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860Y1 -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 - Google Patents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860Y1
KR200419860Y1 KR2020060007586U KR20060007586U KR200419860Y1 KR 200419860 Y1 KR200419860 Y1 KR 200419860Y1 KR 2020060007586 U KR2020060007586 U KR 2020060007586U KR 20060007586 U KR20060007586 U KR 20060007586U KR 200419860 Y1 KR200419860 Y1 KR 200419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wire
gas station
support
ratchet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신테크
Priority to KR2020060007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8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860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유소의 알림 사항이 인쇄된 현수막을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에 있어서, 현수막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삽입구에 삽입되는 현수막연결봉, 한쪽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쪽에 두 개의 와이어연결구멍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현수막연결봉을 내장하여 현수막연결봉과 함께 현수막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두 개의 현수막지지대, 두 개의 현수막지지대의 와이어연결구멍에 각각 연결되는 네 개의 와이어, 네 개의 와이어를 각각 지지하는 풀리를 각각 내장한 풀리케이스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지지 안내하는 네 개의 와이어지지구, 같은 방향에 위치한 두 개의 연결와어어를 각각 권취하는 권취드럼이 래칫기구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드럼케이스에 내장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권취구, 상기 래칫기구와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래칫기구를 통하여 권취드럼을 회전하기 위한 핸들로 이루어지는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현수막을 끈으로 직접 묶지 않고 현수막을 팽팽하게 펼쳐서 설치하기 때문에, 행사와 알림 사항 등을 알리는 현수막을 주유소 내부 또는 주변에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설치하고, 소비자에게 깔끔한 분위기로 현수막에 인쇄된 사항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주유소, 현수막, 현수막 게시대, 현수막 게시장치

Description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SCREEN HANGING DEVICE FOR LUBRITORIUM}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가 적용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C - C선 단면도.
도 5은 도 2의 B - B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D - D선 확대 단면도.
도 7은 래칫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 5의 D - D선 확대 단면도.
도 8은 현수막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현수막지지대를 정리한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가 적용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본 고안은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유소에서 차량 운전자 등에게 행사 또는 알림 사항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막은 체전, 선거, 선전, 캠페인 등과 같은 행사를 알리기 위하여, 육교난간, 교량난간, 도로 펜스 등에 현수막을 설치하게 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현수막의 양단부에 막대기를 설치하고, 상기 막대기를 끈으로 벽면, 전봇대, 나무 등에 묶어서, 현수막의 내용을 행인이나 운전자에게 알리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의 주유소에서 현수막을 설치할 때에 상술한 바와 같이 현수막의 양단부에 설치된 막대기를 끈으로 묶어서 매달게 되는 바, 주유소 주위에 있는 벽체 또는 기둥에 현수막을 묶어서 매달기 때문에 묶게 되는 끈으로 인하여 외관이 미려하기 못하고, 현수막을 팽팽하게 당겨서 끈으로 묶는 작업이 불편하며, 끈으로 현수막을 묶게 되더라도 끈의 풀림 현상이 발생되어 현수막의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유소에서 행사 등을 알리는 글을 인쇄한 현수막을 끈으로 묶지 않고 탱탱하게 당겨서 설치함으로써 주요소의 알림 사항을 소비자에게 깔끔한 분위기로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알릴 수 있는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유소의 알림 사항이 인쇄된 현수막을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에 있어서, 현수막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삽입구에 삽입되는 현수막연결봉, 한쪽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쪽에 두 개의 와이어연결구멍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현수막연결봉을 내장하여 현수막연결봉과 함께 현수막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두 개의 현수막지지대, 두 개의 현수막지지대의 와이어연결구멍에 각각 연결되는 네 개의 와이어, 네 개의 와이어를 각각 지지하는 풀리를 각각 내장한 풀리케이스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지지 안내하는 네 개의 와이어지지구, 같은 방향에 위치한 두 개의 연결와어어를 각각 권취하는 권취드럼이 래칫기구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드럼케이스에 내장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권취구, 상기 래칫기구와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래칫기구를 통하여 권취드럼을 회전하기 위한 핸들로 이루어지는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주유소 건축물의 구성 요소인 기둥 사이에 현수막을 횡방향으로 설치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주유소 건축물의 구성 요소인 천정과 바닥 사이에 현수막을 상하로 설치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현수막 게시장치는 주유소의 알림 사항이 인쇄된 현수막(1)의 양단부를 팽팽하게 당겨서 설치하는 장치이다.
즉 본 고안의 현수막 게시장치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현수막(1)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삽입구(1a)에 삽입되는 현수막연결봉(11)이 현수막지지대(12)에 내장되고, 상기 현수막지지대가 와이어(13)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13)가 와이어지지구(14)에 지지되어 권취구(15)에 의해 권취되거나 풀려서 현수막지지대(12)와 현수막연결봉(11)이 상하로 이동하여 현수막(1)을 팽팽하게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현수막지지대(12)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두 개로 구성되며, 한쪽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12a)가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쪽에 두 개의 와이어연결구멍(12b)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현수막연결봉(11)을 내장하여 현수막연결봉(11)과 함께 현수막(1)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현수막지지대(12)의 하단면은 현수막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밀폐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13)는 네 개로 구성되어 두 개의 현수막지지대(12)의 와이어연결구멍(12b)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지지구(14)는 네 개로 구성되며, 네 개의 와이어(13)를 각각 지지하는 풀리(14a)를 각각 내장한 풀리케이스(14b)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지지 안내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지지구(14)는 두 장의 케이스판체(14ba) 사이에 다수의 스페이스봉(14bb)이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풀리케이스(14b), 상기 풀리케이스(4b)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14a)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판체(14ba)의 선단부에 현수막지지대(12)를 삽입 지지하는 지지부(14bc)가 형성됨과 더 불어 각각의 케이스판체(14ba)의 선단부에 현수막지지대(12)의 단면의 일부와 일치하는 지지홈(14bd)이 형성되며, 풀리(14a)와 근접하는 스페이스봉(14bb)이 와이어(13)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지지부(14bc)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막지지대(12)에 현수막(1)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현수막지지대(12)를 그대로 늘어뜨리지 않고 가지런하게 정리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지지홈(14bd)는 도 2와 상이하게 각각의 와이어지지구(14)를 회전시켜서 설치할 경우에 현수막지지대(12)를 삽입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현수막(1)이 설치되지 않은 현수막지지대(12)를 내려뜨린 뒤에 권취구(15)에 인접한 위치에 착탈식으로 현수막지지대(12)를 배치할 수도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권취구(15)는 상기 와이어(13)를 권취하는 권취드럼(15a)이 래칫기구(15b)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드럼케이스(15c)에 내장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래칫기구(15b)는 회전 방향으로 전환하게 위한 방향전환용 레버(15ba)가 구비되어 있는 바, 본체(15bb)의 내부에 래칫휠(15bc)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칫휠(15bc)의 둘레면을 걸림시킬 수 있는 두 개의 래칫(15bd)이 탄성부재(15be)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상기 본체(15bb)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두 개의 래칫(15bd) 사이에 설치되어 레버축(15bf)에 의해 회전되는 캠(15bg)어 두 개의 래칫(15bd) 중의 어느 하나를 상기 래칫휠(15bc)로부터 이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래칫휠(15bc)이 권취드럼(15a)과 연결됨과 더불어 핸들 (16)과 결합되고, 상기 레버축(15bf)을 회전하는 방향전환레버(15ba)의 선단부가 드럼케이스(15c)의 전면에 돌출되는 구조이다.
다른 예로서 상기 래칫기구(15b)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5bh)의 내부에 래칫휠(15bj)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칫휠(15bj)의 둘레면을 걸림시킬 수 있는 두 개의 래칫돌기(15bk)를 구비한 래칫겸용레버(15bm)가 탄성부재(15bn)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스틸볼(15bp)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래칫겸용레버(15bm)는 상기 레버(15ba)와 대응하는 관계에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기 래칫기구(15b)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핸들(16)은 래칫기구(15b)를 통하여 권취드럼(15a)을 회전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는 주유소의 알림 사항이 인쇄된 현수막(1)을 주유소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세워서 설치할 수 있는 바, 이 때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현수막지지대(12)의 와이어연결구멍(12b)에 각각 연결되는 네 개의 와이어(13) 중에, 바닥에 근접한 두 개의 와이어(13)를 바닥체(17)에 고정하고, 천정에 근접한 두 개의 와이어(13)를 두 개의 와이어지지구(14)로 지지 안내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지지구(14)에 의해 지지 안내되는 두 개의 와이어(13)가 권취구(15)에 의하여 권취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통상적으로 현수막(1)의 양단부를 봉제 처리된 삽입구(1a)에 현수막연결봉 (11)을 삽입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현수막지지대(12)에 내장된 현수막연결봉(11)에 의해 현수막(1)의 단부가 현수막지지대(12)와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16)을 들고 래칫기구(15b)를 작동하면 래칫휠(15bc,15bj)이 회전되어 권취드럼(15a)이 회전되며, 이에 따라 와이어(13)가 권취드럼(15a)에 권취된다.
그러면 아래로 하강한 현수막지지대(12)가 상승하면서 와이어지지구(14)와 나란하게 되고, 이에 현수막(1)이 도 1과 같이 팽팽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물론 현수막(1)을 교체할 때에는 레버(15ba,15bm)를 전환시켜서 핸들(16)을 이용하여 래칫기구(15b)를 반대로 작동시키면 와이어(13)가 권취드럼(15a)로부터 풀리면서 현수막지지대(12)가 아래로 하강하게 되어 현수막(1)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는 현수막을 끈으로 직접 묶지 않고 현수막을 팽팽하게 펼쳐서 설치하기 때문에, 행사와 알림 사항 등을 알리는 현수막을 주유소 내부 또는 주변에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설치하고, 소비자에게 깔끔한 분위기로 현수막에 인쇄된 사항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알릴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주유소의 알림 사항이 인쇄된 현수막을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에 있어서,
    현수막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삽입구에 삽입되는 현수막연결봉,
    한쪽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쪽에 두 개의 와이어연결구멍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현수막연결봉을 내장하여 현수막연결봉과 함께 현수막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두 개의 현수막지지대,
    두 개의 현수막지지대의 와이어연결구멍에 각각 연결되는 네 개의 와이어,
    네 개의 와이어를 각각 지지하는 풀리를 각각 내장한 풀리케이스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지지 안내하는 네 개의 와이어지지구,
    같은 방향에 위치한 두 개의 연결와어어를 각각 권취하는 권취드럼이 래칫기구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드럼케이스에 내장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권취구,
    상기 래칫기구와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래칫기구를 통하여 권취드럼을 회전하기 위한 핸들로 이루어지는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지지구는 두 장의 케이스판체 사이에 다수의 스페이스봉이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풀리케이스, 상기 풀리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판체의 선단부에 현수막지지대를 삽입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각각의 케이스판체의 선단부에 현수막지지대의 단면의 일부와 일치하는 지지홈이 형성되며, 풀리와 근접하는 스페이스봉이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기구는 본체의 내부에 래칫휠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칫휠의 둘레면을 걸림시킬 수 있는 두 개의 래칫이 탄성부재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두 개의 래칫 사이에 설치되어 레버축에 의해 회전되는 캠이 두 개의 래칫 중의 어느 하나를 상기 래칫휠로부터 이격하며, 상기 래칫휠이 권취드럼과 연결됨과 더불어 핸들과 결합되고, 상기 레버축을 회전하는 방향전환레버의 선단부가 드럼케이스의 전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기구는 본체의 내부에 래칫휠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칫휠의 둘레면을 걸림시킬 수 있는 두 개의 래칫돌기를 구비한 래칫겸용레버가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스틸볼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대.
  5. 주유소의 알림 사항이 인쇄된 현수막을 주유소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세워서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에 있어서,
    현수막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삽입구에 삽입되는 현수막연결봉,
    한쪽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쪽에 두 개의 와이어연결구멍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현수막연결봉을 내장하여 현수막연결봉과 함께 현수막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두 개의 현수막지지대,
    두 개의 현수막지지대의 와이어연결구멍에 각각 연결되는 네 개의 와이어,
    바닥에 근접한 두 개의 와이어를 고정하는 바닥체,
    천정에 근접한 두 개의 와이어를 각각 지지하는 풀리를 각각 내장한 풀리케이스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지지 안내하는 두 개의 와이어지지구,
    상기 와이어를 각각 권취하는 권취드럼이 래칫기구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드럼케이스에 내장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권취구,
    상기 래칫기구와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래칫기구를 통하여 권취드럼을 회전하기 위한 핸들로 이루어지는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
KR2020060007586U 2006-03-21 2006-03-21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 KR200419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586U KR200419860Y1 (ko) 2006-03-21 2006-03-21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586U KR200419860Y1 (ko) 2006-03-21 2006-03-21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135A Division KR100782533B1 (ko) 2006-07-11 2006-07-11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860Y1 true KR200419860Y1 (ko) 2006-06-26

Family

ID=44482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586U KR200419860Y1 (ko) 2006-03-21 2006-03-21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8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212B1 (ko) 2007-11-15 2008-10-08 박진우 상부 고정 방식의 현수막 게시장치
KR100934638B1 (ko) 2008-05-26 2010-01-08 박진우 상부 고정 방식의 현수막 게시장치
KR102426871B1 (ko) * 2021-01-28 2022-07-29 김재현 충격 흡수형 현수막을 구비하는 애드벌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212B1 (ko) 2007-11-15 2008-10-08 박진우 상부 고정 방식의 현수막 게시장치
KR100934638B1 (ko) 2008-05-26 2010-01-08 박진우 상부 고정 방식의 현수막 게시장치
KR102426871B1 (ko) * 2021-01-28 2022-07-29 김재현 충격 흡수형 현수막을 구비하는 애드벌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0774B2 (ja) 懸垂幕掲示装置
KR200419860Y1 (ko)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
KR100782533B1 (ko)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장치
KR100942182B1 (ko) 회전 현수막 게시장치
KR200416899Y1 (ko)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대
KR20200139589A (ko) 현수막 게시장치
KR200476785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1173408B1 (ko) 벽면 고정형 현수막 게시대
US6826861B2 (en) Temporary sign system
KR200443298Y1 (ko) 현수막 게시대
KR100884706B1 (ko) 현수막 게시대
KR101056775B1 (ko) 깃발게양대
KR200388253Y1 (ko) 현수막게시대
KR200362649Y1 (ko) 육교 현수막 게시장치
KR200359811Y1 (ko) 현수막 게시대
KR100863575B1 (ko) 현수막 걸음장치
KR100991706B1 (ko) 현수막 설치대
JP3885129B2 (ja) 帯状布張設装置及び引張具
KR200313189Y1 (ko) 현수막 게시대
KR200375435Y1 (ko) 게시대용 현수막의 상하이동장치
KR200248248Y1 (ko) 현수막 걸이대
KR200205429Y1 (ko) 현수막 게양용의 프레임어셈블리
KR200375433Y1 (ko) 난간용 현수막 게시대
JP3207400U (ja) 標識表示装置
KR200336495Y1 (ko) 현수막 게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