A (en) Luminaire
KR101344264B1 (ko) 컨버터 및 전원소켓이 내장된 사무용 엘이디 매입등기구
US6690113B1 (en) Fluorescent lighting assembly
KR200143728Y1 (ko) 조명기구 설치용 고정금속구
KR102267048B1 (ko) 조명 설치용 장착하우징
US7682046B2 (en) Light fixture with lamp adjustment assembly
KR200245082Y1 (ko) 천정매입형 조명등기구의 소켓체결구조
KR102599425B1 (ko) 라인형 led 조명등 프레임
KR200228324Y1 (ko) 매입형 등기구
KR102413626B1 (ko) 천장등
EP0114841A1 (en) Adjustable lamp socket
KR100885132B1 (ko) 조명기구 취부용 고정구
KR20050090555A (ko) 천장 매입구조물의 클램프
KR20080004082U (ko) 천정매입형 조명기구
CN210373127U (zh) 一种筒灯安装连接结构
KR200285825Y1 (ko) 매입형 형광등기구
KR200333218Y1 (ko) 매입형 등기구의 고정클램프
KR20220067598A (ko) 천장매입등
JPH02833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