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259Y1 - 천장형 버스 에어컨의 컨덴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천장형 버스 에어컨의 컨덴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259Y1
KR200248259Y1 KR2020010019022U KR20010019022U KR200248259Y1 KR 200248259 Y1 KR200248259 Y1 KR 200248259Y1 KR 2020010019022 U KR2020010019022 U KR 2020010019022U KR 20010019022 U KR20010019022 U KR 20010019022U KR 200248259 Y1 KR200248259 Y1 KR 200248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an
condenser
cooling
air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종
Original Assignee
두원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원중공업(주) filed Critical 두원중공업(주)
Priority to KR2020010019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2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259Y1/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형 버스 에어컨의 컨덴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냉방 용량에 무관하게 상,하부 케이스를 공용하며, 냉방 용량에 따라 컨덴서와 냉각팬만을 달리 적용하여 에어컨 시스템의 부품 간소화와 이에 따른 가공 공정과 생산 단가 절감등을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상기 컨덴서 어셈블리(2)는,
동일 규격의 상,하부 케이스(24,20) 사용에 따른 냉방 용량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최대 용량시 경사면을 가짐과 동시에 폭이 증가된 컨덴서(21')를 하부 케이스(20) 내방 양측 가장 자리에 개재하고,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다수 개의 냉각팬(22)을 병렬 배치하며,
상기 증가된 냉각팬(22)과 상응하는 부위로 냉각팬 가이드(27) 및 공기 유입홀(25)을 형성한 냉각팬 커버(26)를 상부 케이스(24)와 볼트로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장형 버스 에어컨의 컨덴서 어셈블리{Condensor assembly of air-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본 고안은 천장형 버스 에어컨의 컨덴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방 성능에 따라 달리 구성되는 컨덴서를 공용화하고,
열교환에 필요한 공기 공급에 요구되는 냉각팬의 수를 용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천장 장착형 버스 에어컨의 컨덴서 어셈블리구조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섀시와 바디이외에도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의 편익 도모를 위한 다양한 편의 장치를 구비하는데,
그 가운데 동,하절기 적정 실내 기온을 유지하기 위한 공조 시스템이 장착된다.
이러한 공조 시스템은 크게 하절기 기온 하강을 목적으로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에어컨 시스템과, 동절기 기온 상승을 위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자동차 엔진룸을 비롯한 실내에 걸쳐 구성된다.
그 가운데 에어컨 시스템은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주위 공기를 냉각함으로서 소기 목적을 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에어컨 시스템은 냉매가 증발하기에 적합한 환경 조성을 위해 냉매 압축기,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 팽창 밸브 및 증발기의 구성을 통하여 냉매가 증발 하면서 주위 공기가 포함한 열을 흡수하여 기화함으로서 공기를 냉각하는 것이다.
이 처럼 에어컨 시스템은 공기 냉각을 위해 다수의 구성품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품은 자동차의 엔진룸과 실내에 파이프 라인으로서 상호 연결 장착된다.
하지만, 버스와 같이 엔진룸의 규격이 극히 한정적이고 에어컨 시스템의 용량이 방대할 경우 에어컨 시스템중 일부를 천장 외방에 장착하여 공조 효율과 장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버스용 에어컨 시스템 가운데 압축된 냉매를 열교환하여 증발에 용이한 상태로 변환하는 컨덴서 어셈블리(1)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천장(10) 외방으로 하부 케이스(11)를 구비하여 버스 폭 중앙을 기점으로 컨덴세(12)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장착되고,
이격된 공간에는 컨덴서(12)의 냉매를 응축하기 위한 강제 송풍을 수행하는 냉각팬(13)이 컨덴서(12)의 길이와 상응하여 등간격으로 다수 개 개재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11) 내방에 안치된 컨덴서(12) 및 냉각팬(13)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략 돔형이며 다수의 공기 유동공을 형성한 상부 케이스(14)가 더 개재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14) 중심에는 냉각팬(13)과 상응하는 부위에 공기 유입을 위한 공기 유입홀을 형성한 냉각팬 커버(15)를 일체로 포함한다.
이와 같이 컨덴서(12)를 통해 저온고압의 액체 상태 냉매로 변화시킨 에어컨 시스템(1)은 이배퍼라이저(evaporizer)를 통하여 외기와 열교환하며 주위 공기를냉각시키고,
이러한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여 버스 실내의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일련의 냉방 작업을 수행하는 천장형 버스 에어컨(1)은 냉방 용량에 따라 도 1에서와 같이 하부 케이스(11)에 장착되는 컨덴서(12)의 용량을 증대함과 동시에 냉각팬(13)의 수를 증가시켜 냉방 용량에 대응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냉방 용량이 변화할 경우 컨덴서(12)의 규격은 물론 흡입 공기량의 증가를 위해 냉각팬(13)의 수가 늘어나게 되어, 증가된 용량에 상응하는 별도의 상, 하부 케이스(11,14)가 요구되었다.
이와 같이 냉방 사양의 변화시 부품 공용화가 불가능하여 각 사양에 적합한 컨덴서의 별도 구성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에어컨 부품의 가공과 장착 공정이 증가하여 생산 단가 상승을 초래함은 물론,
규격이 증가된 컨덴서(12)를 비롯한 상,하부 케이스(11,14)로 인한 전반적인 에어컨 시스템(1)의 중량 증가로 버스의 연비 저하와 차체 떨림에 의한 승차감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방 용량에 무관하게 상,하부 케이스를 공용하며, 냉방 용량에 따라 컨덴서와 냉각팬만을 달리 적용하여 에어컨 시스템의 부품 간소화와 이에 따른 가공 공정과 생산 단가 절감등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천장형 버스 에어컨의 컨덴서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인 천장형 버스 에어컨 컨덴서 어셈블리의 A - A선을 따라 절취한 간략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천장형 버스 에어컨의 컨덴서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B - B선을 따라 절취한 간략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냉각팬 커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2;컨덴서 어셈블리
20;하부 케이스
21;컨덴서
22;냉각팬
24;상부 케이스
26;냉각팬 커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천장형 버스 에어컨의 컨덴서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B - B선을 따라 절취한 간략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냉각팬 커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천장 장착형 버스 에어컨의 컨덴서 어셈블리(2)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버스 천장 외방으로 일정 규격의 평판형 하부 케이스(20)를 구비하고, 그 내방 양측 가장 자리에는 냉매의 열교환에 요구되는 컨덴서(21)가 장착된다.
또한 양측 구비된 컨덴서(21)의 내방, 즉 하부 케이스(20)의 중앙부에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컨덴서(21)내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각팬(22)이 개재된다.
상기 냉각팬(22)은 브라켓(23)을 통하여 하부 케이스(20)에 장착되므로 분리 및 장착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하부 케이스(20) 내방으로 컨덴서(21)와 냉각팬(22)을 장착한 컨덴서 어셈블리(2)는,
하부 케이스(20) 상방으로 절곡형의 상부 케이스(24)를 개재하는데, 이러한 상부 케이스(24)는 가장 자리에 냉각팬(22)을 통해 흡입된 공기의 원활한 배출을 위한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24) 중앙부에는 하부 케이스(20)에 장착된 냉각팬(22)과 상응하는 부위에 공기 유입홀(25)을 형성한 냉각팬 커버(26)가 볼트로 체결되어 분리형으로 장착되며,
상기 냉각팬 커버(26)는 도 5에서와 같이 냉각팬(22) 외경보다 다소 큰 규격의 환형테 형상을 가지는 냉각팬 가이드(27)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인 컨덴서 어셈블리(2)는 냉방 용량 증가시 상,하부 케이스(24,20)의 규격은 동일하게 유지한 채, 냉각팬(22)의 수와 컨덴서(21)의 규격만을 변화하여 증가된 냉방 용량에 대응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소용량의 직립형 컨덴서(21)를 대체하여 경사면을 가짐과 동시에 폭이 증가된 컨덴서(21')를 하부 케이스(20) 내방 양측 가장 자리에 개재하고,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냉각팬(22)을 병렬 배치하여 다수 개 장착한다.
또한 상부 케이스(24) 중앙에 개재되는 냉각팬 커버(26) 역시,
병렬 배치되어 증가된 냉각팬(22)과 상응하는 부위로 냉각팬 가이드(27) 및 공기 유입홀(25)을 형성한 냉각팬 커버(26)로 교체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인 컨덴서 어셈블리(2)는 냉방 용량 가감에 따른 상,하부 케이스(24,20)의 변동이 불필요한데,
이는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최소 용량시 직렬 배치되는 3개의 냉각팬(22)과 최대 냉방 용량시 병렬 배치되는 6개의 냉각팬(22)과 컨덴서(21,21')규격을 기준으로 상,하부 케이스(24,20) 전장(l) 및 폭(b)을 결정한다.
그리하여 최소 용량시에는 냉각팬(22)을 하부 케이스(20) 중심선상에 배치하고, 상부 케이스(24)와 볼트로서 분리 장착되는 냉각팬 커버(26)를 교체하는데,
상기 냉각팬 커버(26) 역시 상부 케이스(24)에서의 장착 부위 균일화를 위해 동일 규격에서 냉각팬 가이드(27)와 공기 유입홀(25)의 형성 부위만을 변경 장착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인 천장형 버스 에어컨의 컨덴서 어셈블리는 냉방 용량의 변화에 따른 상,하부 케이스의 변동이 불요하여 자동화를 통한 상,하부 케이스의 조립이 가능하여 조립 공정 및 부품 가공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대용량 컨덴서 어셈블리 장착시 축소된 상,하부 케이스로 인한 중량 감소로 버스의 진동 절감과 연비 향상을 이룰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버스 천장 외방으로 일정 규격의 평판형 하부 케이스(20)를 구비하고, 그 내방 양측 가장 자리에는 컨덴서(21)가 장착되며, 상기 컨덴서(21)의 내방인 하부 케이스(20)의 중앙부에는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냉각팬(22)이 개재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20)상방으로 가장 자리에 공기의 원활한 배출을 위한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24)로 구성된 천장형 버스 에어컨의 컨덴서 어셈블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컨덴서 어셈블리(2)는 동일 규격의 상,하부 케이스(24,20) 사용에 따른 냉방 용량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최대 용량시 경사면을 가짐과 동시에 폭이 증가된 컨덴서(21')를 하부 케이스(20) 내방 양측 가장 자리에 개재하고,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다수 개의 냉각팬(22)을 병렬 배치하며,
    상기 증가된 냉각팬(22)과 상응하는 부위로 냉각팬 가이드(27) 및 공기 유입홀(25)을 형성한 냉각팬 커버(26)를 상부 케이스(24)와 볼트로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버스 에어컨의 컨덴서 어셈블리.
KR2020010019022U 2001-06-25 2001-06-25 천장형 버스 에어컨의 컨덴서 어셈블리 KR2002482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022U KR200248259Y1 (ko) 2001-06-25 2001-06-25 천장형 버스 에어컨의 컨덴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022U KR200248259Y1 (ko) 2001-06-25 2001-06-25 천장형 버스 에어컨의 컨덴서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259Y1 true KR200248259Y1 (ko) 2001-10-17

Family

ID=7306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022U KR200248259Y1 (ko) 2001-06-25 2001-06-25 천장형 버스 에어컨의 컨덴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2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18222B2 (en) A vehicle-cabin air-conditioning system and a module containing the system
US9758014B2 (en) Low profile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s
CN101086349A (zh) 空气调节器的室外机
CN109466275A (zh) 车载顶置空调器、其电控腔的降温方法及车辆
KR200248259Y1 (ko) 천장형 버스 에어컨의 컨덴서 어셈블리
CN209552864U (zh) 车载顶置空调器及车辆
KR200216901Y1 (ko) 증발기, 응축기 일체형 버스 에어컨의 응결수 배출 구조
JP2009046043A (ja) バス用空調装置
CN111854223A (zh) 一种冷气机内部制冷系统
CN101639243A (zh) 空调室外机的隔板结构
CN218400118U (zh) 一种用于特种车辆的紧凑式置顶冷暖一体式空调
KR100387466B1 (ko) 루프형 에어컨의 케이스 구조
KR200278507Y1 (ko) 천장 장착형 버스에어컨용 컨덴서어셈블리의냉각팬어셈블리 장착구조
CN209813668U (zh) 一种顶置式空调机组及安装有该空调机组的客车
CN220728360U (zh) 一种一体式空调
KR100396004B1 (ko) 차량의 지붕장착용 에어컨장치
CN219619098U (zh) 一种司机室空调机组及轨道车辆
CN210257917U (zh) 一种带水泵系统顶置式新能源h型空调机组
KR100214956B1 (ko) 차량용 에어컨의 냉매냉각장치
CN214606996U (zh) 一种房车用集成空调
CN217383100U (zh) 一种带有ptc加热器的工业风冷柜机
KR200164942Y1 (ko) 에어컨의 실외기
KR100232648B1 (ko) 자동차 에어컨용 응축기
KR100494512B1 (ko) 자동차용 에어컨 시스템의 콘덴서
CN208867818U (zh) 一种内部装有消音介质的车用空调管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