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248Y1 - 현수막 걸이대 - Google Patents

현수막 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248Y1
KR200248248Y1 KR2020010018270U KR20010018270U KR200248248Y1 KR 200248248 Y1 KR200248248 Y1 KR 200248248Y1 KR 2020010018270 U KR2020010018270 U KR 2020010018270U KR 20010018270 U KR20010018270 U KR 20010018270U KR 200248248 Y1 KR200248248 Y1 KR 200248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link
binding
banners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인트광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인트광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인트광고
Priority to KR2020010018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2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248Y1/ko

Links

Landscapes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홍보나 광고 등을 위하여 설치되는 현수막을 다단으로 게양할 수 있는 현수막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현수막의 설치 및 철거가 극히 용이하고 현수막의 규격화, 그리고 안전하면서도 도심환경과 적절한 조화로 도시미관을 일층 개선시킬 수 있는 현수막 걸이대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현수막 걸이대(1)는 좌우 포스트프레임(2,3)상에 가이드프레임(4)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4)을 따라 승강할 수 있는 링크(6,6a)를 자바라식으로 설치하고, 상기 링크(6,6a)의 승강작동을 위하여 일단이 드럼(10,10a)에 고정된 와이어(8,8a)의 타단을 연결하여 드럼(10,10a)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조절하여 링크(6,6a)를 승강가능하게 하며, 상기 링크(6,6a)에는 현수막(19)을 긴장되게 결속할 수 있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결속편(7)을 연결하여 원터치식으로 현수막(19)을 결속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우선 현수막(19)의 설치 및 철거가 극히 용이하며, 한사람의 작업자가 현수막(19)을 긴장된 상태로 가지런히 정렬할 수 있어 작업편의성 및 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이며, 규격화된 현수막(19)을 가지런히 정렬하여 게시할 수 있어 주위환경과 미려하게 조화를 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결속편(7)에 의해 현수막(19)을 긴장된 상태로 게시하므로 쳐짐현상이 없으며, 각목에 의한 보행자의 안전사고 등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결속끈 등을 사용하지 않고 현수막(19)을 설치하므로 결속끈에 의한 주위의 미관훼손 등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현수막의 규격화가가능하여 통일된 이미지도 부여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현수막 걸이대{Placard holder}
본 고안은 각종 홍보나 광고 등을 위하여 설치되는 현수막을 다단으로 게양할 수 있는 현수막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현수막의 설치 및 철거가 극히 용이하고 현수막의 규격화, 그리고 안전하면서도 도심환경과 적절한 조화로 도시미관을 일층 개선시킬 수 있는 현수막 걸이대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로에 설치되는 현수막은 양단에 각목을 끼운 후 상기 각목에 철사나 합성수지재끈 등과 같은 결속끈을 이용하여 가로수 상간에 결속하여 고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수막 설치방법은 우선 설치시 결속끈을 사용하여 결속하므로 긴장되게 결속끈을 당겨서 일방으로 편중되지 않게 결속하기 위해서는 작업인원이 최소한 2명 이상 필요하고, 더불어 현수막 설치에 따른 결속과정이 번거로움은 물론, 동일한 게시장소에서도 게시되는 현수막의 길이나 크기가 각각 달라 게시상태가 들쑥날쑥하여 정돈된 깔끔한 이미지를 제공하기 어려웠으며, 작업자가 손으로 통상 상기한 결속끈을 결속하여 게시를 행하기 때문에 결속상태가 양호하지 못하며, 그로 인하여 결속상태가 느슨해지거나 해제되어 현수막이 제 기능을 행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설치방법에 의하여 설치된 현수막은 설치 후 결속끈이 바람 등에 의하여 풀릴 경우 각목과 동시에 현수막이 낙하하여 지나가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철거 시에는 결속끈을 해제하기 위하여 그냥 결속끈을 절단하는 경우가 많아 잔류된 결속끈으로 인한 도시미관의 훼손이 상당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것이다.
한편, 근자에 들어서는 현수막을 특정한 장소에 동시에 다수개 다단으로 설치할 수 있는 현수막 걸이대가 선보이고 있는바, 이는 현수막의 가로폭에 부합되는 정도의 간격을 두고 소정 높이의 포스트를 지면에 콘크리트 기초를 하여 입설한 후 상기 좌우의 포스트에 현수막을 결속끈으로 소정의 상하 간격을 두고 게시토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현수막 걸이대 역시 종래의 현수막 게시방법과 수단상에서 볼 때 단순히 포스트 상에 상하로 다수개의 현수막을 게시할 수 있도록 하여 다수개의 현수막을 집합하여 게시할 수 있으므로 주변환경과 어우러져 보다 깔끔한 이미지는 줄 수 있었으나, 현수막 게시에 따른 번거로움 및 강한 바람 등에 대한 결속내구성 등은 부재하였고, 바람이 불거나 장시간 방치할 경우 결속상태가 느슨해지거나 해지되는 문제점 등은 해결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다수개의 현수막을 상하 다단으로 한사람의 작업자가 극히 용이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으며, 강한 바람 등에도 게시상태가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고, 주위환경과 최상의 조화를 이루어 미관개선에도 일익을 할 수 있는 현수막 걸이대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현수막 걸이대의 설치상태 정면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포스트프레임 절개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절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요부를 발췌한 일부 분해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현수막 걸이대 2,3:포스트프레임
2a,3a:개구 4:가이드프레임
5:축핀 6,6a:링크
7:결속편 8,8a:와이어
9:안내로울러 10,10a:드럼
11:샤프트 12:감속기어
13:프레임 14:구동기어
14a:구동축 15:핸들
16:래칫기어 17:핸들
18:스토퍼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현수막 걸이대(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보인 일부 절개 상태의 정면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현수막 걸이대(1)는 좌우 포스트프레임(2,3)상에 링크식으로 연결되어 로프의 권취 및 해권에 따라 상기 링크식 걸이대가 좌우 포스트프레임(2,3) 상에서 동일한 승강폭으로 승강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링크식 걸이대에 현수막을 원터치식 결합수단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및 철거의 신속용이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좌우 포스트프레임(2,3)상에는 횡단면이 개략 C형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프레임(4)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4)상에는 개략 X형으로 연속적으로 축핀(5)에 의해 자바라식으로 연결된 링크(6,6a)의 일단부 측이 축핀(5)에 의해 상하로 안내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링크(6,6a)는 이웃하는 링크(6,6a)와 하나, 둘씩 교호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내구성을 가지면서도 밸런스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6,6a)의 일단, 즉 포스트프레임(2,3)의 개구(2a,3a)측으로돌출된 링크(6,6a)의 단부에는 현수막과 링크(6,6a)를 연결하기 위한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결속편(7)의 일단을 연결하여 현수막을 상기 결속편(7)의 타단과 탄력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포스트프레임(2,3)상에 설치된 가이드프레임(4)에 안내되면서 상하로 승강조절될 수 있는 링크(6,6a)의 승강조절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와이어(8,8a)를 상기 링크(6,6a) 중 좌우 포스트프레임(2,3)상에 설치된 최상단의 링크(6,6a)의 단부와 연결하여 안내로울러(9)를 통하여 일측 포스트프레임(2,3) 하측으로 안내권설하고, 상기 와이어(8,8a)의 단부는 각각 포스트프레임(2,3) 일측에 축설치된 드럼(10,10a)상에 고정을 하여 상기 드럼(10,10a)의 정역방향 회전을 통하여 와이어(8,8a)가 권취 및 해권되면서 이와 연결된 링크(6,6a)가 좌우 평행되게 승강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드럼(10,10a)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드럼(10,10a)이 축고정된 샤프트(11) 단부에는 감속기어(12)를 설치하여 이의 하측에 프레임(13)상에 축설치된 구동축(14a) 상에 축고정된 구동기어(14)와 기어물림토록 하고, 상기 구동기어(14)에는 핸들(15)을 편심고정하여 핸들(15)의 회전으로 구동기어(14)와 기어물림된 감속기어(12)가 회전구동하여 드럼(10,10a)을 정방향, 역방향으로 선택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1) 상에는 래칫기어(16)를 축고정하여 일측에서 핸들(17)과 연결된 스토퍼(18)에 의해 단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드럼(10,10a)을 회전시켜 와이어(8,8a)를 당길 때 링크(6,6a)의 무게에 의하여 와이어(8,8a)가 역방향으로 풀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중의 부호 19는 현수막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현수막 걸이대(1)는 수개의 현수막(19)을 좌우 포스트프레임(2,3) 상에 규격화된 치수로 다단 게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현수막 걸이대(1)에 현수막(19)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좌우 포스트프레임(2,3)상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링크(6,6a)와 연결된 와이어(8,8a)를 드럼(10,10a)으로부터 해권시켜 줌으로서 링크(6,6a)가 포스트프레임(2,3)의 하측으로 접어지면서 하강하게 되는 바, 이를 위하여 드럼(10,10a)이 축고정된 샤트프(11)상에 축고정된 래칫기어(16)를 단속하고 있는 스토퍼(18)를 핸들(17)을 사용하여 해제하면 와이어(8,8a)가 링크(6,6a)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면서 드럼(10,10a)으로부터 풀리게 되어 링크(6,6a)는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며, 링크(6,6a)가 하강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현수막(19)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아이렛 등이 결착된 결속공으로 결속편(7)의 일단을 연결하면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결속편(7)에 의해 현수막(19)은 좌우 포스트프레임(2,3) 상간에 긴장된 상태로 현수되는 것이다.
현수막(19)을 다단으로 각각의 링크(6,6a)에 결속편(7)으로 결속완료하면 구동기어(14)상의 핸들(15)을 돌려서 드럼(10,10a)을 전기한 와이어(8,8a) 해권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권취하게 된다.
즉, 구동기어(14)가 회전하게 되면 이와 기어물림된 감속기어(12)가 회전하여 드럼(10,10a)이 축고정된 샤프트(11)가 회전하게 되고, 드럼(10,10a)에는 와이어(8,8a)가 서서히 권취되면서 하강하였던 링크(6,6a)가 와이어(8,8a)에 의해 상부로 당겨지게 되어 링크(6,6a)가 포스트프레임(2,3)상에서 가이드프레임(4)에 안내 상승하게 되어 좌우 포스트프레임(2,3) 상간에 결속편(7)에 의해 긴장되게 설치된 현수막(19)의 설치가 완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8,8a)를 드럼(10,10a)을 구동시켜 권취할 시에 링크(6,6a) 및 현수막(19)의 자중에 의해 권취상태에서 드럼(10,10a)이 역회전할 수 있는 우려는 드럼(10,0a)이 축고정된 샤프트(11)상에 동시에 축고정된 래칫기어(16)가 스토퍼(18)에 의해 역방향 단속상태에 있어서 가능한 것이다.
한편, 설치된 현수막(19)을 철거코자 할 시는 전기와 같이 드럼(10,10a)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8,8a)를 풀어주면 링크(6,6a)가 하강하게 되고, 하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결속편(7)만 현수막(19)으로부터 분리하면 간단히 현수막(19)의 철거가 완료되며, 일부 현수막(19)을 교체 등을 할 시에도 같은 방법으로 철거 후 새로운 현수막을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현수막 걸이대(1)는 좌우 포스트프레임(2,3)상에 가이드프레임(4)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4)을 따라 승강할 수 있는 링크(6,6a)를 자바라식으로 설치하고, 상기 링크(6,6a)의 승강작동을 위하여 일단이 드럼(10,10a)에 고정된 와이어(8,8a)의 타단을 연결하여 드럼(10,10a)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조절하여 링크(6,6a)를 승강가능하게 하며, 상기 링크(6,6a)에는 현수막(19)을 긴장되게 결속할 수 있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결속편(7)을 연결하여 원터치식으로 현수막(19)을 결속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우선 현수막(19)의 설치 및 철거가 극히 용이하며, 한사람의 작업자가 현수막(19)을 긴장된 상태로 가지런히 정렬할 수 있어 작업편의성 및 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이며, 규격화된 현수막(19)을 가지런히 정렬하여 게시할 수 있어 주위환경과 미려하게 조화를 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결속편(7)에 의해 현수막(19)을 긴장된 상태로 게시하므로 쳐짐현상이 없으며, 각목에 의한 보행자의 안전사고 등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결속끈 등을 사용하지 않고 현수막(19)을 설치하므로 결속끈에 의한 주위의 미관훼손 등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현수막의 규격화가 가능하여 통일된 이미지도 부여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1)

  1. 각 모서리부에 결속공을 갖는 현수막을 규격화하여 게시할 수 있는 현수막 걸이대(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 걸이대(1)는 개구(2a,3a)를 일방에 갖는 좌우 포스트프레임(2,3)상에 가이드프레임(4)을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4)을 따라 승강할 수 있는 링크(6,6a)를 축핀(5)에 의해 자바라형으로 전개 및 접어질 수 있도록 설치하되, 상기 링크(6,6a)의 일단은 축핀(5)에 의해 가이드프레임(4)상에 승강안내될 수 있도록 하고, 링크(6,6a)의 타단에는 현수막(19)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편(7)이 연결되며,
    상기 링크(6,6a)의 상단에는 일단이 드럼(10,10a)에 고정된 와이어(8,8a)의 타단을 안내로울러(9)를 통하여 연결하고,
    상기 드럼(10,10a)이 축고정된 샤프트(11)에는 감속기어(12)를 축고정하여 구동축(14a)상에 축고정된 핸들(15) 구비형 구동기어(14)와 기어물림하며,
    상기 샤프트(11)에는 래칫기어(16)를 축고정하여 핸들(17) 구비형 스토퍼(18)에 의해 회전방향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걸이대.
KR2020010018270U 2001-06-19 2001-06-19 현수막 걸이대 KR200248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270U KR200248248Y1 (ko) 2001-06-19 2001-06-19 현수막 걸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270U KR200248248Y1 (ko) 2001-06-19 2001-06-19 현수막 걸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248Y1 true KR200248248Y1 (ko) 2001-10-17

Family

ID=7310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270U KR200248248Y1 (ko) 2001-06-19 2001-06-19 현수막 걸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24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101B1 (ko) 2007-09-04 2008-09-25 박병오 무대 현수막 게시장치
KR101033173B1 (ko) 2010-01-21 2011-05-11 주식회사 태광피엔에스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KR101078262B1 (ko) 2010-01-21 2011-10-31 주식회사 태광피엔에스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101B1 (ko) 2007-09-04 2008-09-25 박병오 무대 현수막 게시장치
KR101033173B1 (ko) 2010-01-21 2011-05-11 주식회사 태광피엔에스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KR101078262B1 (ko) 2010-01-21 2011-10-31 주식회사 태광피엔에스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943B2 (en) Structure for folding orchard tent for protection against train
KR100927443B1 (ko)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KR200248248Y1 (ko) 현수막 걸이대
KR101136813B1 (ko) 현수막 게시대
US3779516A (en) Post puller
KR101103986B1 (ko) 다단 접철 타입의 회전형 현수막 게시대
KR100757301B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100864191B1 (ko) 광고탑 및 광고물 지지용 띠
KR200419860Y1 (ko)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
KR100782533B1 (ko)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
KR200192999Y1 (ko) 현수막 지지대
DE19603585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Durchführung der Plakatarbeiten an Plakatanschlägen, insbesondere Plakatvitrinen
JP4981415B2 (ja) ポール間にネットを張る方法
KR100863575B1 (ko) 현수막 걸음장치
KR100397826B1 (ko) 세로형 현수막 걸이대
KR100799726B1 (ko) 현수막 게시대
JP2869518B2 (ja) 防雪柵の折畳・架設装置
JPS637471A (ja) 養生ネツトの昇降装置
ES2292736T3 (es) Dispositivo de ocultacion para cerramientos.
JPH0449665Y2 (ko)
CN212318665U (zh) 双摇臂双向同步张紧装置
KR200213683Y1 (ko) 현수막 설치대
CN217353820U (zh) 一种机电安装现场安全防护装置
CN212318666U (zh) 单摇臂双向同步张紧装置
KR20110134991A (ko) 현수막 게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